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 compounds

검색결과 885건 처리시간 0.024초

Li, K과 Na-흑연 층간화합물의 stage 전이특성 (Stage transformation characteristice of Li, K and Na-graphite intercalation compounds)

  • 오원춘;임창성;오근호;고영신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83-90
    • /
    • 1998
  • Li, K과 Na-흑연 층간화합물의 stage 전이 특성을 탄소층사이에 존재하는 intercalants의 deintercalation 메카니즘을 고려하여 제시하였다. 온도와 압력을 조절하여 합성된 Li-GICs(graphite intercalation compounds)를 분위기하에서 자발적으로 분해시켰다. 이들 화합물을 XRD 분석한 결과 1, 2 stage의 d001-값이 각각 3.71, 7.06 $\AA$으로 나타났다. 분위기하에서 Li-GiCs를 deintercalation 반응을 시킨 6주 후에 잔유화합물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two-bulb 법으로 K-GICs를 합성하였으며, K-GDICs(graphite deintercalation compounds)의 구조적 안정성과 stage 전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X-선회절 결과로부터 K-GDICs는 10주 동안 안정한 K-흑연 잔유 화합물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고온, 고압법을 이용하여 합성된 1, 2stage의 Na-GICs의 deintercalation 반응과 열적 안정성에 대한 온도 의존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열적 안정성과 관련하여 Na-GICs의 구조변화를 XRD에 의하여 확인하였다. 이들 과정에 따르면 stage 전이는 무질서한 stage를 가진 GDICs의 불규칙적인 deintercalation에 의하여 형성됨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Starter Candidates and NaCl on the Production of Volatile Compounds during Soybean Fermentation

  • Jeong, Do-Won;Lee, Hyundong;Jeong, Keuncheol;Kim, Cheong-Tae;Shim, Sun-Taek;Lee, Jong-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191-199
    • /
    • 2019
  • We inoculated different combinations of three starter candidates, Bacillus licheniformis, Staphylococcus succinus, and Tetragenococcus halophilus, into sterilized soybeans to predict their contributions to volatile compound production through soybean fermentation. Simultaneously, we added NaCl to soybean cultures to evaluate its effect on the volatile compounds profile. Cells in soybean cultures (1.5% NaCl) nearly reached their maximum growth in a day of incubation, while cell growth was delayed by increasing NaCl concentrations in soybean cultures. The dominance of B. licheniformis and S. succinus in the mixed cultures of three starter candidates switched to T. halophilus as the NaCl concentration increased from 1.5% to 14% (w/w). Seventeen volatile compounds were detected from the control and starter candidate-inoculated soybean cultures with and without the addition of NaCl.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hese volatile compounds concluded that B. licheniformis and S. succinus made major contributions to producing a specific volatile compound profile from soybean cultures where both species exhibited good growth. 3-Hydroxybutan-2-one, butane-2,3-diol, and 2,3,5,6-tetramethylpyrazine are specific odor notes for B. licheniformis, and 3-methylbutyl acetate and 2-phenylethanol are specific for S. succinus. Octan-3-one and 3-methylbutan-1-ol were shown to be decisive volatile compounds for determining the involvement of S. succinus in the soybean culture containing 7% NaCl. 3-Methylbutyl acetate and 3-methylbutan-1-ol were also produced by T. halophilus during soybean fermentation at an appropriate level of NaCl. Although S. succinus and T. halophilus exhibited growth on the soybean cultures containing 14% NaCl, species-specific volatile compounds determin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volatile compounds profile were not produced.

