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YSE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2초

시계열 자료에 나타나는 장기 기억 속성에 대한 추정 및 검정 :NYSE composite index에 대한 실증분석

  • 남재우;이회경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1-274
    • /
    • 1998
  • In this paper we examine long-term memory of the financial time-series by employing the R/S analysis, the Hurst exponent estimation, and the modified R/S analysis. The null hypothesis of white-noise is tested using the NYSE daily indexes from January 1966 to July 1998, and the results show that long-range dependence exists before the apparent structural break of the Black Monday in 1987.

  • PDF

Dependence structure analysis of KOSPI and NYSE based on time-varying copula models

  • Lee, Sangyeol;Kim, By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6호
    • /
    • pp.1477-1488
    • /
    • 2013
  •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dependence structure of KOSPI and NYSE indices based on a two-step estimation procedure. In the rst step, we adopt ARMA-GARCH models with Gaussian mixture innovations for marginal processes. In the second step, time-varying copula parameters are estimated. By using these, we measure the dependence between the two returns with Kendall's tau and Spearman's rho. The two dependence measures for various copulas are illustrated.

뉴욕증시의 중국 ADR과 원주사이의 정보전이효과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NYSE Listed Chinese ADRs and Their Underlying Shares)

  • 김경원;최준환
    • 재무관리연구
    • /
    • 제23권2호
    • /
    • pp.171-18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중국의 7개 기업들의 원주와 ADR간의 정보전이효과 분석을 위해 AR(1)-GJR모형에 외생변수를 첨가하여, 중국 A주 시장이 개방된 2002년 12월 이후부터 시가와 종가 자료를 사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국시장주도가설이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주의 일중수익률은 밤중수익률 보다 높은 변동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ADR의 경우에는 반대로 밤중수익률이 일중수익률보다 더 큰 변동성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일반적으로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변동성 전이효과가 수익률 전이효과보다 크게 나타나는데 본 연구에서는 수익률전이효과가 변동성 전이효과 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상해석화(SHI) 한 기업만이 유의수준은 낮지만 중국 원주와 미국 ADR간에 상호 영향을 주는 피드백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 PDF

Organizational Usage of Social Media for Corporate Reputation Management

  • Becker, Kip;Lee, Jung W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6권1호
    • /
    • pp.231-240
    • /
    • 2019
  • The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 size and organizational actions on adopting social media for corporate reputation management. The sample group of 198 companies is selected with a simple random sample method from the New York Stock Exchange (NYSE) listings: Sixty nine companies were from the Fortune 500 listings, seventy one companies from the NYSE midsize capitalization and fifty eight companies from the NYSE small capitalization listings. This study employs cross tabulations and Chi-square analysis, and the Kruskal-Wallis that enables the comparison of three samples that are independen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1) large firms have more social media ownership than small firms, (2) large firms respond to social media posts at a greater frequency and quickly than small firms, and (3) firm size is less likely associated with response styles to social media for online reputation management. The results show that reply time and response styles of organizations to social media customers in the 2015 survey has no significant change compared to that of 2011. There appears to be a pervasive lack strategic framework as most firms in the study were found not to be adequately monitoring or leveraging social media communication for their reputation management.

SPC 차트를 이용한 포트폴리오 관리 (Portfolio Management Using Statistical Process Control Chart)

  • 김동섭;류홍서
    • 산업공학
    • /
    • 제20권2호
    • /
    • pp.94-102
    • /
    • 2007
  • Portfolio management deals with decision making on 'when' and 'how' to revise an existing portfolio. In this paper, we show that a classical statistical process control (SPC) chart for normal data, a wellestablished tool in quality engineering, can effectively be used for signaling times for revising a portfolio. Noting that the day-to-day performance of a portfolio may be auto-correlated, we use the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 center-line chart to develop an automatic portfolio management procedure. The portfolio management procedure is extensively tested on historical data of equities traded in the Korea Exchange (KRX), the American Stock Exchange (AMEX), and the New York Stock Exchange (NYSE). In comparison with the performances of the KOSPI, XAX, and NYA indices during the same time periods, results from these experiments show that SPC chart-based portfolio revision presents itself a convenient and reliable method for optimally managing portfolios.

한국과 미국 자본시장에서의 연구개발비 비중에 관한 재무적 결정요인 분석 (A Financial Comparison of Corporate Research & Development (R&D) Determinants: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

  • 김한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74-182
    • /
    • 2018
  • 현대 기업재무와 관련된 관심 주제들 중. 본 연구에서는 학문적, 실무적인 측면에서 추가 연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된다고 판단되는 연구개발비 지출에 관한 내용이 분석되었다. 즉, 뉴욕증권거래소와 국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을 표본자료로 활용하여 연구개발비의 재무적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적 분석이 시행되었다. 설정된 3가지의 가설 관련하여, 첫 번째 가설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기업들을 포함하는 표본자료들 기준, 전기의 연구개발비 비중, 부채비율, 수익성 그리고 현금유동성 등의 설명변수들이 동 연구개발비 비중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재무적 요인들로서 판명되었다. 두 번째 가설검정에서는 한국과 미국 기업들간의 상대적인 관점에서의 실증분석이 시행되어 비선형 형태의 전기의 연구개발비 비중, 고성장성 기업, 비이자성법인세감면효과, 성장성 그리고 한,미 간의 연구개발비의 회계 처리 방법 등이 양국 간의 표본기업들의 재무적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들로 판명되었다. 추가적으로 분위회귀모형을 활용한 (연구개발비 관련 변수들을 포함한) 설명변수들과 기업 성장성과의 관계에서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들의 경우 낮은 분위들에서만 전기의 연구개발비 비중과 성장성 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판명된 미국의 선진자본시장과 한국의 신흥자본시장 간의 연구개발비 결정요인 상 유사점과 상이점은 주주 측면에서 적정 연구개발비 비중에 도달하기 위한 새로운 발견을 제시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주가지수선물시장 상호간의 가격정보 전달구조에 관한 연구 (The Dynamics of Intraday Price Transmission Across the Stock Index Futures Markets: The Standard & Poor's 500, the New York Stock Exchange Composite, and the Major Market Index Futures)

