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OH solution

검색결과 1,071건 처리시간 0.032초

SPS에 의해 제조된 HAP-Ag, HAP-ZrO2 복합체의 미세조직 및 기계적 특성 (Micro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Ap-Ag and HAp-ZrO2Composites Prepared by SPS)

  • Shin, Na-Young;Oh, Ik-Hyun;Lee, Hee-Jung;Shin, Seung-Yong;Lee, Hae-Hyung;Lee, Byong-Taek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34-339
    • /
    • 2004
  • SPS법에 의해 제조된 단상의 HAp, HAp-Ag 및 HAp-ZrO$_2$복합 소결체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을 XRD, SEM, TEM에 의해 조사되었다. 나노크기의 HAp 분말은 Ca(No$_3$)$_2$$.$4$H_2O$과(NH$_4$)HPO$_4$용액을 하여 침전법에 의해 성공적으로 합성되었다. HAp-Ag 복합체에 존재하는 마이크론 크기의 Ag 입자와 HAp 계면에서는 두 상의 열평창계수의 차이로 인하여 수축공의 결함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나노크기의 Ag의 경우 계면에서의 결함은 관찰되지 않았다. HAp-ZrO$_2$ 복합체의 경우 나노크기의 ZrO$_2$입자들은 HAp 상의 결정립계에 대부분 분산되었다. HAp-Ag 및 HAp-ZrO$_2$ 복합체의 상대밀도와 파괴인성은 각각 HAp 기지에 분산된 미분의 Ag 및 ZrO$_2$상의 소성변형 및 상변태 인성기구에 의해 증가하였다.

한외여과에 의한 순물 농축액의 기능적 특성 (Functional Properties of Sunmul (Soybean Curd Whey) Concentrate by Ultrafiltration)

  • 김유풍;엄상미;장은정;김우정;오훈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88-494
    • /
    • 2006
  • 두부 순물을 UF막으로 농축시켜 제조한 UF 분리농축분말의 일반성분 및 이들 분말을 식품에 첨가할 경우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용해도, 유화력, 거품형성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일반 성분에 있어서, UF 분리농축분말의 수분함량과 탄수화물 함량은 순물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단백질 함량은 순물분말보다 2배가량 높았으나 회분함량은 2배 낮았다. 유지흡착력을 비교 시 ISP>UF 농축분말>순물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UF 분리농축 분말의 용해도가 ISP와 순물에 비해 높기 때문에 수분흡착력은 매우 미약하였다 UF 분리농축분말의 단백질의 용해도는 등전점 부근인 pH 4.0에서 가장 낮았으며 산성 또는 알칼리성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전형적인 단백질 용해도 곡선을 나타내었다. 유화력은 ISP와는 달리 pH에 따른 현화를 보이지 않으며 150-200 정도의 EAI 값을 나타내었고, 유화안전성은 pH 6.0 이하의 산성에서 더 높은 값을 나타내며 대체로 75-92%의 높은 유화안정성을 보였다. UF 분리농축분말의 거품형성능은 증류수 처리구간에서 ISP와는 달리 pH 4.0-6.0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NaCl 농도가 높을수록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거품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ISP에 비해 대두 단백질의 등전점인 pH 4.0 부근에서 5-7배 높은 거품안정성을 나타내었으나 pH 4.0을 제외한 모든 pH 구간에서 20분 안에 거품이 소멸되었다 UF 분리농축분말은 isoflavone 등 여러가지 기능적 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용해도, 유화력, 유화안정성, 거품형성능 등이 ISP보다 우수하여 식품가공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금 나노로드 어레이 박막을 이용한 광학형 바이오 센서 개발

