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Effect of Food Waste Compost Abundant in NaCl on the Growth and Cationic Balance of Rice Plant in Paddy Soil

NaCl을 다량 함유한 음식물쓰레기 퇴비 시용이 논 토양에서 벼의 생육과 체내 양이온 균형에 미치는 영향

  • 이상은 (한경대학교 식물자원과학과) ;
  • 안현진 (한경대학교 식물자원과학과) ;
  • 윤승길 (한경대학교 식물자원과학과) ;
  • 김석민 (공주대학교 농학과) ;
  • 정광용 (농촌진흥청 연구기획과)
  • Published : 2000.04.30

Abstract

High sodium contents in food-waste compost(FWC) is the greatest limitation to recycle it to arable lands in Korea. The effects of the FWC application to paddy soil on the growth of rice plants, cationic balance in plants, and the sodicity of soil have been studied in pot trials. The effects of FWC applicatio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NaCl compound and swine manure compost(SMC) application. $Na_2O$ contents of FWC were high as 2.2%. Immediately after transplanting, rice plants in three treatments showed severe wilting in the order of 40Mg FWC $ha^{-1}$ > NPK+900kg $NaClha^{-1}$ > 20Mg FWC $ha^{-1}$. The high EC value and volatile acid contents of soil solution were regarded as the cause of severe wilting of young rice plants. Increase of NaCl application rate upto $900kgha^{-1}$ showed no significant reduction of dry matter yield at harvesting stage. Regardless of application rates FWC reduced the dry matter yield at harvesting stage, while SMC increased it with increase of application rates upto $40Mgha^{-1}$. In NPK+NaCl and FWC treatments, Na contents and equivalent ratio in plants increased linearly with increase of Na application rates. Between Na and K equivalent ratio negative correlation with high significance was shown. In contrast to much difference of Na, K, and Na/K equivalent ratio among treatments, little difference of Na+K indicated the physiological substitution of Na for K in rice plants. Na use efficiency in NPK+NaCl and FWC treatments showed 12-22%.

음식물쓰레기 퇴비 시용이 담수 조건의 벼 생육과 수량, 체내 양이온 균형 및 토양의 Na 집적 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폿트 실험을 하였다. 처리로는 무처리, NPK, NPK에 NaCl을 3수준(300, 600, $900kgha^{-1}$)으로 시용한 처리, 음식물쓰레기 퇴비와 돈분발효 퇴비를 각각 3수준(30, 60, $90Mgha^{-1}$)으로 한 처리 등을 두었다. 음식물쓰레기 퇴비는 $Na_2O$ 함량이 2.2%로 높았다. 이앙 직후 활착기간 중 음식물쓰레기 퇴비 $40Mgha^{-1}$ > NPK+NaCl $900kgha^{-1}$ > 음식물쓰레기 퇴비 $20Mgha^{-1}$ 순으로 심한 위조 현상을 보였으며, 그 원인으로 판단되는 토양용액 중의 EC와 유기산 함량이 음식물쓰레기 되비 $40Mgha^{-1}$ 처리에서 매우 높았다. NaCl을 $900kgha^{-1}$까지 시용하여도 대조구인 NPK구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수확기 건물중의 감소가 일어나지 않았다. 음식물쓰레기 퇴비 시용은 시용량에 관계없이 수확기 건물중을 감소시킨 반면, 돈분발효퇴비는 $40Mgha^{-1}$까지 시용량이 증가될수록 건물중을 증가시켰다. NPK + NaCl처리들과 음식물쓰레기 퇴비 처리들에서 Na 시용량이 증가될수록 수확기 식물체 중 Na 함량이 직선적으로 증가되었다. Na 당량비도 Na 함량과 같은 경향이었으며, Na 당량비와 K 당량비 사이에는 고도의 유의성있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Na와 K의 당량비 및 Na/K 당량비 비율은 처리간 편차가 매우 컸던 반면, Na+K 당량비 합은 편차가 적어 상당부분 Na의 K에 대한 생리적 대체가 인정되었다. Na 이용률은 NaCl과 음식물쓰레기 퇴비 처리들에서 12~22%를 나타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