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SaL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3초

지베렐린산 생산을 위한 Methylobacterium oryzae CBMB20의 최적 배양조건 확립 (Optimization of gibberellic acid production by Methylobacterium oryzae CBMB20)

  • ;;한광현;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22-527
    • /
    • 2010
  • 지베렐린산은 곰팡이 및 세균으로부터 생산되는 주요 식물생장촉진물질이며 다양한 산업에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Methylobacterium oryzae CBMB20을 이용하여 GA3를 생산하기 위해 탄소원 및 질소원을 선발하였으며, 선발된 탄소원 및 질소원의 최적 농도와 최적 비율을 조사하였다. 탄소원으로는 Na-succinate가 methanol, glucose, maltose, sucrose, fructose, lactose에 비해 가장 우수하였으며, 질소원으로는 $NH_4Cl$$NO_3$, $NaNO_3$, glycine 등에 비해 우수하였다. 배양액에서 Nasuccinate와 $NH_4Cl$를 각각 5 및 0.4 g $L^{-1}$ 농도 비율로 사용하였을 때 $CA_3$의 생산량이 가장 높았다. 또한 ammonium mineral salt 배지의 pH를 7로 유지하고 $30^{\circ}C$의 조건으로 96시간 배양하였을 때 $CA_3$의 생산이 최대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Rhizopus nigricans의 Progesterone전환 반응 산물에 관한 포도당의 효과 (Effects of Glucose on the Products of Progesterone Transformation by Rhizopus nigricans)

  • 김명희;김종혜;김말남
    • 미생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58-262
    • /
    • 1991
  • Rhizopus nigricans에 의한 progest$\xi$rone의 Iia-hydroxylation 반응은 포도당에 의하여 촉진되었으며 그 효과가 전자 수용체인 NADPH와 NaJD. 를 투입하였을 때의 효과와 유사한 것으로 부터 표도당은 이 반응에 필요한 보조요소의 생성에 기여하며 hydroxylation 반응을 촉진한다고 생각되었다 포도당의 소모량은 hydroxy lation 반응 속도가 빠을수록 크게 나타났으며 포도당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 속도는 점차 증가하다가 균사체는 0.5 g/l 포자체는 20 g/l에서 거의 일정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polyacrylamide gel에 고정화한 균사체의 경우 배양 기간 동안 gel내에 축적되어 있는 포도당 만으로도 반응이 충분히 촉진되었다. a-Hydroxy progesterone의 Sa-reduction 반응은 p progesterone의 11a-hyroxylation 반응에 버하여 훨씬 더 높은 포도당 농도가 필요하므로 포노당의 농도를 낮게 유지시킴으로써 5a-reducrion 반응을 억제하여 11 a-hydroxyprogesterone의 수득융을 높힐 수 있음 갯으로 판단되었다.

  • PDF

일본 묘기광산 벤토나이트의 물리화학적 성질 및 U, Th, Ce 및 Eu 흡착특성 (Adsorption Properties of U, Th, Ce and Eu by Myogi Bentonite Occurring in Japan)

  • 송민섭;고상모;김원사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83-194
    • /
    • 2005
  • 일본의 묘기 광상에서 산출되는 벤토나이트를 대상하여 광물학적, 물리화학적 성질 및 열적성질을 측정하였으며, 이 연구의 주목적은 악틴족 원소인 U, Th과 란탄족 원소인 Ce, Eu에 대해 천연산 Na-형 벤토나이트의 흡착특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묘기 벤토나이트는 pH 10.4 정도로 높은 알카리성을 나타낸다. 또한 높은 점도, 팽윤도, CEC 값을 나타내고, 수용액과의 반응에서 짧은 시간에 안정화되어 균질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화학성분 분석결과 $Na_2O$가 CaO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비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묘기 벤토나이트를 구성하는 스멕타이트는 Na-형에 속한다. 열분석 결과 벤토나이트의 전암시료와 점토입자 이하 시료는 각각 $591^{\circ}C$$658^{\circ}C$에서 분해됨이 확인되었다. 점토입자 시료 0.2g을 U. Th, Ce그리고 Eu의 각 여러 농도별, pH별 용액 20mL와 반응시킨 흡착실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농도 및 pH변화에 따른 흡착량의 변화는 Ce, Th과 Eu용액의 경우 비교적 일정한 흡착량의 감소를 보이나, U용액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pH가 증가될수록 급격한 흡착량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흡착능력은 Ce, Th, Eu, U 순으로 나타난다. 벤토나이트의 Ce, Eu, Th, U 흡착은 스멕타이트의 양이온교환반응과 표면흡착반응 이외에도 수용액에 존재하는 이온들이 다양한 화학종의 형성과 침전물 형성이 흡착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수반되는 제올라이트가 이들 원소들의 흡착에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Quantitative PCR for Etiologic Diagnosi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Pneumonia in Intensive Care Unit

