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Cl Concentration

검색결과 1,589건 처리시간 0.033초

TTAB 수용액에서 4-할로겐화 페놀유도체의 가용화에 미치는 NaCl과 n-부탄올의 효과 (Effects of NaCl and n-Butanol on the Solubilization of 4-Halogenated Phenols in Aqueous Solution of TTAB)

  • 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6호
    • /
    • pp.517-523
    • /
    • 2014
  • UV-Vis 분광도법을 이용하여 순수 물에서 TTAB(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계면활성제분자의 미셀화와 그 용액에서 4-할로겐화 페놀유도체들의 가용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이들 물성에 미치는 NaCl과 n-부탄올의 효과를 조사함으로써 미셀과 페놀유도체와의 상호작용과 미셀 내에서 가용화되는 위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미셀화에 대한 ${\Delta}G^o_m$값과 가용화에 대한 ${\Delta}G^o_s$값은 모두 음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첨가제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이들 열역학적 함수값들은 각기 다른 변화를 보였다. 즉, NaCl의 농도를 증가하였을 때 ${\Delta}G^o_m$${\Delta}G^o_s$값은 모두 감소하였다. 그러나 n-부탄올의 농도를 증가할수록 ${\Delta}G^o_m$값은 감소한 반면에 ${\Delta}G^o_s$값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Effects of red glasswort as sodium chloride substitut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loin ham

  • Jeong, Tae-Jun;Kim, Tae-Kyung;Kim, Hyun-Wook;Choi, Yun-Sa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4호
    • /
    • pp.662-669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red glasswort (RG) (Salicornia herbacea L.) curing on the physicochemical,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ooked pork loin ham (M. longissimus thoracis et lumborum). Methods: All treatments were cured with different salt and RG powder levels. RG0 treatment was prepared with only 4% NaCl (w/w) as a control, and RG25, 3% NaCl:1% RG (w/w); RG50, 2% NaCl:2% RG (w/w); RG75, 1% NaCl:3% RG (w/w); RG100, 0% NaCl:4% RG (w/w) treatments were prepared sequentially. All samples were individually vacuum packaged in polyethylene bags and stored for 7 d at 3℃±1℃.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as the rate of RG substitution increased, pH value, redness, myofibrillar protein solubility, and myofibrillar fragmentation index increased (p<0.05), but salt concentration and shear force decreased (p<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oking loss and moisture content. In terms of sensory evaluation, RG100 exhibited higher scores in tenderness and juiciness than RG0 (p<0.05). Conclusion: The partial substitution of NaCl by RG could improv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textur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ed pork loi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RG as a natural salt replacer could be an effective ingredient for developing low-sodium cured hams.

Bacillus subtilis JK-1의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을 위한 배양 특성 (Characteristics of Culture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Crude Biosurfactant by Bacillus subtilis JK-1)

  • 김지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3호
    • /
    • pp.153-15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Bacillus subtilis JK-1의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을 위한 배양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배양 온도와 배지의 pH, NaCl 농도에 따른 균주의 생장과 배양액의 pH, crude 생물계면활성제의 표면장력을 배양 시간대별로 측정하였다. B. subtilis JK-1은 $15-45^{\circ}C$와 pH 6-10, 0-10% (w/v) NaCl 농도의 환경에서 생장과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이 가능하였으며, 배양액의 pH는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으로 점차 변화 하였다.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은 pH 7.0의 초기 배지에서 $35^{\circ}C$, 48시간 동안 배양했을 때 최대였으며, 이 때의 표면장력은 24.0mN/m이었다. 그리고 배지 내 NaCl 농도가 0% (w/v)에서 10% (w/v)로 증가할수록 균주 생육도는 감소하였고, 최종 배양액의 pH는 약알칼리성에서 산성으로 변화하였으며, 표면장력 값은 증가하였다.