  • 김민호
    • 재무관리연구
    • /
    • 제12권2호
    • /
    • pp.239-271
    • /
    • 1995
  • 본 연구는 현재 미국에서 거래되고 있는 세 가지 주가지수선물 상호간의 일중(intradaily) 가격선도(price leadership)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이다. 본 연구가 기존의 연구와 다른점은, 기존의 연구가 주가지수선물과 그 기준이 되는 현물 가격사이의 가격 선도 관계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반하여 본 연구는 주가지수선물 시장 사이에서 존재하는 가격 선도관계를 분석하고 있다는 점이다. 실증 분석의 대상이 된 주가지수선물들은 Chicago Mercantile Exchange의 Standard and Poor's 500 Index(S&P 500), New York Futures Exchange의 New York Stock Exchange Composit Index (NYSE), 그리고 Chicago Board of Trade의 Major Market Index(MMI)이다. 만약 이들 시장들이 정보의 전달에 있어서 효율적(informationally efficient) 이라면 이들 가격간에 선도-지연(lead-lag) 현상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어느 한 시장이 새로운 정보를 선물가격에 반영하는데 다른 시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다면, 이들 시장 상호간에는 가격의 전이(transmission)현상이 존재하게 될 것이다. 이들 선물간의 일중 가격선도 관계 연구는 이러한 시장의 효율성 문제를 밝히는데 의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시장간의 단기적 가격 괴리를 이용하려는 차익거래자들에게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위에서 언급한 각각의 주가지수선물들이 가격 선도성을 가질 수 있는 이유와 관련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가설은, 가격의 선도성은 거래량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즉, 이들 주가지수선물 중 가장 거래량이 많은 S&P 500 선물이 다른 선물을 선도할 것이라는 가설이다. 둘째, 가격의 선도성은 주가지수를 구성하는 주식의 수에 비례한다는 가설이다. 다시 말하면, 보다 않은 수로 구성된 주가지수일수록 정보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가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 포함된 주가지수선물 중 가장 많은 수의 주식을 대상으로 하는 NYSE 선물이 다른 선물을 선도할 것이다. 마지막 가설은 정보의 처리는 대형주 혹은 기관선호주(institutionally-favored)들이 주도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주로 이와 같은 주식들로 구성 된 MMI 선물이 선도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위의 가설들을 검증하고 시장간의 가격 선도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vector autoregressive(VAR) 모형을 이용하여 충격-반응 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s)를 계산하고, 분산분해(variance decomposition)를 수행하였다. 또한 가격 상호간에 존재할지도 모르는 공적분(cointegration)관계를 Johansen(1991)과 Jokansen and Juselius (1992) 등이 제시한 다변량 공적분 검정(multivariate cointegration test)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간은 1986년 1월부터 1990년 7월까지이며, 각 주가지수선물들의 5분 간격 data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충격-반응 분석은 어느 한 시장에서의 충격(shock)은 다른 시장으로 매우 빠르게 전달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충격의 지속정도는 그 충격의 진원지에 따라 달랐다. 즉, NYSE나 MMI 선물로부터 발생 한 충격은 다른 시장의 가격에 5분 안에 반영을 끝냈지 만 S&P 500 선물에서 발생한shock은 그 이상 지속되었다. 또한, 분산분해 결과 S&P 500 선물이 자기자신 뿐만 아니라 다른 시장의 예상하지 못했던 움직임(unexpected movements)을 설명하는데 가장 큰 설명력(explanatory power)을 가지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S&P 500 선물이 다른 선물을 약 5분 간격으로 선도하였다. 이는 가격의 선도가 거래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 PDF

Information, trading and stock returns: Lessons from dually-listed securities

  • Chan, K.C.;Fong Wai-Ming;Kho, Bong-Chan,;Stulz Rene M.
    • 재무관리논총
    • /
    • 제2권2호
    • /
    • pp.221-256
    • /
    • 1995
  • This paper compares the intra-day patterns on the NYSE and AMEX of volatility, trading volume and bid-ask spreads for European and Japanese dually-listed stocks with American stocks of comparable average trading volume and volatility. It is shown that the intra-day patterns for these stocks are remarkably similar even though public information flows differ markedly across these stocks during the trading day. In the early morning, all stocks have higher volatility than later in the day, but this phenomenon is most pronounced for Japanese stocks and affects American stocks the least. We argue that these patterns are consistent with markets reacting to the overnight accumulation of public information but are inconsistent with the view that early morning volatility can be attributed to monopolistic specialist behavior.

  • PDF

Long Term Mean Reversion of Stock Prices Based on Fractional Integration

  • Jun, Duk-Bin;Kim, Yong-Jin;Park, Dae-Keun
    • Management Science and Financial Engineering
    • /
    • 제17권2호
    • /
    • pp.85-97
    • /
    • 2011
  •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long term behavior of stock returns. The analysis reveals that negative autocorrelations of the returns exist for a super-long horizon as long as 10 years. This pattern, however, contrasts to predictions of previous stock price models which include random walks. We suggest the introduction of a fractionally integrated process into a nonstationary component of stock prices, and demonstrate empirically the existence of the process in NYSE stock returns. The predicted values of autocorrelation from our stock price model confirm the super-long term behavior of the returns observed in regression, indicating that inefficiency in the stock market could remain for a long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