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x 분포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31초

Urea-SCR 시스템의 유동혼합 개선을 위한 혼합기 형상에 관한 수치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MIXER TYPE OF UREA-SCR SYSTEM FOR FLOW MIXING IMPROVEMENT)

  • 이종욱;최훈기;유근종;김원석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10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68-375
    • /
    • 2010
  • To alleviate NOx emission, a variety of approaches has been applied. In marine diesels, the application of SCR systems has been considered an effective exhaust aftertreatment method for NOx emission control. Most current SCR systems use a various catalyst for the reaction of ammonia with NOx to form nitrogen and water. In theory, it is possible to achieve 100% NOx if the NH3-to-NOx ratio is 1:1. However, the reaction has a limited non-uniformity of the exhaust gas flow and ammonia concentration distribu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optimum flow conditions. In order to achieve uniform flow at monolith front face, we are equipped with a various mixed device. In this paper, it is presented that the mixed devices play an important role improvement of flow patterns and particle distributions of NH3 by numerical simulation.

  • PDF

Urea-SCR 시스템에서 유동혼합 개선을 위한 혼합기 형상에 관한 수치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MIXER TYPES OF UREA-SCR SYSTEM FOR FLOW MIXING IMPROVEMENT)

  • 이종욱;최훈기;유근종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9-16
    • /
    • 2010
  • To alleviate NOx emission, a variety of approaches has been applied. In marine diesels, the application of SCR systems has been considered an effective exhaust aftertreatment method for NOx emission control. Most current SCR systems use a various catalyst for the reaction of ammonia with NOx to form nitrogen and water. In theory, it is possible to achieve 100% NOx if the $NH_3$-to-NOx ratio is 1:1. However, the reaction has a limited non-uniformity of the exhaust gas flow and ammonia concentration distribu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optimum flow conditions. In order to achieve uniform flow at monolith front face, we are equipped with a various mixed devices. In this paper, it is presented that the mixed devices play an important role improvement of flow patterns and particle distributions of $NH_3$ by numerical simulation.

무성방전 플라즈마 전극구조에 대한 질소산화물 제거효율 연구 (A Study on NOx Removal Efficiency Depending on Electrode Configurations of Silent Discharges)

  • Hyung-Taek Kim;Young-Sik Chung;Myung-Whan Whang;Elena. A. Filimonova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2-117
    • /
    • 2002
  • 무성 (유전체 장벽)방전기구의 질소산화물(NOx)제거효율에 대한 화학 반응역학의 전산모사 및 실험적 특성이 비교 조사되었다. 방전 전극구조에 따른 여러 종류의 유전체 장벽 방전기구가 구현되었으며 응용 방전환경 별 질소산화물(NOx)제거특성이 이론적, 실험적으로 고찰되었다. 전산모사 모델링은 유해 배가스에 대한 플라즈마 응용기구의 수학적 근접모델을 기초로 하였고 각 방전광(스트리머) 채널의 주 활성입자 생성에 의한 화학반응 종들의 비균일, 비평형 분포특성을 고려하였다. 모델링 전산모사로 얻어진 질소산화물(NOx) 제거효율은 관찰 실험특성과 오차 허용범위 내의 일치성을 나타내었다.

서울지역 6월 오존의 연직분포 (Vertical Ozone Distributions ove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June)

  • 김유근;이화운;오인보;정우식;송상근;임윤규;황미경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3-114
    • /
    • 2003
  • 도시지역 하층대기의 오존 연직분포는 지표부근의 NOx배출의 영향과 대기경계층의 일변화 및 구조적 특성에 의해 시·공간적으로 큰 변화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야간에는 역전층 내의 건성침적과 NOx 적정작용에 의해 오존농도가 감소하며, 하층 안정층과 분리되어 있는 잔류층(residual layer)의 오존농도와 큰 차이를 보이게 된다. 아울러 일출 후 안정층 파괴와 혼합고 성장에 의해 지표부근의 오존농도가 증가하고 연직적으로 비교적 일정한 오존분포가 나타난다(Zang et al., 1998; Berkowitz et al., 2000). (중략)

  • PDF

도로 주변의 PM10, NOx 및 O3의 시공간적 농도 분포 연구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PM10, NOx and O3 around the Road)

  • 권오열;안영상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40-450
    • /
    • 2006
  • PM10, NOx, and $O_3$ were measured at six locations, of which each three i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distributed respectively, in an apartment complex around the heavily traffic road. Those were measured seven times a day with two hours interval starting from 8 o'clock in the morning for 15 days during May 2005 $\sim$ September 2005. PM10 and NOx showed high concentrations in rush hours while low concentrations in midday due to the direct emissions from automobiles in operation. Temporal variations of 01 showed very much similar trend appeared in normal urban atmospheres.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PM10, NOx and $O_3$ showed that almost all of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a row of Roadside > Surface at 130 m apart from the road > Surface at 230 m apart from the road > 3rd floor of apartment building > 15th floor of apartment building > 27th floor of apartment building. Model equations, which can project spatial concentration distributions, were constructed by combining the horizontal and the vertical linear regression equations derived from six mean values corresponding to six measuring locations. According to inter-comparison of PM10, NOx, and $O_3$ with the constructed model equations, concentration gradients were higher in a row of Vertical direction of NOx > Vertical direction of PM10 > Horizontal direction of NOx > Horizontal direction of PMIO > Vertical direction of $O_3$ > Horizontal direction of $O_3$. Why concentration gradient of particulate PM10 is lower than that of gaseous NOx is in question, and should be studied.