한계전류밀도 이상에서 전기투석공정의 운전 (Operation of Electrodialysis at Over Limiting Current Density)

  • 박진수;최재환;문승현
    • 멤브레인
    • /
    • 제12권3호
    • /
    • pp.171-181
    • /
    • 2002
  • 이온교환막의 전압-전류곡선의 plateau length를 결정하는 변수를 다양한 NaCl 농도와 유속 하에서 연구하였다. 또한, 한계전류밀도 이상의 전류에서 전기투석공정 운전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다양한 전류밀도의 전원을 공급하면서 0.1 M NaCl 용액의 탈염실험을 실시하여 이온의 제거효율, 전류효율, 에너지소비량, 물 분해 현상을 측정하였다. NaCl 용액의 농도와 유속이 감소하면서 확산경계층의 두께도 함께 감소하였으며, 본 확산경계층의 두께는 plateau length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염실험에서 측정된 이온 제거 효율 및 전류효율은 한계전류밀도 이상에서도 한계전류밀도 이하에서의 탈염실험과 크게 차이 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한계전류밀도 이상에서도 대부분의 전류는 이온교환막 표면의 물분해에 의한 것이 아니라 막을 통한 이온의 이동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한계전류밀도 이상에서의 탈염운전에 대한 에너지소비량은 plateau length의 영향으로 한계전류밀도 이하에서의 탈염운전 보다 다소 높지만, 한계전류밀도 이상에서는 전류밀도의 증가에도 에너지소비량이 증가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물분해 현상이 심각하게 일어나지 않는 한 한계전류밀도 이상에서도 매우 경제적으로 전기투석 공정을 운전찬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원판틀형 역삼투 모듈의 투과성능 비교 (The Separation Performance of Disc Plate and Frame Type Reverse Osmosis Modules)

  • 박민수;배성렬;정건용
    • 멤브레인
    • /
    • 제7권2호
    • /
    • pp.75-83
    • /
    • 1997
  • 직선형(Type 1), 곡선형(Type 2) 및 병렬형 (Type 3) baffle을 설치한 역삼투용 판틀형 모듈을 설계 제작하였으며 NaCl과 sucrose 용액을 각각의 모듈에 공급하여 용액농도 및 운전압력등이 분리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고 각 모듈의 특성치를 비교하였다. 운전압력 35bar, 원료 공급유량 6 l/min 이내의 운전조건에서 Type 3가 투과선속 및 배제율 측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NaCl 수용액의 경우, Type 1에 대한 Type 2 및 3의 투과선속 향상율은 운전압력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1wt% NaCl 수용액에 대한 Type 3 투과선속 향상율은 10bar 근처에서 약 100%이었으나 35bar에서는 약 10%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sucrose 수용액에 대한 Type 2 및 3의 투과선속 향상율은 농도 및 운전압력에 따라서 크게 변화하였다. 또한 Type 3의 경우, 원료용액의 공급속도 변화에 따른 투과선속의 의존성은 거의 선형적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baffle이 존재하지 않는 난류영역에서 보다 큰 값이었다.

  • PDF

단순한정배양액의 성분조정에 의한 소 수정란의 체외생산 (In Vitro Production of Bovine Embryos by Modification of Simple Defined Culture Medium)

  • 노상호;윤종택;한기영;이병천;황우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35-243
    • /
    • 1998
  • 적정 배양액의 선정, ITS의 첨가와 BSA의 농도조절 및 NaCl 농도의 조절을 통해 소 수정란의 무혈청, 체세포배제 배양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한 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배양액으로 CRlaa, TALP 및 SOF를 사용하여 발육률을 검토한 결과, 발육률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배양액내의 고분자물질원으로 BSA, FBS 및 PVA를 첨가하여 사용한 결과 BSA 및 FBS 첨가군이 PVA 첨가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발육률을 나타내었다(p〈0.01). 3. 배양액내의 BSA 농도를 달리 하면서(1, 3, 8 mg/ml) 1% ITS를 첨가하여 실험한 결과 BSA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후기배로의 발육률이 높았으며 모든 군에서 ITS 첨가군이 후기배로의 발육률이 높았으나 BSA가 1 mg/ml로 첨가된 군에서만 ITS 첨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p〈0.05). 4. 배양액내의 N3Cl 농도를 114 mM과 90 mM 로 나누어 소 수정란을 배양한 결과 90 mM 군의 후기배로의 발육률이 114 mM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 PDF

