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ENT CONCENTRATION

검색결과 1,586건 처리시간 0.029초

Nutrient Concentration and Stoichiometry in Plant Organs of Four Warm-temperate Forests in Southern Korea

  • Choonsig Kim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1호
    • /
    • pp.66-72
    • /
    • 2024
  • Determining the nutrient stoichiometry in plant organs is critical for understanding nutrient uptake and cycling in forest ecosystems. This study evaluated nutrient concentrations and stoichiometry in various plant organs (stem, bark, branches, and foliage) of species found in four warm-temperate forests in southern Korea. Cryptomeria japonica D. Don (CJ), Quercus serrata Thunb. (QS), evergreen broadleaved tree species (EB), and bamboo spp. (BB) were destructively sampled to measure nutrient (C, N, and P) concentrations in the plant organs. The mean C concentration in the ste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J than in QS, BB, or EB, whereas the C concentration in the foliage was the lowest in BB. The mean foliar N and P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BB than in EB or CJ. The mean stem C:N and C:P ratios were highest in CJ but were lowest in the foliage of BB. Overall, stems of all species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 concentration and dry weight, but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N and dry weight. The N and P concentrations of foliage and bark were strongly correlated, whereas those of the stem and branches were poorly correlated. Positive correlations were detected between the C:N and C:P ratios in bark and foliage. These results indicate the existence of intraspecific differences in nutrient requirements in warm-temperate forest species and add to the understanding of nutrient uptake and storage patterns in the organs of species growing in warm-temperate forests.

양액농도가 추식 수경재배 나물자원 3종의 생장과 무기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Different Concentra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the Inorganic Matter Contents of Three Kinds of Fall Planting Namul Resources in Water Culture)

  • 조자용;김홍기;양승렬;박윤점;김현주;허북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12
    • /
    • 2007
  • 나물자원의 수경재배시 양액농도가 생장 및 무기물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벌개미취, 원추리 및 질경이를 펄라이트 배지에 추식하여 70일간 재배 한 후 생장정도와 무기물 함량을 분석하였다. 벌개미취와 원추리의 초장, 줄기직경, 잎의 수, 신선중 및 건물중은 1.5배액 처리구에서 확연하게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질경이의 지상부와 지하부 생체중 및 건물중 등은 양액의 농도가 0.2재액에서 1.5배액으로 증가할수록 증가한 반면, 엽수와 근장은 0.5배액과 표준농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a Mg 및 Na 함유량은 벌개미취의 경우 1.5배액에서, 원추리와 질경이는 0.25배액에서 가장 많았다. K 함량은 벌개미취와 원추리는 0.5배액에서, 질경이는 1.5배액에서 가장 많았다. $P_2O_5$는 나물종류 및 양액의 농도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다.

수경재배(水耕栽培)의 양액관리(養液管理) 자동화(自動化) 시스템 개발(開發) (Development of Nutrient Solution Control System for Water Culture)

  • 이기명;이주성;선철호;장익주;송재관;구건효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5권4호
    • /
    • pp.328-338
    • /
    • 199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utomatic systems of nutrient solution management for optimal nutrient solution environment and labor saving in water culture which enables factory crop production. In this study, an automatic control system and its driving program are developed to prepare, supply, and recover nutrient solution and to keep the optimal solution concentration level using microcomputers. Based o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obtained: 1. The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system using oscillating circuit designed and built in this study, gave good agreements with the actual nutrient solution. 2. In water culture, the period of 12 hours for measuring concentration, pH, and temperature of the nutrient solution was optimum. Addition of control solution due to the decrease of the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 is required in every 3 to 5 days. 3. It is estimated that the period of the whole solution change is 15 days,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assure it. In addition, this period must be shortened in the future. 4. Both the hardware and software of the developed optimal nutrient solution control system in the water culture are working very well,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ore economical one-chip micro controller to substitute for the microcomputer.

  • PDF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착색단고추 수경재배 시 적정 급액농도 (Optimum Concentration of Supply Nutrient Solution in Hydroponics of Sweet Pepper using Coir Substrates)

  • 김호철;차승훈;김철수;이혜진;이용범;배종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0-214
    • /
    • 2008
  • 코이어 배지(코코넛 분말:섬유=70%:30%, v/v)를 이용한 착색단고추 수경재배에서 공급 배양액의 적정 농도를 구명하자 EC 2.5, 3.0, 3.5 및 $4.0dS{\cdot}m^{-1}$의 농도를 공급하였다. 생육 기간 동안 배양액의 급액 농도에 따른 슬라브 내의 EC는 급액 농도가 높아지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분 함량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배액의 pH는 안정적이었으며, EC는 급액 농도 EC $4.0dS{\cdot}m^{-1}$에서 EC $7.3dS{\cdot}m^{-1}$로 높았을 뿐만 아니라 표준편차와 변이계수도 높았다. 초장은 급액농도 간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광합성율은 급액 농도 EC $4.0dS{\cdot}m^{-1}$에서 전반적으로 높았다. 과중은 급액 농도 EC $4.0dS{\cdot}m^{-1}$에서 가장 무거웠으며, 과형은 급액 농도 EC $3.5dS{\cdot}m^{-1}$에서 정사각형에 가까웠다.