열처리조건이 두 NASICON 조성의 소결 및 전기적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t-treatment Condi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Sintering and Electrical Behaviors of Two NASICON Compounds)

  • 강희복;조남희;김윤호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685-692
    • /
    • 1997
  • Effects of sintering temperature and time on the phase formation, the characteristics of sintering and electrical behaviors of NASICON compounds with Na3Zr2Si2PO12 and Na3.2Zr1.3Si2.2P0.8O10.5 compositions synthesized by solid state reaction were investigated. Maximum relative densities of 96% and 91% were obtained for Na3Zr2Si2PO12 and Na3.2Zr1.3Si2.2P0.8O10.5 compounds, respectively. Complex impedance analysis in a frequency range below 4 MHz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ionic conductivity and migration barrier height of the compounds at RT-30$0^{\circ}C$. The maximum ionic conductivity and the minimum migration barrier height were 0.45 ohm-1cm-1 and 0.07 eV, respectively. The migration barrier height of the high temperature form (space group : R3c) is about 30-40% of that of the low temperature form (space group : C2/c) in two NASICON compounds. Ionic conductivity increases with increasing sinterability, and the presence of glass phase in Na3.2Zr1.3Si2.2P0.8O10.5 compounds lowers significantly ionic conductivity at temperatures above 14$0^{\circ}C$.

  • PDF

구리로 이온교환된 NaY 제올라이트에 의한 유기 황 화합물들의 흡착제거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Adsorptive Removal of Organic Sulfur Compounds over Cu-Exchanged NaY Zeolites)

  • 정갑순;이석희;천재기;박동호;우희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4호
    • /
    • pp.534-539
    • /
    • 2010
  • 메탄 속에 포함되어 있는 TBM, THT, DMS 등의 유기 황 화합물에 대한 흡착 제거가 NaY와 CuNaY 제올라이트를 이용하여 303 K, 대기압 조건하에서 수행되었다. 삼성분계 흡착시스템 실험을 통해, NaY에서는 THT의 선택적 흡착이 목격되었으며, CuNaY에서는 모든 유기 황 화합물의 동시 흡착이 일어났다. 이러한 현상은 파과흡착곡선, 승온탈착, 겉보기 탈착 활성화 에너지 등의 실험결과로 부터 설명될 수 있었다. 황에 대한 흡착능은 CuNaY(2.90~3.20 mmol/g)가 NaY(0.70~0.90 mmol/g)보다 매우 우수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CuNaY에 존재하는 $Cu^{1+}$ 흡착점과 강한 산의 세기가 황 원자와의 강한 상호작용을 유발하여 높은 황 흡착능을 갖게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나노세공 분자체를 이용한 천연가스 연료로부터 황 화합물의 선택적 흡착 (Selective Adsorption of Sulfur Compounds from Natural Gas Fuel Using Nanoporous Molecular Sieves)

  • 김훈성;정종국;이석희;천재기;문명준;우희철
    • 청정기술
    • /
    • 제13권1호
    • /
    • pp.64-71
    • /
    • 2007
  • 천연가스로부터 유기 황 화합물인 THT와 TBM의 제거를 위한 적합한 흡착제의 선정이 수행되었다. 황 화합물에 대한 포화 흡착량은 Na-Y, Na-ZSM-5, Na,K-ET(A)S-10, Na-모더나이트, Na,K-클리놉틸올라이트, Ti/MCM-41, Ti/SBA-15이 포함되어진 나노세공 물질 및 무정형 티타노실리케이트에 대하여 펄스 흡착 방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측정되어진 물질들 중 Na-Y 와 Na,K-ET(A)S-10 제올라이트에서 THT와 TBM에 높은 흡착 용량을 보였다. Na,K-ET(A)S-10에서의 THT에 대한 포화 흡착량은 효율적인 흡착제로 잘 알려진 Na-Y 제올라이트와 비슷하였다. Na,K-ET(A)S-10에서의 THT와 TBM의 흡착량과 흡착능은 Na,K-ET(A)S-10의 결정성이 좋을수록 증가하였다. 모사되어진 천연가스를 이용한 파과 평가로부터 THT와 TBM 사이의 경쟁적 흡착에 관한 연구에서 Na,K-ET(A)S-10은 THT에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a,K-ET(A)S-10의 THT에 대한 파과 용량은 1.19 mmol/g 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Na,K-ETS-10과 Na,K-ETAS-10의 높은 흡착 성능이 제올라이트 구조의 넓은 기공 성질과 유기 황 화합물과의 강한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지닌 제올라이트 구조 속의 높게 교환되어진 양이온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진다.