  • 염세혁;이동익;신한재;서창택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436-43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나노바이오센서 분야 중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LSPR 원리를 이용한 바이오센서를 제작하였다. 금속 나노입자의 국소 표면 플라즈몬 공명현상에 의한 주위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은 고감도 광학형 바이오센서, 화학물질 검출 센서등에 응용된다. 특히 금 나노막대와 같은 1차 나노구조물은 나노막대의 주변 환경 변화에 따라 뚜렷한 플라즈몬 흡수 밴드 변화를 나타냄으로 센서로 적용 했을 때 고감도의 측정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인 알루미늄 양극산화 박막 주형틀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횡비를 가지는 금 나노막대를 합성하고, 나노막대 어레이 형태의 박막을 제작하였다. 금 나노막대의 합성은 알루미늄 양극산화막을 사용한 주형제조 방법(template method)을 사용하는 전기화학 증착법을 사용하였다. 우선 부도체인 알루미늄 양극 산화막의 한쪽면을 열증착 장비를 사용하여 금을 증착하여 작업 전극(working electrode)을 형성하였다. 백금 선(platinum wire)을 보조 전극(counter electrode)으로 사용하고 Ag/AgCl 전극을 기준 전극(reference electrode)으로 사용하여 삼전극계(three-electrode system)를 형성하였으며, 금 도금 용액(orotemp 24 gold plating solution, TECHNIC INC.)을 사용하여, 800 mV 전압에서 금 나노 막대를 합성하였다. 금 나노막대의 길이는 테플론 챔버를 통과한 전하량 또는 전기 증착 시간에 비례하여 결정된다. 금 나노막대를 성장시킨 알루미늄 양극산화막을 실리콘 웨이퍼에 은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고정시킨 후 수산화나트륨 (NaOH)용액을 사용하여 알루미늄 양극산화막을 녹여내어 수직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나노 막대 어레이 박막을 제조 하였다. 또한 제작된 금 나노막대 어레이의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와 같이 나노막대를 직경방향으로 측정할 경우, 직경방향의 transverse mode만 측정된다. 금 나노 막대가 알루미늄 양극산화막 안에 포함된 상태로 측정된 금 나노로드 어레이 박막의 광 스펙트럼 분포는 금 나노막대의 가시광영역에서의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을시 직경 및 길이에 따라 transverse mode의 ${\lambda}$ max (최대 흡광)의 위치가 변화됨을 나타낸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나노막대의 종횡비가 증가함에 따라 흡수 스펙트럼의 transverse mode ${\lambda}$ max가 미약하게 단파장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원기둥 형태의 금 나노막대의 흡수 스펙트럼에 대한 이론적인 예측과 부합한다. 바이오센서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기조립단분자막을 형성하여 항체를 고정하고 CRP에 대한 응답특성을 평가하였다. CRP 항원-항체의 면역반응에 대한 실험 결과 CRP 항원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넓은 측정범위에서 선형적으로 흡광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CRP 10 fg/ml의 농도까지 검출할 수 있었다. 센서의 선택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감지하고자하는 대상물질이 아닌 Tn T 항원을 감지막에 반응시켜 흡광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작된 센서칩은 선택성을 가지고 측정하고자하는 물질에만 반응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직경을 사용한 부가적인 LSPR현상의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IPv6 네트워크 환경에서 MCGA를 고려한 통합적인 보안관리 방안 (Integrated Security Management with MCGA in IPv6 Network)

  • 오하영;채기준;방효찬;나중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4C권1호
    • /
    • pp.27-38
    • /
    • 2007
  • 32비트의 IPv4 주소고갈의 문제를 해결하고 보안과 QoS를 확실히 보장해 주기 위해 등장한 IPv6는 특성상 128비트로 증가된 주소공간과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주소체계, 이웃 탐색 및 주소 자동 설정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드와 라우터간의 주고받는 새로운 메시지들이 많이 추가되었다. 결과 IPv4에서 존재하던 공격은 물론 예측하지 못했던 새로운 공격들이 많이 등장하게 된다. IPv4에서 성공적으로 IPv6로 전환하기 위해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안전하고 체계적인 보안 정책기반 아래 기존에 동작되고 있는 IPv4 호스트 및 라우터와 IPv6의 안전한 호환성이다. 따라서 관리자는 앞으로 도래 할 IPv6 네트워크 환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다양한 측면에서 보안 문제를 도출하여 통합적인 보안 대응 방안을 설계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IPv4와 IPv6의 특성을 파악하고, IPv4/IPv6에서의 공격 측면에서 보안 취약성 분석 및 보안 문제를 도출하여 시스템 측면, IPv6 특성별 측면, 개선된 CGA인 MCGA (Modified Cryptographically Generated Address)의 제안을 통해 IPv6에서의 효율적인 보안 관리를 위한 통합적인 대응방안을 제시한다.

