• 제목/요약/키워드: Nagasawa Hakuho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Aminoethoxyvinylglycine 처리시기가 복숭아 '장택백봉'의 유통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harvest aminoethoxyvinylglycine spraying time on fruit quality of 'Nagasawa Hakuho' peach (Prunus persica Batsch) during shelf-life)

  • 왕무화;이욱용;오광석;이은구;안영직;황용수;천종필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4호
    • /
    • pp.503-509
    • /
    • 2012
  •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harvest spray of aminoethoxyvinylglycine (AVG) on fruit quality of 'Nagasawa Hakuho' peach (Prunus persica Batsch). The efficacy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AVG (75 and 150 mg/L), which inhibits the ethylene biosynthesis, was evaluated under field conditions. Treatments were performed 21, 14 and 7 days before harvest, respectively. Fruit weight, flesh firmness, soluble solids content, acidity, ethylene production, respiration rate and skin color difference were determined at harvest time and during shelf-life at $25^{\circ}C$.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st appropriate timing of AVG spraying was 21 days before harvest at the concentration of 75 mg/L as shown higher firmness at harvest time and lower ethylene production and respiration rate during shelf-life. Spraying of AVG during near harvest period (14 to 7 days before harvest) inhibited fruit growth slightly, independent of concentration and did not affect fruit quality in 'Nagasawa Hakuho' peach.

국내산 복숭아 유과의 품종별 성분 분석 및 품질특성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Unripe Korean Peaches According to Cultivars)

  • 김다미;김경희;최인자;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21-226
    • /
    • 2012
  • 복숭아 유과의 이용 가능성 탐색을 위하여 복숭아 유과과육의 품종에 따른 성분 함량 및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품종별 복숭아 유과(용택골드, 천중도백도, 마도카, 몽부사, 장택백봉, 홍백)의 외형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전체적으로 마도카가 가장 크고 몽부사가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몽부사에서 수분함량이 가장 낮았으며, 조단백 함량은 장택백봉 가장 높아 조단백 함량이 가장 낮은 마도카와 유의적으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조지방 및 조탄수화물 함량에서는 품종 간 큰 차이가 없었으며, 조회분 함량은 마도카에서 0.69%로 다른 품종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품종별 복숭아 유과의 pH를 측정한 결과 다른 품종과 비교하여 천중도백도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당도 실험 결과에서는 홍백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당도를 나타냈다. 색도 중 L값은 장택백봉에서 가장 높았고, a값은 전체적으로 -5 이하의 음의 값을 보이며 홍백에서 가장 높았으며, b값은 마도카에서 가장 높았다. 품종별 복숭아 유과의 경도는 홍백, 장택백봉, 천중도백도, 마도카, 용택골드, 몽부사 순으로 전반적으로 백도가 황도에 비해 높은 경도를 보였다. Vitamin C 함량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품종에 따른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환원당 함량은 6.34% 이상의 높은 수치를 보여 가공품 및 식품산업 소재로 사용되기에 부족함이 없다고 사료되었다. 따라서 현재 복숭아 유과가 거의 활용되지 못하고 전량 폐기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해 볼 때 산업적 가치가 높다 사료되므로, 복숭아 유과의 기능성 및 생리활성 규명 등을 통한 미이용 폐자원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복숭아 유과 씨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smetic Materials Using Unripe Peaches Seed Extracts)

  • 김다미;김경희;김영식;고종호;이경행;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10-11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 유과 씨의 품종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능, tyrosinase 저해활성 및 elastase 저해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폴리페놀 화합물과 총 항산화력 과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품종별 복숭아 유과씨의 추출수율을 관찰한 결과, 몽부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20~6.16%의 수율을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18.33~27.08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에서 천중도의 radical 소거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활성에서는 용택골드, 천중도백도에서 높은 tyrosinase 저해능을 보였으나, elastase 저해활성에서는 마도카에서 다른 품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elastase 저해능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활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항산화능과 tyrosinase 저해활성 또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복숭아 유과 씨는 항노화, 미백, 주름방지로 화장품 산업에서 천연 물질로 잠재적인 기능성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ucrose, 칼슘, 붕소 첨가가 복숭아 화분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crose, Calcium and Boron Added in the Medium on Pollen Germination of Peach(Prunus persica SIEB))