  • Kwon, Sun-Jung;Jeon, Tae-Hyeon;Seo, Dong-Wook;Na, Moon-Joon;Choi, Eu-Gene;Son, Ji-Woong;Yoo, Eun-Hyung;Park, Chang-Gyo;Lee, Hoi-Young;Kim, Ju-Ock;Kim, Sun-Young;Kang, Jae-Ku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2권3호
    • /
    • pp.293-301
    • /
    • 2012
  • Background: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P) requires prompt and appropriate treatment. Since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a frequent pathogen in VAP, rapid identification of it, is pivotal. Our aim was to evaluate the utility of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as a useful method for etiologic diagnoses of MRSA pneumonia. Methods: We performed qPCR for mecA, S. aureus-specific femA-SA, and S. epidermidis-specific femA-SE genes from bronchoalveolar lavage or bronchial washing samples obtained from clinically-suspected VAP. Molecular identification of MRSA was based on the presence of the mecA and femA-SA gene, with the absence of the femA-SE gene. To compensate for the experimental and clinical conditions, we spiked an internal control in the course of DNA extraction. We estimated number of colony-forming units per mL (CFU/mL) of MRSA samples through a standard curve of a serially-diluted reference MRSA strain. We compared the threshold cycle (Ct) value with the microbiologic results of MRSA. Results: We obtained the mecA gene standard curve, which showed the detection limit of the mecA gene to be 100 fg, which corresponds to a copy number of 30. We chose cut-off Ct values of 27.94 (equivalent to $1{\times}10^4$ CFU/mL) and 21.78 (equivalent to $1{\times}10^5$ CFU/mL).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our assay were 88.9% and 88.9%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quantitative cultures. Conclusion: Our results were valuable for diagnosing and identifying pathogens involved in VAP. We believe our modified qPCR is an appropriate tool for the rapid diagnosis of clinical pathogens regarding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Enhancement of Drought-Stress Tolerance of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L. by Newly Isolated Variovorax sp. YNA59

  • Kim, Yu-Na;Khan, Muhammad Aaqil;Kang, Sang-Mo;Hamayun, Muhammad;Lee, In-J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10호
    • /
    • pp.1500-1509
    • /
    • 2020
  • Drought is a major abiotic factor and has drastically reduced crop yield globally, thus damaging the agricultural industry. Drought stress decreases crop productivity by negatively affecting crop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factors. The use of drought tolerant bacteria improves agricultural productivity by counteracting the negative effects of drought stress on crops. In this study, we isolated bacteria from the rhizosphere of broccoli field located in Daehaw-myeon, Republic of Korea. Sixty bacterial isolates were screened for their growth-promoting capacity, in vitro abscisic acid (ABA), and sugar production activities. Among these, bacterial isolates YNA59 was selected based on their plant growth-promoting bacteria traits, ABA, and sugar production activities. Isolate YNA59 highly tolerated oxidative stress, including hydrogen peroxide (H2O2) and produces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and ascorbate peroxidase (APX) activities in the culture broth. YNA59 treatment on broccoli significantly enhanced plant growth attributes, chlorophyll content, and moisture content under drought stress conditions. Under drought stress, the endogenous levels of ABA, jasmonic acid (JA), and salicylic acid (SA) increased; however, inoculation of YNA59 markedly reduced ABA (877 ± 22 ng/g) and JA (169.36 ± 20.74 ng/g) content, while it enhanced SA levels (176.55 ± 9.58 ng/g). Antioxidant analysis showed that the bacterial isolate YNA59 inoculated into broccoli plants contain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SOD, CAT, and APX, with a decrease in GPX levels. The bacterial isolate YNA59 was therefore identified as Variovorax sp. YNA59. Our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newly isolated drought tolerant rhizospheric Variovorax sp. YNA59 is a useful stress-evading rhizobacterium that improved drought-stress tolerance of broccoli and could be used as a bio-fertilizer under drought conditions.