Surface Characteristics of Type II Anodized Ti-6Al-4V Alloy for Biomedical Applications

  • 이수원;정태곤;양재웅;정재영;박광민;정용훈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7-77
    • /
    • 2017
  • Titanium and its alloys offer attractive properties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These are widely used for the field of biomedical implants because of its good biocompatibility and high corrosion resistance. Titanium anodizing is often used in the metal finishing of products, especially those can be used in the medical devices with dense oxide surface. Based on SAE/AMS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Aerospace Material Specification) 2488D, it has the specification for industrial titanium anodizing that have three different types of titanium anodization as following: Type I is used as a coating for elevated temperature forming; Type II is used as an anti-galling coating without additional lubrication or as a pre-treatment for improving adherence of film lubricants; Type III is used as a treatment to produce a spectrum of surface colours on titanium. In this study, we have focused on Type II anodization for the medical (dental and orthopedic) application, the anodized surface was modified with gray color under alkaline electrolyte. The surfac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with Focused Ion Beam (FIB),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surface roughness, Vickers hardness, three point bending test, biocompatibility, and corrosion (potentiodynamic) test. The Ti-6Al-4V alloy was used for specimen, the anodizing procedure was conducted in alkaline solution (NaOH based, pH>13). Applied voltage was range between 20 V to 40 V until the ampere to be zero. As results,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anodic oxide layer were analyzed with SEM, the dissecting layer was fabricated with FIB method prior to analyze surface. The surface roughness was measured by arithmetic mean deviation of the roughness profile (Ra). The Vickers hardness was obtained with Vickers hardness tester, indentation was repeated for 5 times on each sample, and the three point bending property was verified by yield load values. In order to determine the corrosion resistance for the corrosion rate, the potentiodynamic test was performed for each specimen. The biological safety assessment was analyzed by cytotoxic and pyrogen test. Through FIB feature of anodic surfaces, the thickness of oxide layer was 1.1 um. The surface roughness, Vickers hardness, bending yield, and corrosion resistance of the anodized specimen were shown higher value than those of non-treated specimen. Also we could verify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issues from cytotoxicity and pyrogen test.

  • PDF

염산프로메타진 체내동태 연구를 위한 혈청 중 프로메타진의 HPLC 정량법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HPLC Method for Pharmacokinetic Study of Promethazine in Human)

  • 조혜영;강현아;이화정;최후균;이용복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6권1호
    • /
    • pp.23-29
    • /
    • 2006
  • A rapid, selective and sensitive reversed-phase HPL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romethazine in human serum was developed, validated, and applied to the pharmacokinetic study of promethazine. Promethazine and internal standard, chlorpromazine, were extracted from human serum by liquid-liquid extraction with n-hexane containing 0.8% isopropanol and analyzed on a Capcell Pak CN column with the mobile phase of acetonitrile-0.2 M potassium dihydrogen phosphate (42:58, v/v, adjusted to pH 6.0 with 1 M NaOH). Detection wavelength of 251 nm and flow rate of 0.9 mL/min were fixed for the study. The assay robustness for the changes of mobile phase pH, organic solvent content, and flow rate was confirmed by $3^{3}$ factorial design using a fixed promethazine concentration (10 ng/mL) with respect to its peak area and retention time. In addition, the ruggedness of this method was investigated at three different laboratories using same quality control (QC) samples. This method showed linear response over the concentration range of 1-40 ng/mL with correlation coefficients greater than 0.999. The lower limit of quantification using 1 mL of serum was 1 ng/mL, which was sensitive enough for pharmacokinetic studies. The overall accuracy of the quality control samples ranged from 96.15 to 105.40% for promethazine with overall precision (% C.V.) being 6.70-11.22%. The relative mean recovery of promethazine for human serum was 63.54%. Stability (freeze-thaw and short-term) studies showed that promethazine was stable during storage, or during the assay procedure in human serum. However, the storage at $-80^{\circ}C$ for 4 weeks showed that promethazine was not stable. Extracted serum sample and stock solution were not allowed to stand at ambient temperature for 12 hr prior to injection. The peak area and retention time of promethazine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hanges of mobile phase pH, organic solvent content, and flow rate under the conditions studied. This method showed good ruggedness (within 15% C.V.) and was successfully used for the analysis of promethazine in human serum samples for the pharmacokinetic studies of orally administered Himazin tablet (25 mg as promethazine hydrochloride) at three different laboratories, demonstrating the suitability of the method.