배양액의 농도가 무화과(Ficus carica L.)의 생육, 수량 및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 on Growth, Yield and Fruit Quality of Fig Plant (Ficus carica L.))

  • 전하준;황진규;손미자;김민;김정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64-269
    • /
    • 2006
  • 본 실험은 배양액의 농도가 무화과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차 실험에서 배양액의 농도에 따른 무화과 생육은 1/2농도 처리구에서 초장, 엽수, 경경, 착과수가 양호했으며, 엽장과 엽폭은 1/2농도구를 제외한 다른 처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배양액의 농도에 따른 과식의 평균과중은 토양재배의 38.4g보다 수경재배에서 50.9g으로 높게 나타났고, 과장, 과경, 당도는 처리간의 차이가 없었다. 수확량은 토양재배보다 수경재배에서 월등하게 많았으며, 배양액 1/2농도보다 2/2와 3/2농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무화과의 수경재배에서 저농도에서 양호한 생육을 나타내었으며, 수량은 높은 농도에서 양호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무화과의 수량 및 품질증대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양액재배에서 감귤나무의 무기양분 흡수 (Nutrient Absorption by Citrus unshiu Marc. Grown in Out-Door Solution Culture)

  • ;강태우;송성준;박원표;;유장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25-232
    • /
    • 2003
  • 노지에서 분무식 양액재배를 이용하여 감귤나무(Citrus unshiu Marc. cv. Miyagawa Wase)의 무기양분과 물 흡수 실험을 수행하였다. 양액의 농도는 세 수준으로 나누어 공급한 뒤 주기적으로 양액을 채취하여 무기양분과 물 흡수량을 측정하였고, 생체중의 변화를 조사하여 수체 증가량을 알아보았다. 물의 흡수는 감귤나무의 수체와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나, High 처리구에서는 Medium과 Low보다 적게 흡수되었다. 영양생장(5~7월)과 과실형성(8~9월)기에 생체중과 양분흡수 증가가 가장 크게 일어났다. 양분의 흡수는 양액 공급 농도에 따라 차이가 컸으며, 높을수록 더 많이 흡수하는 경향이었고, $NH_4-N$, S, P, Mg, Fe보다 $NO_3-N$, K, Ca가 많았다. 또한 감귤잎 중 무기양분 함량도 공급되는 양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감귤나무의 주요 원소의 양액 농도 조성은 N, P, K, Ca, Mg 경우 각각 27.1, 16.5, 66.0, 80.0, $24.0mg\;L^{-1}$이 적당힌 것으로 사료된다.

코레우스의 삽목시 배양액과 생장조절제처리가 발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utrient Concentration and Plant Growth Regulators on Rooting in Coleus Stem Cuttings)

  • 조은희;장매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77-283
    • /
    • 1997
  • 본 실험은 초화류인 코레우스의 삽목시 삽수의 발근율을 높이기 위하여 배양액과 NAA 및 IBA처리 효과를 조사하였다. 모래삽목보다는 배양액을 이용한 것이 발근소요일이나 생육면에서 월등히 효과적이었다. 특히 배양액 농도는 일본 원시표준액보다는 표준액의 1/4 배양액 농도에서 재배한 것이 가장 발근이 빨리 되었으므로 삽목초기에는 낮은 양액농도가 경제적일 것으로 보인다. 생장조절제의 농도별로는 NAA나 IBA 0.01mg/$\ell$처리가 효과적이었으며 IBA처리보다는 NAA처리시의 발근소요일이 더 짧았다. 또한 NAA 및 IBA을 처리한 수돗물을 사웅하여 삽수의 발근을 유도할 경우 NAA와 IBA를 삽수에 침지처리한 후 수돗물에 재배하는 것보다 발근에 효과적이었으며, 무엽지삽보다는 유엽지삽이 효과적이었다. 또한 배양액이나 생장조절제를 단용처리한 것보다 배양액과 생장조절물질의 혼용처리가 발근소요일이 단축되었고 생육상태가 양호하였다.

