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Y

검색결과 27,695건 처리시간 0.051초

돈육식품의 품질에 미치는 Chloride Salts의 대치 효과 (Effect of Partial Replacement of Sodium Chloride on Quality of Ground Pork Patties)

  • 박영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23-133
    • /
    • 1994
  • The ground pork patties were made to add two level of sodium chloride(2.5%, 3.0%) and replace part(50%) of the sodium chloride(NaCl) with either potassium chloride(KCl), magnesium chloride(MgCl2) or calcium chloride(CaCl2). These samples were analyzed for their chemical composition, VBN value, TBA value, microbial counts, and cooking loss. The ground pork with NaCl 2.5% was more desirable in saltness than the ground pork with NaCl 3.0%. Replacing 50% of the sodium chloride with potassium chloride was more desirable to flavor, color, juic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than replacing 50% of the sodium chloride with either magnesium chloride or calcium chloride. The ground pork with NaCl 2.5% or NaCl 1.25% +KCI 1.60% had higher pH value than the ground pork with NaCl 1.25% +MgCl2 0.67% or NaCl 1.25% +CaCl2 0.79%. The ground pork with the ground pork with NaCl 2.5% had lower VBN value than the ground pork with either NaCl 1.25%+KCI 1.60%, NaCl 1.25% + MgCl2 0.67%, or NaCl 1.25% +CaCl2 0.79%. The ground pork with NaCl 1.25% + CaCl2 0.67% had higher increase in total colony count than the ground pork with NaCl 2.5% or NaCl 1.25% + CaCl2 0.79%. Cooking loss of ground pork with NaCl 2.5% was lowest and cooking loss of ground pork with NaCl 1.25% + KCl 1.60% was highest. Potassium chloride would not be a substitute for sodium chloride in cooking loss and total colony count but potassium chloride more closely approximated the sensory properties of sodium chloride than either magnesium chloride or calcium chloride.

  • PDF

야생(野生)버섯의 기생균(寄生菌)인 이분지털곰팡이의 출현(出現)과 배양(培養) 특성(特性) (Occurrence of Syzygites Megalocarpus on Wild Mushrooms and Its Cultural Characteristics)

  • 가강현;박현;윤갑희;박원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5호
    • /
    • pp.691-696
    • /
    • 2000
  • 이분지털곰팡이(Syzygites megalocarpus)는 송이, 껄껄이그물버섯, 노란분말그물버섯, 냄새무당버섯, 암회색광대버섯아재비에서 출현하고 있었다. 이분지털곰팡이는 Malt Extract Agar, Mueller Hinton Medium, Potato Dextrose Agar에서 잘 자랐으며, 생육 최적온도는 $23^{\circ}C$ 내외, 최적 pH는 6.0 이었다. PDA배지에서 이분지털곰팡이는 2일째에 NaCl이 포함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5% NaCl에서는 생장이 36.5% 억제되었고 8% 이상 NaCl에서는 생장이 거의 없었다. 그러나 5일째에는 10% NaCl에서도 1.1cm 생장을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송이균은 NaC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장이 감소되어 2.5%에는 거의 생장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분지털곰팡이는 고농도의 NaCl에서도 생육이 가능하므로 송이 버섯에서 발생한 이분지털곰팡이를 NaCl 처리로 방제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Rat에서 $Na^{+}-K^{+}$ATPase 활성도와 $Na^{+},\;K^{+}$ 배설에 미치는 질산 우라늄의 영향 (Effects of Uranyl Nitrate on $Na^{+}-K^{+}$Adenosine Triphosphatase Activity and Excretion of $Na^{+}\;and\;K^{+}$in Rats)

