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01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34초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용 소재의 고온 내식성 평가 (Evaluation of Corrosion Resistance of Materials for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Power Plant)

  • 채호병;서석호;정용찬;이수열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1권1호
    • /
    • pp.109-113
    • /
    • 2015
  •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고온, 고압의 열악한 환경에 노출되는 터빈, 열 교환기, 압축기와 같은 핵심 부품들의 내식성 평가는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후보소재 3종 Ferritic-Martensitic Steel (T92), Austenitic Steel (SS316L), Ni-based Alloy (IN738LC)를 선정하여 고온의 유사 초임계 $CO_2$ 발전 환경에서의 내식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600^{\circ}C$, $700^{\circ}C$의 2개의 온도 구간에서 $CO_2$ 분위기를 조성하여 800 시간 동안 노출시킨 뒤, Weight Change, Surface Morphology, Cross Section, Composition을 분석하였다. Cr-rich Protective Layer를 형성하는 Ni-based Alloy와 Fe/Cr-rich oxide를 형성하는 Austenitic Steel은 우수한 부식 저항성을 보인 반면에 Ferritic-Martensitic Steel은 높은 Weight Change와 Fe-rich Non-Protective Oxide가 관찰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부식 저항성을 보였다.

Surface Properties, Friction, Wear Behaviors of the HOVF Coating of T800 Powder and Tensile Bond Strength of the Coating on Ti64

  • Cho, T.Y.;Yoon, J.H.;Joo, Y.K.;Cho, J.Y.;Zhang, S.H.;Kang, J.H.;Chun, H.G.;Kwon, S.C.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1-12
    • /
    • 2008
  • Micron-sized Co-alloy T800 powder was coated on Inconel718 (IN718) using high velocity oxygen fuel (HVOF) thermal spraying by the optimal coating process (OCP) determined from the best surface hardness of 16 coatings prepared by Taguchi program. The surface hardness improved 140-160 % from 399 Hv of IN718 to 560-630 Hv by the coating. Porosity of the coating was 1.0-2.7 %, strongly depending on spray parameters. Both friction coefficients (FC) and wear traces (WT) of the coating were smaller than those of IN718 substrate at both $25^{\circ}C$ and $538^{\circ}C$. FC and WT of IN718 and coating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surface temperature. Tensile bond strength (TBS) and fracture location (FL) of Ti64/T800 were 8,770 psi and near middle of T800 coating respectively. TBS and FL of Ti64/NiCr/T800 were 8,740 psi and near middle of T800 coating respectively. This showed that cohesion of T800 coating was 8,740-8,770 psi, and adhesion of T800 on Ti64 and NiCr was stronger than the cohesion of T800.

  • PDF

A Thermogravimetric Study of the Non-stoichiometry of Iron-Doped Nicked Oxide$(Ni_{1-x}Fe_x)1-{\delta}$O

  • Krafft, Kunt N.;Martin, Manfred
    • The Korean Journal of Ceramics
    • /
    • 제4권2호
    • /
    • pp.156-161
    • /
    • 1998
  • We have measured changes of the non-stoichiometry, $\Delta\delta$, in Fe-doped nicked oxide , by thermogravimetry for four iron fractions, x=0.01, 0.031, 0.057 and 0.10, and three temperatures, T=1273, 1373 and 1473 K. The obtained data can be modelled by a defect structure in which substitutional trivalent iron ions, FeNi, are compensated by cation vacancies, $V_{Ni}$", and (4:1)-clusters. These clusters consist of tetravalent interstitial iron, $Fe_i\;^4$

  • PDF

첨가율에 의한 Ni-Zn 페라이트의 소결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ntering Characteristics of Ni-Zn Ferrites with Additives)

  • 강재덕;문현욱;정병두;소대화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1-77
    • /
    • 1990
  • This paper is studied on the sintering characteristics of Ni-Zn ferrites. The specimen ferrites was composed of 20 mol% NiO, 30mol% ZnO, 50 mol% Fe$_2$O$_3$, and 0.0025 mol%, 0.005 mol%, 0.01 mol% Nb$_2$O$\_$5/, Bi$_2$O$_3$, V$_2$O$\_$5/, wee used as minor additives. Sintering was carried out at 1100$^{\circ}C$. As results from the experiments, the high value of initial permeability of 6X10$^2$∼9X10$^2$ can be achieved at 500KHz∼1000KHz. The value of loss factor 1X10 ̄$^2$∼2X10$^2$ can be achieved at 500KHz∼1000KHz. The lowest 1/(${\mu}$XQ) value was obtained in the specimen with the addition of 0.005mol% fracyion for V$_2$O$\_$5/.