  • PDF

다양한 페놀성 물질과 Folin-Ciocalteu 시약의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평가 (Factors Affecting Reactivity of Various Phenolic Compounds with the Folin-Ciocalteu Reagent)

  • 홍정일;김현정;김지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05-21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F-C시약을 이용한 페놀성 물질의 정량방법에서 다양한 종류의 페놀성 성분들의 반응특성 및 반응영향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정량방법 중 $Na_2CO_3$를 선처리는 F-C시약을 먼저 처리하는 방법에 비해 대부분 페놀성 물질들의 발색반응도 감소를 야기하였으며, 특히 -OH 밀도가 높은 galloyl group을 가진 gallic acid 및 EGCG 등의 성분이 두드러진 감소를 나타내었다. F-C시약과 $Na_2CO_3$를 동시에 처리하는 경우 F-C시약을 선처리 하는 경우에 비해 각 페놀성 물질의 반응성이 약간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 원인은 페놀성 물질들이 산성인 F-C시약에서보다 $Na_2CO_3$ 용액의 알칼리 환경에서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기 때문이며, pH 7.4 및 9의 환경에서 페놀성 물질로부터 생성된 산화물들은 F-C시약과의 반응성이 약화됨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중에 같이 형성된 $H_2O_2$는 F-C와의 반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FeA와 SiA와 같은 monophenol류는 방법의 차이에 따라 큰 반응성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발색도는 느리지만 꾸준히 증가하는 kinetics 패턴을 보였다. 실제 시료에의 적용을 위해 연잎 추출물을 제조하고 각 정량방법에 대한 반응도 차이를 조사한 결과, 역시 $Na_2CO_3$ 처리환경에서 현저한 발색반응도 저하를 나타내었다. 보다 정확한 페놀성 물질의 정량을 위해 적절한 표준물질의 선택 및 정량 방법 등에 대한 표준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Deintercalation and Thermal Stability of Na-graphite Intercalation Compounds

  • Oh, Won-Chun
    • Carbon letters
    • /
    • 제2권1호
    • /
    • pp.22-26
    • /
    • 2001
  • Na alloyed graphite intercalation compounds with stage 1 and 2 were synthesized using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echnique. Thermal stability and staging transitions of the compounds were investigated depending on heating rates. The thermal stability and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deintercalation compounds were characterized using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analyzer. Enthalpy of formations were confirmed at temperatures between 25 and $500^{\circ}C$, depending on the various heating rates. The structure ions and interlayer spaces of the graphite were identified by X-ray diffraction (XRD). Diffractograms of stages with non-integral (00l) values were obtained in the thermal decomposition process, and stacking disorder defects and random stage modes were observed. The average value of the interlayer C-C bond lengths were found approximately $2.12{\AA}$ and $1.23{\AA}$ from the diffractions. Based on the stage transition, the degree of the deintercalaton has a inverse-linear relationship against the heating rate.

  • PDF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ew perovskite compounds $(Na_{0.5}Sr_{0.5})(M_{0.5}N_{0.5})O_3$(MTi,Zr N=Ta,Nb)

  • Chung, Hoon-Taek;Tetsuro Nakamura;Mitsuru Itoh
    • 한국결정성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결정성장학회 1997년도 Proceedings of the 12th KACG Technical Meeting and the 4th Korea-Japan EMGS (Electronic Materials Growth Symposium)
    • /
    • pp.49-51
    • /
    • 1997
  • New complex perovskite compounds (Na0.5Sr0.5)(Ti0.5Nb0.5)O3, (Na0.5Sr0.5)(Zr0.5Ti0.5)O3 and (Na0.5Sr0.5)(Ti0.5Ta0.5)O3 have been prepared. The crystal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determined by powder X-ray Rietveld analysis. The crystal structure of (Na0.5Sr0.5)(Ti0.5Nb0.5)O3 and (Na0.5Sr0.5)(Zr0.5Ta0.5)O3 was Pmmn, and that of (Na0.5Sr0.5)(Ti0.5Nb0.5)O3 was I4/mmm. All these compounds showed the superstructure due to the oxygen octahedron distortion. The selected bond distances and bond angles were calculated by the OFFER. The octahedron distortion for each sample, which was measured from the bond distances and bond angles, showed the following order: (Na0.5Sr0.5)(Z0.5Ta0.5)O3> (Na0.5Sr0.5)(Ti0.5Nb0.5)O3 > (Na0.5Sr0.5)(Ti0.5Ta0.5)O3. Dielectric properties were measured for the samples. In this study, the crystal structure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the new complex perovskite structures and discussed.