  • 이기호;윤택구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4권1호
    • /
    • pp.1-7
    • /
    • 1989
  • 우라늄 피폭으로 발생하는 다뇨증과 급성 신부전증의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질산 우라늄을 정맥주사한 후 소변으로 배설되는 $Na^{+},\;K^{+}$의 전해질 양과 $Na^{+}-K^{+}$ adenosine triphosphatase($Na^{+}-K^{+}$ATPase) 활성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질산 우라늄 투여 24시간 이내에 $Na^{+},\;K^{+}$의 배설량이 크게 증가 하였고, 투여 3일 후에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때 $Na^{+},\;K^{+}$의 소변내 농도도 정상 대조군 범위 이하였다. 한편 $Na^{+}-K^{+}$ATPase활성은 투여 3일후에 고농도 질산 우라늄 투여 (30mg/kg BW) 시에만 감소 하였고, 저농도 투여군(5mg/kg BW, 15mg/kg BW) 에서는 활성 변화가 없었다.

  • PDF

Mo 기판위의 NaF 중간층을 이용한 Cu(In,Ga)Se2 광흡수층의 Na 도핑특성에 관한 연구 (Na Doping Properties of Cu(In,Ga)Se2 Absorber Layer Using NaF Interlayer on Mo Substrate)

  • 박태정;신동협;안병태;윤재호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452-456
    • /
    • 2009
  • In high-efficiency Cu(In,Ga)$Se_2$ solar cells, Na is doped into a Cu(In,Ga)$Se_2$ light-absorbing layer from sodalime-glass substrate through Mo back-contact layer, resulting in an increase of device performance. However, this supply of sodium is limited when the process temperature is too low or when a substrate does not supply Na. This limitation can be overcome by supplying Na through external doping. For Na doping, an NaF interlayer was deposited on Mo/glass substrate. A Cu(In,Ga)$Se_2$ absorber layer was deposited on the NaF interlayer by a three-stage co-evaporation process As the thickness of NaF interlayer increased, smaller grain sizes were obtained. The resistivity of the NaF-doped CIGS film was of the order of $10^3{\Omega}{\cdot}cm$ indicating that doping was not very effective. However, highest conversion efficiency of 14.2% was obtained when the NaF thickness was 25 nm, suggesting that Na doping using an NaF interlayer is one of the possible methods for external doping.

겨울철 개구리 (Rana temporaria)의 $Na^{+}$이온 대사 ($Na^{+}$ Metabolism in the Frog in the Winter Time)

  • 이중우;강두희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7권1호
    • /
    • pp.41-47
    • /
    • 1973
  • $Na^{+}$ balance was studied in Rana temporaria, which hibenates in fresh water in the winter time. $Na^{+}$ uptake rate, skin $Na^{+}$ loss rate, urinary $Na^{+}$ loss rate and $Na^{+}-K^{+}$ adenosine triphosphatase(ATPase) were measured at two different temperatures $1{\sim}2^{\circ}C\;and\;20{\sim}24^{\circ}C$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Na^{+}$ uptake rates in the frog in an artificial Pond water (APW) were found to be $8.28{\pm}0.73\;and\;2.19{\pm}0.37\;{\mu}Eq/g/day\;at\;20{\sim}24^{\circ}C\;and\;1.0{\sim}2.5^{\circ}$ respectively. 2. $Na^{+}$ loss rate through the frog skin to APW were found to be $4.26{\pm}0.72\;and\;0.93{\pm}0.21\;{\mu}Eq/g/day$ at the same temperatures. 3. Mean rates of urinary $Na^{+}$ loss at $20{\sim}24^{\circ}C\;and\;3{\sim}4^{\circ}C$ were found to be $3.02{\pm}0.73\;and\;0.78{\pm}0.13\;{\mu}Eq/g/day$ respectively. 4. The activities of $Na^{+}-K^{+}$ activated ATPase of frog skin fragments were found to be $258{\pm}39.4\;and\;49.6{\pm}7.1\;{\mu}M\;Pi/g$ protein/hr at $24^{\circ}C\;and\;2^{\circ}C$ respectively. From the above results, it may be concluded that frogs can take up enough $Na^{+}$ through the skin from APW exceeding skin loss Plus urinary loss at $1{\sim}2^{\circ}C$. It is suggested that $Na^{+}$ transport across frog skin is closely related with $Na^+-K^+$ ATPase since $Q_{10}\;of\;Na^{+}$ uptake is much similar to that of the activities of $Na^{+}-K^{+}$ ATPase.