Hibiscus canabinas를 이용한 Cd, Cr, Cu, Ni 및 Zn의 제거 (Removal of Mixed Cd, Cr, Cu, Ni and Zn by Hibiscus canabinas)

  • 최문술;임철호
    • 환경생물
    • /
    • 제22권1호
    • /
    • pp.120-126
    • /
    • 2004
  • 수경 재배된 케냐프의 중금속 축적량 및 제거량을 파악하고 서로의 관계를 도출하기 위하여 Cd, Cu, Cr, Ni 및 Zn이 포함된 반응조에 노출시켰다. 대상식물의 최적성장을 위한 pH, DO, 전도도 및 영양염의 농도조절은 액체비료를 이용하여 조정하였다. 8일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적용했을 때 Cr, Cd, Cu, Ni 및 Zn의 제거율은 각각 90.5%, 80.5%, 66.1%, 71.1% 및 79.4%였고 그 농도는 각각 2.34에서 0.54 mg $L^{-1}$까지, 3.37에서 1.07 mg $L^{-1}$까지, 4.92에서 3.19 mg $L^{-1}$까지, 6.31에서 4.41 mg $L^{-1}$까지, 6.27에서 2.09 mg $L^{-1}$까지 줄었다. 특히 Cr, Cd, Cu, Ni 및 Zn의 축적율은 각각 원소별로 347.32 and 275.39, 157.52, 50.48 및 211.01 mg DW kg $L^{-1}d^{-1}$로 나타남으로써 본 연구의 결과 케냐프는 Cr, Cd과 Zn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식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대제거율을 나타냈던 시점에서 Cr, Cd, Cu, Ni 및 Zn의 제거량에 대한 축적비율은 43.4%, 39.9%, 21.4%, 5.6% 및 14.5%로 나타났으며, 이와같은 생체내로의 축적과 더불어 rhizosphere에서나 잎을 통한 또 다른 기작에 의해 제거되는 것을 추정할 수 있으며 이는 밝혀야할 숙제로 대두되었다. 원소별로는 다른 원소에 비해 Cr, Cd및 Zn이 효율적으로 축적됨을 알 수 있었다.

Sulfona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의 중금속 흡착능 (Heavy Metal Absorption Properties of Sulfona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 강영구;김동현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92-9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eavy metal absorption of recycled PET(poly ethylene terephatalate) NWF(non woven faric). The results of test are summarized as follows; Heavy metal abworption rates in Ni ions were higher then Zn and Cu ions, whereas heavy metal absorption rates by sulfonation times were not different. The heavy metal absorption times have a higher tendency from 60 min to 120 min.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among the amount used CSA(Chloro Sulfuric Acid) and the amount of absorption Zn(r = -0.33784, p < 0.05), Cu(r = -0.61177, p < 0.01) ions, whereas correlations between heavy metal absorption rates and sulfonation times were not significan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amount of absorption Zn ions and the amount of absorption Ni(r = 96475, p < 0.014), Cu(r = 0.51614, p < 0.01) ions, likewise th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amount of absorption N ions and the amount of absorption Cu(r = 0.54766) ions were significant(p < 0.01).

Ti가 치과용 도재와 Ni-Cr 비귀금속 합금의 결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i ON THE SHEARBONDING STRENGTH BEWEEN DENTAL PORCELAIN AND Ni-Cr NONPRECIOUS ALLOY)

  • 조성암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413-416
    • /
    • 1997
  • A study of the shear bond strength between dental porcelain and alloy on Ti depostion effect was conducted by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obtained result was as follows ; The shear bond strengths of Ti-depostion group and acid-etched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untreated control group (p<0.01)

  • PDF

중국 Zhenzigou 연-아연 광상의 백색운모 산상과 화학조성 (Occurrence and Chemical Composition of White Mica from Zhenzigou Pb-Zn Deposit, China)