간척지 자생 버드나무의 NaCl 농도별 생육반응 (Effects of NaCl Concentration on the Growth of Native Willow Species Collected in a Coastal Reclaimed Land)

  • 여진기;박정현;구영본;김현철;신한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4-131
    • /
    • 2010
  • 본 연구는 간척지에 자생하는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Anderson)를 대상으로 염분에 대한 내성의 범위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간척지에서 선발된 버드나무 6개체의 가지를 잘라 온실에서 삽목하여 2개월이 경과한 다음부터 NaCl 0.1%, 0.5%, 1.0% 용액과 지하수를 1개월간 관수하면서 재배하였다. 0.1% 및 지하수 처리구에서 전체 묘목의 생존율은 100%인 반면 0.5% 및 1.0% 처리구에서는 각각 73.2% 및 58.8%로 감소하였다. 0.1%와 지하수 처리구간의 묘고와 근원경 생장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엽수는 실험기간동안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0.5% 및 1.0% 처리구에서 묘고 생장은 지하수 처리구에 비해 각각 43.8% 및 88.9% 감소하였다. 0.5% 및 1.0% 처리구 묘목의 잎은 스트레스로 갈변하고 조기 낙엽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버드나무는 온실에서의 NaCl 처리결과 해안간척지에서 자생하는 개체임에도 불구하고 일반 임지에서 자생하는 버드나무보다 염분에 대한 내성 능력이 크지는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전기 분무 시스템의 전기수력학적 특성 (Electro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n Electro-Spray System)

  • 이재복;황정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3권8호
    • /
    • pp.1031-1039
    • /
    • 1999
  • Electrospraying comprises the generation of liquid droplets by applying a high voltage to the surface of a liquid. By monitoring the current and the flow rate it was possible to obtain a stable cone jet mode in a given condition. In this work the liquid contained NaCl particles resolved in distilled water. The NaCl particles increased concentration of the ionized solution and thus increased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liquid, which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flow rate in the cone jet mode. A number of sprayed droplets were sampled and dried enough, and then the size of NaCl particles were measured. The measured droplet diameter was a little larger than two theoretical diameters, Rayleigh diameter and mobility diameter.

광양만에서 분리된 새로운 호염성 Azotobacter insignis 약주에 관하여 (A new Salt requiring Strain of Azotobacter insignis isolated from Kwangyang Bay)

  • 홍순우;하영칠;진숙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65-172
    • /
    • 1975
  • A strain of Azotobacter species was isolated from the surface sea water of Kwang-yang Bay in Korea and was identified as Azotobacter insignis. In order to reveal the natural habitat of this microorganism, growth at various salt concentrations was tested with the result of 3% NaCl beins optimum. Only slight growth was detected in the absence of NaCl. This result was thought to prove (in part) that the natural habitat of the strain dealt with is sea water. Fairly good growth was obtained at 6% NaCl concentration. The study of effects of salt on the growth og this strain to various temperatures and pHs has shown that temperature $30{\circ}C and pH 7.0 are Optimum.

  • PDF

연속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한 수산물 가공폐수 처리 (Treatment of Fish Processing Wastewater Using Sequencing Batch Reactor (SBR))

  • 백병천;신항식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8-26
    • /
    • 1994
  • This research investigated efficient operation mode for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SBR(sequencing batch reactor) treating fish processing wastewater, and the effect of sodium chloride (NaCl) on treatment efficiency. 2-hour-annerobic, 6-hour-aerobic and 3-hour-anoxic operation during reaction period was found an effective operating method for organic and nitrogen removal from fish processing wastewater in SBR system.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ies of COD, BOD, and total nitrogen in SBR operated continuousely were 91%, 95%, and 67.1%, respectively. The estimated values of biomass yield coefficient(Y), microbial decay coefficient($K_d$), and bioreaction rate constant(K) were $0.35gMLSS/gCOD_{removed}$, $0.015day^{-1}$, and $0.209hr^{-1}$, respectively. As NaCl concentration increased from 5 to 30g/L, sludge settleability was cnhanced but organic removal in the reactor was decreased. NaCl of influent had considerable relationship with COD removal, whereas it did not significant affect nitrogen remov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