혈소판유래성장인자를 함유한 TCP-chitosan 미세과립이 신생골조직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PDGF-BB loaded TCP/chitosan microgranules on new bone formation)

  • 설양조;이주연;계승범;이영규;김원경;이용무;구영;한수부;이승진;정종평;류인철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2권3호
    • /
    • pp.489-50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newly fabricated tricalcium phosphate(TCP)/chitosan microgranuls as bone substitutes. TCP/chitosan microgranules were fabricated by dropping TCP-chitosan suspension into the NaOH/ethanol solution. The size of microgranules could be controllable via airflow rate. PDGF-BB was loaded into the fabricated granules via freeze-drying methods(300 ng/20 mg). To evaluate cell proliferation, cultured osteoblasts cell lines(MC3T3-El) was dropped on the BioOss(R), chitosan microgranules, TCP/chitosan microgranules and cultured for 1, 7 , 14, and 28 days.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was done after 7 days of culture and light microscopic examination was done after 28 days of culture. PDGF-BB release from the microgranules was tested. Rabbit calvarial defects(8 mm in diameter) were formed and chitosan, TCP/chitosan, PDGF-TCP/chitosan microgranules, and BioGran(R) were grafted to test the ability of new bone formation. At SEM view, the size of prepared microgranules was 250-1000 um and TCP powders were observed at the surface of TCP/chitosan microgranules. TCP powders gave roughness to the granules and this might help the attachment of osteoblasts. The pores formed between microgranules might be able to allow new bone ingrowth and vasculariz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ell number among BioOss(R) and two microgranules at 28 day.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showed that seeded osteoblastic cells were well attached to TCP/chitosan microgranules and proliferated in a multi-layer. PDGF-BB released from TCP/chitosan microgranules was at therapeutic concentration for at least 1 week. In rabbit calvarial defect models, PDGF-TCP/chitosan microgranules grafted sites showed thicker bone trabeculae pattern and faster bone maturation than other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CP/chitosan microgranules showed the potential as bone substitutes.

${\lambda}$형(型) Bence Jones 단백질(蛋白質)의 N 말단주변(末端周邊)의 아미노산배열순서(酸配刻順序)에 관한 연구(硏究) (N-Terminal Sequences of ${\lambda}$-type Bence Jones Proteins)

  • 김준평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3권1호
    • /
    • pp.65-72
    • /
    • 1970
  • Bence Jones 단백질중(蛋白質中) ${\lambda}$형(型)의 N-말단(末端) 및 그 주변(周邊)의 아미노산배열(酸配列)을 결정(決定)하기 위하여 본(本) 실험(實輸)이 시도(試圖)되었던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Bence Jones 단백질(蛋白質)을 Pronase와 Chymotrypsin으로 분해(分解)하여 얻은 Peptide중에서 Im Pr-M 및 Im Ch-M와 Ik Ch-M을 Dowex $50{\times}2$ column $1{\times}20$cm)와 Dowex $1{\times}2$ column $(0.9{\times}50{\;}cm)$을 사용(使用)하여 분리(分離)하였다. 2) ${\lambda}$형(型) Bence Jones단백질(蛋白質)의 N-말단(末端)은pyrroglutamic acid로 되어 있음을 alkali반응(反應)과 고압여지전기영동법(高壓濾紙電氣泳動法)으로 확인(確認)하였다. 3) 농염산(濃鹽酸)(12N) 반응(反應)($27^{\circ}C$, 15시간(時間))을 이용(利用)하며 Peptide중(中)의 Serine부(部)를 선택적(選擇的)으로 절단(切斷)할 수 있었다. 4) 이들 Peptide의 아미노배열순서(配列順序)는 Edman의 PTC법(法)과 소거법(消去法) 및 CarboBypeptidase A를 사용(使用)하여 결정(決定)하였다. 5) 분리(分離)한 Peptide의 아미노산배열순서(酸配列順序)는 다음과 같았다. $Im\;Ch-M\;PCA{\cdot}Ser{\cdot}Val{\cdot}Leu$ $Ik\;Ch-M\;PCA{\cdot}Ser{\cdot}Ala{\cdot}Leu1$