특집:녹색선박 SCR시스템 기술개발 현황 - Urea 분사 제어장치 설계

  • 정경열;임병주;박창대;최대석
    • 기계와재료
    • /
    • 제24권2호
    • /
    • pp.62-71
    • /
    • 2012
  • 세계적으로 NOx 저감 및 규제치의 강화로 인해 디젤기관에서 발생되는 NOx 제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암모니아 환원제와 배출가스의 NOx를 혼합하여 촉매 존재하에서 NOx를 제거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대부분 암모니아를 보관성이 용의한 요소(Urea) 수용액으로 대체하여 배기관 내에 직접 요소수를 분사하며 요소 수용액이 고온의 배기가스에 의해 증발되어 암모니아를 환원시키며, 촉매를 통하여 탈질을 하는 Urea-SCR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촉매전단에서 요소수가 완전히 증발되고, 또한 촉매 입구에서 요소수의 증발로 인해 환원된 암모니아의 분포도 균일해야 함으로 Urea-SCR 시스템이 배기가스 유동 및 온도에 최적화된 분무특성을 가지는 분사제어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미분탄 보일러의 연소용 공기공급 변화에 따른 노내 연소상태 해석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Coal-Fired Boiler Depending on the Variations in Combustion Air Supply Method)

  • 서상일;박호영;강동수;정동해
    • 에너지공학
    • /
    • 제19권3호
    • /
    • pp.156-162
    • /
    • 2010
  • 국내 미분탄 보일러의 로내 공기량 공급에 따른 연소특성 분석을 위한 3차원 전산해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보일러 연소해석 해석 결과의 건전성 검증을 위하여 보일러 출구, 즉 절탄기 후단에서의 가스 온도,$O_2$, NO, SOx 농도를 발전소의 실제 운전데이터와 비교하였다. 검증된 해석 결과를 기준조건으로 SOFA(Separated Over Fire Air)와 CCOFA(Closed Coupled Over Fire Air)에서의 연소 공기량을 변화시킨 경우 보일러내 NOx와 가스 온도 분포를 중심으로 각각의 경우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CCOFA보다는 SOFA 공기량의 변화에 따라 NOx 농도의 민감도가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대류 전열부의 전열관군에서의 온도 분포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가스온도 편차 방지를 위한 연소조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가솔린 인젝터를 디젤엔진용 HC-LNT 촉매에 적용하기 위한 최적 분사 조건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ptimal Injection Condition for HC-LNT Catalyst System for Diesel Engines with a Gasoline PFI Type Injector)

  • 오정모;문웅기;김기범;이진하;이기형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2호
    • /
    • pp.121-127
    • /
    • 2011
  • 희박 공연비에서 동작하는 디젤 엔진은 NOx 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과농한 분위기를 형성해 주어야 한다. 최근 배기관 내에 환원제로서 경유를 직접 분사하는 HC-LNT 방식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NOx 저감을 위해 HC 의 농도를 제어하는 기술로서, 실제 배기관내에 HC 가 균일하게 분포하여야 촉매의 정화효율이 향상되므로 HC 를 균일하게 분사하는 방법의 최적화가 가장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저압에서 미립화 특성이 양호한 가솔린 흡기포트 분사용 인젝터를 이용하여, 가시화 방법으로 실제 배기관내에서의 환원제 분무 거동 특성을 측정하였고 NOx 정화 특성간의 관계를 실험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인젝터의 최적 부착 조건과 분사 조건을 파악하였다.

GDI 엔진의 냉각수온에 따른 연소성능 및 입자상 물질 배출 특성 (Dependence of Nanoparticle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Gasoline Direct Injection Engines on Coolant Temperature)

  • 이효근;최관희;명차리;박심수;박종일;한승국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6권2호
    • /
    • pp.131-13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GDI 엔진의 냉각수 온도에 따른 연소 및 배출가스 특성을 연구하였다. 엔진에서 나오는 입자상 물질의 수와 크기 분포는 DMS-500 장비로 측정하였다. 배기포트 에 장착된 CLD-400 과 HFR-400 을 통해 NOx 및 THC 의 배출 특성을 연소주기 별로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낮은 냉각수온에서 5~10 nm 의 입자상 물질이 크게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다. THC 또한 낮은 냉각수온에서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는데 이는 연소실 내 연료의 액막현상 때문이다. 그리고 NOx 는 높은 냉각수온에서 감소하는 특성을 보였는데 이는 내부 EGR 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THC 와 NOx 그리고 입자상 물질의 배출을 줄이기 위해서는 냉각수온을 빠르게 올리는 EMS 변수 설정 필요하다.

대향분출화염의 분산화학반응 화염구조와 NOx 저감기구 (Flame Structure of Moderately Turbulent Combustion in the Opposed Impinging Jet Combustor)

  • 손민호;조용진;윤영빈;이창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6권10호
    • /
    • pp.1387-1393
    • /
    • 2002
  • The measurement of velocity and stain rate field has been conducted in opposed impinging jet combustion. When a smaller diameter (5mm) orifice of pre-chamber was used, previous studies had reported that the combustion phase showed a shift from weak turbulent combustion to moderate turbulent combustion in the modified Borghi Diagram. In the case with smaller orifice diameter (5mm), NOx emission was substantially reduced by a factor 1/2 while the combustion pressure remains at the same as that in the conventional combustion. Hence, in this study, the experiment setup using PIV technique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relation of the strain rate distribution and NOx reduction associated with moderate turbulent combus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highly strained pockets are widely distributed during the combustion in the middle of chamber when the orifice diameter is 5mm. And the corresponding PDF distribution of strain rates she was the smoothly distributed strain .ate within the range of |$\pm$1000| (1/sec) rather than a spike shape about zero point. This is the unique feature observed in the combustion with 5mm orifice diameter.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ubstantial NOx reduction in opposed impinging combustor is mainly attributed to the strain rate distribution within the range of |$\pm$1000|resulting in the combustion phase shift to moderate turbulent combus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