  • 천병덕;최인수;강점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61-565
    • /
    • 2006
  • 우리나라 과수 중 개화기가 빠른 복숭아는 저온에 의하여 화분발아 장해로 결실율이 저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저온에서 화분 발아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화분 발아조건과 배지내에 sucrose, $CaCl_2$$H_3BO_3$ 첨가농도를 구명하고자 일련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복숭아 화분은 배지에 치상한 후 30분부터 발아가 시작되어 3시간 30분까지 지속되었으나, 그 이후는 더 이상 발아되지 않았다. 따라서 복숭아의 화분발아 판정을 위한 적정 시간은 치상 후 4시간이 좋았다. 복숭아 화분의 적정발아 온도는 $20^{\circ}C$였고, 이보다 저온이거나 고온에서는 화분발아율이 감소하였다. Sucrose는 화분발아를 촉진하였고 최적농도는 10%였다. 무기염류 중 $H_3BO_3$ 첨가는 '장택백봉'과 '수봉' 품종에서 화분 발아율을 무처리에 비해 $20{\sim}30%$ 증진시켰으며, 그 효과는 저온인 $10^{\circ}C$에서 현저하였다. 최적처리 농도는 $100\;mg\;{\cdot}\;L^{-1}$ 처리였다. 반면 $CaCl_2$ 첨가하면 화분발아율이 감소하였다. $10^{\circ}C$의 저온에서 화분발아율은 품종간에 뚜렷한 차이가 있었으며, '장택백봉', '백봉', '월미', '백도', '대구보', '유명', '수봉', '백미조생'의 순으로 화분발아율이 낮았다.

국내산 복숭아 유과의 품종별 항산화 활성 및 미백활성 평가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of Various Cultivars of Korean Unripe Peaches (Prunus persica L. Batsch))

  • 김경희;김다미;유성률;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56-16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 유과 과육의 품종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능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품종별 복숭아 유과 과육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7.24~9.95 mg/g의 함량을 나타내며 마도카에서 가장 낮고 몽부사에서 가장 높았으며,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에서 몽부사의 radical 소거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Reducing power에서의 항산화 실험 결과 역시 몽부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tyrosinase 저해 활성에서는 홍백에서 가장 높은 tyrosinase 저해능을 보였으나 6품종간의 유의적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복숭아 유과과육은 항노화 및 미백활성으로 화장품 산업에서 천연 물질로 잠재적인 기능성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품종별 복숭아 유과 장아찌의 저장 중 품질특성 변화 (Quality Changes in Unripe Peaches Jangachi according to Cultivar during Storage)

  • 홍민서;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77-1583
    • /
    • 2012
  • 영양생리학적 활성은 우수하나 전량 폐기 처분되고 있는 복숭아 유과의 이용 증진을 위해 품종별 복숭아 유과로 장아찌를 담아 상온에서 60일간 저장하면서 품질평가(pH, 염도, 당도, 색도, 경도, 효모 및 곰팡이수의 변화,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장아찌의 pH는 모든 품종의 장아찌와 침지액에서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장아찌육의 염도는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고, 침지액염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당도는 모든 품종에서 장아찌와 침지액 모두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다. 색도는 저장기간에 따라 모든 품종에서 L값은 감소, a값은 증가, b 값은 감소하였다. 경도는 저장 30일까지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하였으며, 효모 및 곰팡이 수는 저장기간 동안 2.30~5.55 log CFU/g 범위 내에서 증감을 반복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마도카와 장택백봉의 전반적인 기호도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아미노산, Polyamine 및 flavonoid 첨가가 복숭아 화분의 저온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ino Acid, Polyamine, and Flavonoid on the Pollen Germination of Peach(Prunus persica SIEB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 천병덕;최인수;강점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11-715
    • /
    • 2006
  • 복숭아는 다른 과수에 비하여 개화기가 빨라 저온으로 인한 화분발아 장해로 결실율이 저하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저온에서 복숭아의 화분 발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자 화분발아 배지에 아미노산, polyamine, flavonoid 등을 첨가하여 일련을 실험을 수행하였다. 저온에서 배지내 첨가물질로써 asparagine, glutamine, spermine, putrescine, kaemferol이 유효하였으며, 이들의 적정농도는 asparagine과 glutamine는 10 mM, spermine 100 mM, putrescine 1000 uM, kaemferol은 1.0 uM 이였다. 저온에서 발아율이 높았던 처리는 $100\;mg{\cdot}L^{-1}\;H_3BO_3+10\;mM$ asparagine 혼용조합이었고, 다음이 $100\;mg{\cdot}L^{-1}\;H_3BO_3+10\;mM$ glutamine 혼용조합, $100\;mg{\cdot}L^{-1}\;H_3BO_3+200\;{\mu}M$ spermine 혼용조합 순이었다. 기본배지에 치상된 ‘장택백봉’의 화분 발아율은 25.4%, '수봉' 13.9% 불과하였으나, $100\;mg{\cdot}L^{-1}\;H_3BO_3+10\;mM$ asparagine 첨가된 배지는 두 품종 모두 대조구보다 화분 발아율이 $18{\sim}19%$ 증진되었다. 아미노산과 폴리아민 첨가에 의한 화분발아율 증진 효과는 '장택백봉' 보다는 '수봉'에서 더욱 현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