  • PDF

훈건멸치 분말수프의 가공 및 정미성분 (Processing of Powdered Smoked-Dried Anchovy Soup and Its Taste Compounds)

  • 오광수;이형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93-397
    • /
    • 1994
  • 훈건멸치 분말수프의 제품화에 필용한 가공조건을 구명하고, 시제품의 정미성분 및 품질 등에 대하여 실험 하였다. 원료멸치를 수세한 후 $5{\sim}6%$의 식염 및 1.0%의 에리소르빈산나트륨을 첨가한 자숙수 중에서 5분간 자숙하였고, 자숙이 끝난 멸치는 물빼기를 한 후 훈연실로 옮겨 $40^{\circ}C$에서 4시간 훈건 후 점차 온도를 올려 $80^{\circ}C$에서 8시간 동안 훈건하였다. 이를 분쇄기로써 분쇄한 후 50mesh의 체를 통과시켜 얻은 분말을 PET/Al/CPP 적층필름주머니에 충전 포장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제품의 수분함량은 9.4%, 조지방 9.6%, 조회분은 15.8%이었고, 산도는 23.0ml, 염도는 6.9%, 휘발성염기질소함량은 31.2mg/100g 이었다. 제품의 가공 중 지질성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항산화제로 첨가한 에리소르빈산 나트륨 및 훈건처리 중 부착된 고비점페놀류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제품 가공 중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분해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제품의 가장 중요한 정미성분인 IMP의 함량은 건물량으로 466.5mg/100g이었고, 제품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1179.2mg/100g으로 주요 아미노산은 histidine, taurine, proline, lysine, alanine, glutamic acid 등이었다. 유기산으로는 lactic acid가 591.4mg/100g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TMAO는 21.3mg/100g 함유되어 있었다. Creatinine 및 betaine 함량은 595.9mg/100g, 57.2mg/100g 이었다.

  • PDF

분리녹두단백의 식품기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Functional Properties of Mungbean Protein Isolates)

  • 계인숙;전영수;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00-306
    • /
    • 1989
  • 선화녹두(sunhwa-nogchu ; SH)와 재래종 녹두(conventional variety : C) 2품종의 탈지녹두가루에서 분리녹두단백(mungbean protein isolate ; MPI)을 제조하고, 이들의 일반성분분석, nitrogen solubility, buffer capacity, gelation, foamability를 포함하는 기능적 특성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즉, $88.7{\sim}92.3%$의 조단백질을 함유하는 MPI는 $pH\;4.0{\sim}5.0$ 부근에서 가장 낮은 용해성을 나타내었으나, pH 9에서는 $76.0{\sim}82.4%$의 높은 용해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MPI-SH, MPI-C는 둘 다 pH 3.0에서 7.3, 9.9로 가장 높은 buffer capacity를 가지며, pH 4.0과 8.0에서는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MPI-SH에서는 14%, MPI-C에서는 16%의 단백질 농도(W/V)일 때 최초로 gel을 형성하였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보다 단단한 gel을 형성하였고, 8% 단백질 농도(W/V)에서 점성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리고 whipping time을 5분으로 했을 때 MPI-SH에서는 76.4%, $2.1m{\ell}/g$, MPI-C에서는 70.9%, $2.0m{\ell}/g$의 % volume increase와 specific volume을 각각 나타냈고, whipping time을 10분으로 했을 때 더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egg white 보다는 못하지만 좋은 foamability를 가지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