저염분 바이오플락에서 사육한 흰다리새우(Litopenaeus vannamei)의 해수 순치방법에 따른 혈장성분 및 혈장삼투압 비교 (Effect of Acclimation Methods on Physiological Status of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Bred in Low Salinity Biofloc)

  • 전유현;이종민;김수경;김수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761-768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an effective method to acclimate low-salinity (4 psu) bred Litopenaeus vannamei (mean body weight 16±3.3 g) to sea water. The fast acclimation group (FA) was directly exposed to filtered sea water (32 psu) while the slow acclimation group (SA) was exposed to a slow increase in salinity. Shrimps were sampled at 0, 1, 3, 6, 12, 24 and 48 h for plasma analyses. The plasma components between experimental group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The hemolymph osmolality (HO) in FA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1 h (P<0.05), while in SA it started to increase slowly only at 24 h and reached a similar level to that of FA at 48 h. The levels of Na+ and Mg2+ 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treatments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2+ ion levels. We found that the different methods of acclimation of L. vannamei to sea water do not affect the plasma components significantly, but lead to changes in the HO and ion levels, it is considerable to acclimate gradually for at least two days.

Protection provided by a commercial modified-live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PRRSV) 1 vaccine (PRRSV1-MLV) against a Japanese PRRSV2 field strain

  • Joel Miranda;Salvador Romero;Lidia de Lucas;Fumitoshi Saito;Mar Fenech;Ivan Diaz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4권5호
    • /
    • pp.54.1-54.13
    • /
    • 2023
  • Background: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PRRSV) vaccines do not provide full cross-protection, mainly due to the virus genetic variability. Despite this, vaccines based on modified-live PRRSV (PRRSV-MLV) reduce the disease impact. Objectives: To assess the efficacy of two commercial vaccines-one based on PRRSV1 (PRRSV1-MLV) and another on PRRSV2 (PRRSV2-MLV)-against a Japanese PRRSV2 field strain. Methods: Two groups of three-week-old piglets were vaccinated (G1: PRRSV1-MLV; G2: PRRSV2-MLV) and two were kept as non-vaccinated (INF and CTRL). One month later, G1, G2, and INF were challenged with a PRRSV2 field strain. Results: After the challenge, clinical signs were only observed in INF. Moreover, the highest rectal temperatures and values for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were observed in INF. Regarding viral detection, both AUC and the proportion of positive samples in blood were higher in INF. In G1, viremic animals never reached 100%. At necropsy (21 d after the challenge), differences for titers among groups were only found in tonsils (G1 < G2 and INF). One animal (belonging to G1) was negative in all tissues. Regarding humoral responses, G1 and G2 seroconverted after vaccination, as detected in the correspond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Specific neutralizing antibodies (NA) against PRRSV1-MLV were already detected at 14 d after vaccination in G1, showing a significant booster after the challenge, while PRRSV2-MLV NA were detected in G2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Conclusions: Despite genetic differences, PRRSV1-MLV has been demonstrated to confer partial protection against a Japanese PRRSV2 strain, at least as good as PRRSV2-MLV.

벼(Oryza sativa L.)의 잎 면으로부터의 IAA를 생성하는 Methylotrophic Bacteria의 분리 선별 및 특성 비교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IAA Producing Methylotrophic Bacteria from Phyllosphere of Rice Cultivars(Oryza sativa L.))

  • 이규회;;김충우;이형석;;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35-244
    • /
    • 2004
  • 국내 3지역으로부터 수집한 19종의 벼 잎에 서식하는 methylo-trophlc bacteria의 군집성을 비교하였다. Methanol에 따른 특징적인 생장을 나타내는 분홍색 색소를 띤 19개의 균체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이들 균체들은 Bergey의 방법에 따라 각각 생리, 생화학적 특성들을 조사 하였으며, 표현형들은 37가지의 특성들을 계통분석법을 통해 명찰히 구분하여, 최종 별개의 4군(cluster)으로 분리하였다. 대조균주인 M, extor벼둔 AM1과 M. fujisawaense KACC10744는 각각 IV군과 III군에 속해있다. I군에 속해있는 균체들은 nitrate의 환원을 근거로 하여 구분하였으며, 4개의 분리균주는 NaCl 0.5M 농도까지 염에 대한 내성을 보였다. I군과 III군의 균체들은 탄소원으로 methane을 이용하는 특성을 가졌으며, 4군의 대부분의 균체들은 탄소원으로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를 이용하였다. L-tryptophan의 존재 하에 모든 균체들의 indole-3-acetlc aclu (IAA) 생성 실험에서는 선별균체 중 8균체만이 IAA를 생성하였다. 게다가 배지의 질소원은 IAA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질소원으로 $(NH_4)_2SO_4$를 이용하였을 때 IAA 생성은 최대 20-30배까지 증가하였으나 $KNO_3$, $NH_4NO_3$ 그리고 $NH_4$ CI을 질소원으로 사용하였을 때에는 IAA 생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선별된 methylo trophic bacteria를 뿌리에 접종한 결과 균체가 생성한 IAA 영향으로 식물체의 뿌리와 줄기의 길이 그리고 곁뿌리의 수가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균주를 접종한 벼 종자의 초기 뿌리 생장은 균을 접종하지 않은 종자보다 평균 27-56% 증가하였다. 높은 농도의 IAA ($400{\mu}g\;mL^{-1}$)를 처리했을 때는 오히려 뿌리의 생장을 억제 시켰으나, $10-200{\mu}g\;mL^{-1}$ 농도의 IAA를 처리했을 때는 뿌리 생장을 촉진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박테리아가 생산하는 IAA가 식물 뿌리생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토리 가루의 성분분석과 항산화능 평가 (Studies for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tive Evaluation in Acorn Powders)