  • PDF

개구리 뇌에서 $Na^+$,$K^+$- ATPase 특성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Variation in the $Na^+$,$K^+$-ATPase Activity in Frog (Rana dybowskii) Brain)

  • 김미승;임욱빈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49-456
    • /
    • 1995
  • 북방산개구리 뇌 조직의 Na+, K+, ATPase와 Mg2+-ATPase 활성도와 특성의 계절에 따른 변화를 연구하였다. 북방산개구리 뇌에서 Na+, K+, ATPase 활성도는 활동기와 동면기에 비슷한 활성도를 나타내고, 동면에서 깨어나는 각성기와 동면으로 들어가는 시기에 높은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5-35$^{\circ}C$의 온도에서 각 계절 전반에 걸쳐서 Na+, K+, ATPase는 non-linear Arrhenius kinetics를 보였다. Mg2+-ATPase는 동면기에 분명하게 감소하였으며 각성기에는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Mg2+-ATPase는 모든 계절에 걸쳐서 linear Arrhenius kinetics를 나타내었다. Na+, K+, ATPase의 15$^{\circ}C$/35$^{\circ}C$에서 활성도의 비에는 동면기와 활동기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ouanain에 의한 Na+, K+, ATPase의 활성 저해 양상도 계절에 따른 변화가 없었다. 본 결과는 동면기에도 활동기와 마찬가지로 개구리 뇌의 Na+, K+, ATPase의 생화학적 특성과 활성도가 유지됨을 시사한다.

  • PDF

RENAL EXCRETION OF $Na^+$ AND $K^+$ IN CADMIUM-INTOXICATED RATS

  • Kim, Yung-Kyu;Park, Yang-Sae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5권2호
    • /
    • pp.79-87
    • /
    • 1989
  • Changes in urinary $Na^+$ and $K^+$ excretions, renal cortical microsomal $Na^+$ -K-ATPase activity, cortical tissue electrolyte content and plasma aldosterone level were studied in rats treated with CdCl2 (2 mg Cd/kg/day, s.c. injection) for 7-14 days. After 7 days of cadmium exposure, urinary excretion of $Na^+$ was markedly reduced. This change was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Na^+$-$K^+$-ATPase activity, a fall in tissue $Na^+$ content, a rise in tissue $K^+$ content and an elevation of plasma aldosterone level.

  • PDF

마이크로파 및 기존 가열 방법에 의한 제올라이트 NaY의 합성 (Synthesis of NaY Zeolites by Microwave and Conventional Heating)

  • 최고열
    • 공업화학
    • /
    • 제18권4호
    • /
    • pp.344-349
    • /
    • 2007
  • 마이크로파 가열(microwave heating)에 의하여 제올라이트 NaY를 합성하였으며, 그 결과를 기존의 가열 방법(conventional heating)에 의하여 합성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같은 승온 속도를 사용하였을 때는 마이크로파에 의하여 가열하였을 때가 기존의 가열 방법에 비하여 NaY 결정 생성의 유도 기간(induction period)이 감소하였으며 결정의 생성 속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마이크로파의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승온 속도가 빠를 때도 유도 기간이 감소하고 결정 생성 속도가 증가하였다. 빠른 승온 속도에서 합성하였을 때 최종 결정의 크기가 크며, 이는 마이크로파의 사용에 의하여 더욱 증가하였다. 빠른 승온 속도에서는 반응 시간이 짧아져서 NaY의 합성에 소모되는 에너지 소모량은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조건에서는 에틸렌글리 콜조(ethylene glycol bath)를 사용한 기존 가열 방법에서의 에너지 소모량이 마이크로파 가열보다 적게 나타났는데, 이는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이 항상 효율적인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말해준다. 그러나 승온 속도를 적절히 조절하면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서 에너지 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NaY를 합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NaCl을 다량 함유한 음식물쓰레기 퇴비 시용이 논 토양에서 벼의 생육과 체내 양이온 균형에 미치는 영향 (Application Effect of Food Waste Compost Abundant in NaCl on the Growth and Cationic Balance of Rice Plant in Paddy Soil)