  • PDF

탄산화 및 저온 결정화를 통한 나트륨 농축수로부터 나트륨 화합물 합성 (Synthesis of Na Compounds from Sodium Concentrated Solution Using Carbonation and Cryo-crystallization)

  • 이승우;채수천;방준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9권4호
    • /
    • pp.58-66
    • /
    • 2020
  • 나트륨 농축수로부터 나트륨 화합물을 합성하기 위하여 탄산화(step I) 및 저온 결정화(step II)를 수행하였다. 탄산화 과정에서는 반응 온도를 조절 변수로 이용하여 이를 통해 이산화탄소(95 wt.%)의 용해도 및 pH를 변화시켰다. 저온 결정화 과정은 탄산화 과정 후 2 ℃로 유지한 상태에서 진행하였다. 이산화탄소의 주입은 용액 내 탄산 이온의 안정적 생산과 포화 용해도를 고려하여 두 차례 주입하였다. 첫 번째 주입은 이산화탄소 주입량 증가 및 안정적인 탄산 이온 생성을 목적으로 반응 온도를 35 ℃에서 10 ℃로 변화시켜 CO2의 용해도를 변화하고자 하였고, 두 번째 주입은 NaCl 용액 혼합과 동시에 탄산화를 통한 나트륨 화합물의 핵생성을 유도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저온 결정화에서는 pH 조절 및 반응 온도 변화(10 ℃에서 2 ℃)를 통해 탄산화 속도를 느리게 유도함으로써 나트륨 화합물의 결정 성장을 유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NaOH 농도에 대한 효과를 검토하였으며 2M NaOH를 사용한 경우에 나트룸 화합물의 순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합성 한 나트륨 화합물은 대부분 rod 형상을 갖는 물질들로 X-선 회절 분석을 통해 중탄산나트륨 또는 수화물(monohydrate) 형태의 탄산나트륨임을 확인하였다.

대두(大豆)의 Alkali 처리가 두유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kali Treatment of Soybean on the Qualty of Soybean Milk)

  • 오준세;이규희;이원용;이가순;오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5-94
    • /
    • 1988
  • 두유의 고삽미와 불쾌취를 제거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대두에 NaOH, $NaHCO_3$ 용액을 처리하여 phenol 화합물의 변화를 HPLC로 정량하였고, 두유중의 beany flavor를 GC로 분석하였으며, 두유의 일반성분 및 기호도를 측정한 결과 대두중의 phenol 화합물은 chlorogenic, p-hydroxybenzoic, p-coumaric, ferulic, gentisic acid가 확인되었으며, chlorogen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다. 대두중의 phenol 화합물중 chlorogenic acid는 주로 결합형, 기타 다른 phenol 화합물은 유리형으로 대부분 존재하였다. 대두를 0.1% NaOH용액으로 8시간 침지하였을 때 chlorogenic acid는 85% 이상이 제거되었다. 대두중의 phenol화합물 제거에는 NaOH용액이 효과적이었고,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제거율도 높아졌으며, 0.1% NaOH용액에게서 $90^{\circ}C$, 1시간처리하였을 때 phenol 화합물은 대부분 제거되었다. 물, 0.1% NaOH 및 0.5% $NaHCO_3$ 용액으로 침지하여 제조한 두유의 일반성분은 처리간에 비슷하였다. NaOH 용액 처리에 의하여 두유의 beany flavor 중 hexanol은 증가하였으나, hexanal, propanal, pentanal은 60% 이상이 제거되었다. NaOH 용액처리, 고온침지처리에 의하여 두유의 yellowness는 증가하였으나 물과 저온 침지처리에서는 whiteness가 증가하였다. 대두를 0.1% NaOH 용액으로 $90^{\circ}C$에서 1시간 처리하여 제조한 두유의 기호도가 가장 좋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