  • 심태흠;김영선;사재훈;신인철;허성일;왕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800-803
    • /
    • 2004
  • 도토리 가루를 이용하여 기능성 식품개발을 목적으로 도토리 가루의 화학성분,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탄수화물이 87.29%, 수분 10.57%, 조지방 1.18%, 조단백 0.84%, 회분 0.12% 순으로 나타났다. 도토리 가루에 가장 많은 무기성분으로는 K이 40.68mg/100g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P(8.95mg/100g), Ca(8.64mg/100g), Mg(4.67mg/100g), Na(3.94mg/100g), Fe(1.41mg/100g) 순으로 나타났다. 구성당은 총 7종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그 중 glucose가 대부분으로 나타났고 rhamnose, galactose, arabinose, mannose, fucose, xylose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주요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C18:1)가 31.87%로 가장 높았고, linoleic acid(C18:2)는 18.72%, linolenic acid(C18:3)는 16.67% 그리고 palmitic acid(C16:0)가 11.32% 순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효과는 물 추출물에서 $IC_{50}$$19.0{\mu}g/mL$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75% 에탄올 추출물$(IC_{50}:\;21.4{\mu}g/mL)$ 및 메탄올 추출물$(IC_{50}:\;45.2{\mu}g/mL)$순으로 항산화 효과가 측정되었다.

고관절의 자기공명관절조영검사 시 가돌리늄 함유량이 높은 조영제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the contrast agent high in gadolinium for the contrast-enhanced magnetic resonance hip arthrography)

  • 최관우;김윤신;손순룡;이호범;나사라;민정환;유병규;이종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682-5688
    • /
    • 2013
  • 본 연구는 고관절의 자기공명관절조영검사 시 가돌리늄 함유량이 높은 1mmol/mL 조영제를 사용함으로써 현재 대다수의 의료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0.5mmol/ml 조영제 대비 신호대잡음비와 대조도대잡음비를 높여 진단적 가치를 극대화 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2012년 1월부터 2013년 6월까지 가돌리늄 함유량에 따른 대조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0.5mmol/mL 함유량을 가진 기존의 조영제를 사용한 20명과 1mmol/mL 함유량을 가진 새로운 조영제를 사용한 27명 등 총 47명의 환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고관절의 관절공간과 인접한 근육조직인 장요근, 그리고 대퇴골두의 신호강도를 각각 측정한 후 신호대잡음비와 대조도대잡음비를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가돌리늄 함유량이 높은 1mmol/mL 조영제 사용 시 SNR은 관절공간 27.00%(p<.01), 대퇴골두 30.01%(p<.01), 장요근 18.74%(p>.05) 높았고, 대조도대잡음비 또한 신호대잡음비와 같이 관절공간과 장요근, 관절공간과 대퇴골두 모두 28.31%(p<.01)와 26.74%(p<.01)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단위 부피당 가돌리늄 함유량이 높은 1mmol/mL 조영제를 사용하면 높은 T1 단축효과로 인해 신호강도가 커지고 대조도 차이가 큰 영상을 획득 할 수 있어, 진단적 가치가 높은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고관절의 자기공명관절조영검사에 대한 1mmol/mL 조영제의 유용성을 최초로 증명하여 진단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학문적 가치가 크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