  • PDF

코이어 배지 이용한 절화장미 수경재배 시 급액농도가 유묘기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C Levels in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of Juvenile Rose in Hydroponics Using Coir Substrate)

  • 최경이;조명환;정재완;이한철;김영철;노미영;강윤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17-321
    • /
    • 2012
  • 유기물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절화장미 수경재배시 유묘기 급액농도가 장미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배양액을 0.6, 1.0, 1.4, $1.8dS{\cdot}m^{-1}$로 다른 농도로 공급하였다. 배지 추출액의 EC와 무기이온은 정식 22일까지는 높은 농도로 양액을 공급하여도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이후 급액농도가 높을수록 빠른 속도로 배지내 양분농도도 높아졌다. 신초의 발생량은 정식후 30일째에 해당하는 2차 신장기에는 $1.8dS{\cdot}m^{-1}$로 급액한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고, 3차와 4차에는 $0.6dS{\cdot}m^{-1}$ 처리구를 제외하고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급액농도가 높을수록 신초의 발생량이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장미 유묘기(수체형성기간 약 6개월 정도)의 급액농도는 기존의 무기배지를 이용한 수경재배에서는 3~4월에 정식한 이후 고온기로 갈수록 급액농도 점진적으로 낮추어 $1.0dS{\cdot}m^{-1}$ 내외로 낮게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수경재배에서는 코이어 배지가 양분을 흡착하기 때문에 정식 후 약 3개월은 EC $1.8dS{\cdot}m^{-1}$로, 이후에는 약 3개월은 $1.4dS{\cdot}m^{-1}$ 정도로 관행적인 농도보다 높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Litterfall and Nutrient Dynamics in Pine (Pinus rigida) and Larch (Larix leptolepis) Plantations

  • Kim, Choonsig;Koo, Kyo-Sang;Byun, Jae-Kyu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5호통권162호
    • /
    • pp.302-306
    • /
    • 2005
  • Litterfall and nutrient inputs were measured in even-aged coniferous plantations (a 31-year-old Pinus rigida and a 31-year-old Larix leptolepis) on a similar site condition in the Forest Practice Research Center, Gyeonggi Province. Litterfall was collected monthly from circular littertraps (collecting area: $0.50m^2$) for three years between April 1997 and February 2000. Average total annual litterfall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pine (5,802 kg/ha/yr) than for larch (4,562 kg/ha/yr) plantations. Needle litter in both plantations accounted for about 63% of total litterfall. Litterfall in the larch was distributed as follows: needle > other leaf > branch > miscellaneous > bark, while it was needle > miscellaneous > other leaf > branch > bark in the pine plantation. There was no temporal variation in needle litter, other leaf and bark during the 3 year study period. The concentrations of all nutrients (N, P, K, Ca, Mg) in needle litte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arch than in the pine plantations. The annual nutrient concentration of needle litter in the larch varied among the years, whereas no year variation of needle litter was in the pine except for phosphorus (P). Nitrogen (N) and P inputs by needle litter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larch than for pine plantations established on a similar soil. The differences in N and P inputs were attributed to lower nutrient concentration in pine needle litter compared with larch needle litter, not to total needle litter mass. Annual inputs of nutrient in both plant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years except for K of the larch although there was yearly different in needlefall mass and nutrient concentration during the 3-year observed perio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echanisms of litterfall and nutrient inputs vary considerably between pine and larch plantations established on a similar site condition.

인공광을 이용한 수경재배에서 배양액 농도가 상추의 생장과 배양액 양분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ent Solution Strength on Growth and Nutrient Element Concentrations of Leaf Lettuce by Hydroponic Culture under Artificial Light)

  • 김동억;이운용;허정욱;이공인;강동현;우영회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9권1호
    • /
    • pp.5-14
    • /
    • 2017
  • 본 연구는 인공광을 이용한 순환식 수경재배시 배양액농도가 적축면 상추 생육과 배양액내 다량 원소 농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형광등과 LED의 광도는 100μmol m-2·s-1±20 수준이었으며, 배양액 농도는 일본 야채다업시험장 표준배양액의 1/2배액, 1배액 및 2배액 수준이었다. 일주일마다 줄어든 배양액 양만큼 보충하면서 재배되는 수경재배시스템에서 적축면 상추('뚝섬' 동부하이텍, 품종)를 재배하였다. 적축면 상추의 생육은 농도가 진한 2배액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기간 중 배양액의 EC는 1배액에서는 2dS.m-1 내외에서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된 반면 2배액에서는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배양액의 무기성분 함량은 2배액, 1배액, 1/2배액 순으로 높았다. 재배기간 중 배양액 내 NO3-N, Ca2+, Mg2+ 농도는 1배액, 2배액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NH4-N 농도는 1배액, 1/2배액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적축면 상추 엽내 K, Ca, Mg 함량은 정상 범위를 유지한 반면, P 함량은 1.3~1.6%로 적정 성분함량 범위 보다 높게 나타났다. 적축면 상추재배 시 재배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NH4-N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NH4-N 비율을 높이거나 더 첨가해 줄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