  • 이상은;안현진;윤승길;김석민;정광용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0-108
    • /
    • 2000
  • 음식물쓰레기 퇴비 시용이 담수 조건의 벼 생육과 수량, 체내 양이온 균형 및 토양의 Na 집적 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폿트 실험을 하였다. 처리로는 무처리, NPK, NPK에 NaCl을 3수준(300, 600, $900kgha^{-1}$)으로 시용한 처리, 음식물쓰레기 퇴비와 돈분발효 퇴비를 각각 3수준(30, 60, $90Mgha^{-1}$)으로 한 처리 등을 두었다. 음식물쓰레기 퇴비는 $Na_2O$ 함량이 2.2%로 높았다. 이앙 직후 활착기간 중 음식물쓰레기 퇴비 $40Mgha^{-1}$ > NPK+NaCl $900kgha^{-1}$ > 음식물쓰레기 퇴비 $20Mgha^{-1}$ 순으로 심한 위조 현상을 보였으며, 그 원인으로 판단되는 토양용액 중의 EC와 유기산 함량이 음식물쓰레기 되비 $40Mgha^{-1}$ 처리에서 매우 높았다. NaCl을 $900kgha^{-1}$까지 시용하여도 대조구인 NPK구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수확기 건물중의 감소가 일어나지 않았다. 음식물쓰레기 퇴비 시용은 시용량에 관계없이 수확기 건물중을 감소시킨 반면, 돈분발효퇴비는 $40Mgha^{-1}$까지 시용량이 증가될수록 건물중을 증가시켰다. NPK + NaCl처리들과 음식물쓰레기 퇴비 처리들에서 Na 시용량이 증가될수록 수확기 식물체 중 Na 함량이 직선적으로 증가되었다. Na 당량비도 Na 함량과 같은 경향이었으며, Na 당량비와 K 당량비 사이에는 고도의 유의성있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Na와 K의 당량비 및 Na/K 당량비 비율은 처리간 편차가 매우 컸던 반면, Na+K 당량비 합은 편차가 적어 상당부분 Na의 K에 대한 생리적 대체가 인정되었다. Na 이용률은 NaCl과 음식물쓰레기 퇴비 처리들에서 12~22%를 나타내었다.

  • PDF

팜 부산물 활용 바이오 에탄올 생산을 위한 NaOH 전처리 공정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Pretreatment by NaOH Leaching for Production of Bioethanol from Palm Waste)

  • 우상선;박지연;나종분;이준표;이진석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06.1-106.1
    • /
    • 2010
  • 본 연구는 팜 부산물로부터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하는 전처리-당화-발효 공정의 첫 번째 단계인 전처리 공정에서 팜 부산물을 NaOH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전처리하고자 하였다. 암모니아 침지법과 NaOH 침출법을 비교한 결과 팜 부산물에 대해서는 암모니아 침지에 의한 탈리그닌 효과가 적으며 NaOH 전처리가 적합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40-100 mesh 크기의 팜 부산물을 이용하여 반응온도(110, 130, $150^{\circ}C$), 반응시간(20, 40, 60분) 및 NaOH 농도(5%, 11%)의 변화에 따른 팜 부산물의 탈리그닌율과 글루코스 및 자일로스 회수율 간의 상호관계를 확인하였다. $150^{\circ}C$까지의 온도 조건에서 온도에 의한 자일로스의 분해는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팜 부산물의 탈리그닌율은 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높은 NaOH 농도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글루코스 및 자일로스의 회수율은 높은 농도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여 손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NaOH 농도가 낮을수록 당 회수율은 높게 나타나지만, 탈리그닌율이 낮아 당화 효율이 떨어지므로 효소 당화 후에 최종 당 회수율이 높은 NaOH 농도 조건을 결정하여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