  • 유봉철
    • 광물과 암석
    • /
    • 제35권2호
    • /
    • pp.83-100
    • /
    • 2022
  • Zhenzigou 연-아연 광상은 중국 동북지역에선 가장 규모가 큰 연-아연 광상 중의 하나로 지체구조상 Jiao Liao Ji belt내 Qingchengzi mineral field에 위치한다. 이 광상의 주변지질은 시생대의 그래뉼라이트(granulite)와 이를 관입한 고원생대의 미그마타이트질 화강암과 고-중원생대의 소딕(sodic) 화강암을 부정합으로 피복한 고원생대의 Liaohe 층군 및 이들을 관입한 중생대의 섬록암과 몬조나이틱 화강암으로 구성된다. 이 광상은 고원생대의 Liaohe 층군내 Langzishan 층 및 Dashiqiao 층내에서 층상 광체 및 맥상 광체로 산출되며 층준규제 퇴적분기형 또는 퇴적분기형 광상에 해당된다. 이 광상에서 산출되는 백색운모는 층상 광체에서만 산출되며 모암의 종류, 변질 정도, 광석광물의 유무 및 광체 형태에 따라 4 가지 형(I 형 백색운모 : 약변질(쇄설성 돌로마이트질 대리암), II 형 백색운모 : 강변질(돌로마이트질 쇄설성 암석), III 형 백색운모 : 층상광체(돌로마이트질 쇄설성 암석), IV 형 백색운모 : 층상 광체(쇄설성 돌로마이트질 대리암))으로 분류된다. I 형 백색운모는 약 변질정도를 갖는 쇄설성 돌로마이트질 대리암내 돌로마이트를 열수교대작용에 의한 돌로마이트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돌로마이트와 함께 산출된다. II 형 백색운모는 강 변질정도를 갖는 돌로마이트질쇄설성 암석내 열수교대작용에 의한 칼리장석의 변질물이나 돌로마이트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돌로마이트, 철백운석, 석영과 함께 산출된다. III 형 백색운모는 층상 광체를 갖는 돌로마이트질 쇄설성 암석내 열수교대작용에 의한 칼리장석의 변질물이나 돌로마이트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철백운석, 방해석, 석영과 함께 산출된다. IV 형 백색운모는 층상 광체를 갖는 쇄설성 돌로마이트질 대리암내 열수교대작용에 의한 칼리장석의 변질물이나 돌로마이트, 석영과 함께 산출된다. 이들 백색운모의 화학조성은 각각 (K0.92-0.80Na0.01-0.00Ca0.02-0.01Ba0.00Sr0.01-0.00)0.95-0.83(Al1.72-1.57Mg0.33-0.20Fe0.01-0.00Mn0.00Ti0.02-0.00Cr0.01-0.00V0.00Sb0.02-0.00Ni0.00Co0.02-0.00)1.99-1.90(Si3.40-3.29Al0.71-0.60)4.00O10(OH2.00-1.83F0.17-0.00)2.00, (K1.03-0.84Na0.03-0.00Ca0.08-0.00Ba0.00Sr0.01-0.00)1.08-0.85(Al1.85-1.65Mg0.20-0.06Fe0.10-0.03Mn0.00Ti0.05-0.00Cr0.03-0.00V0.01-0.00Sb0.02-0.00Ni0.00Co0.03-0.00)1.99-1.93(Si3.28-2.99Al1.01-0.72)4.00O10(OH1.96-1.90F0.10-0.04)2.00, (K1.06-0.90Na0.01-0.00Ca0.01-0.00Ba0.00Sr0.02-0.01)1.10-0.93(Al1.93-1.64Mg0.19-0.00Fe0.12-0.01Mn0.00Ti0.01-0.00Cr0.01-0.00V0.00Sb0.00Ni0.00Co0.05-0.01)2.01-1.94(Si3.32-2.96Al1.04-0.68)4.00O10(OH2.00-1.91F0.09-0.00)2.00 및 (K0.91-0.83Na0.02-0.01Ca0.02-0.00Ba0.01-0.00Sr0.00)0.93-0.83(Al1.84-1.67Mg0.15-0.08Fe0.07-0.02Mn0.00Ti0.04-0.00Cr0.06-0.00V0.02-0.00Sb0.02-0.01Ni0.00Co0.00)2.00-1.92(Si3.27-3.16Al0.84-0.73)4.00O10(OH1.97-1.88F0.12-0.03)2.00 로써 이론적인 이중팔면체형 운모류 값보다 Si가 높고 K, Na, Ca는 낮으며 모두 백운모에 해당된다. 특히, Zhenzigou 연-아연 광상에서 산출되는 백색운모의 화학조성 변화는 팬자이틱 또는 Tschermark 치환[(Al3+)VI+(Al3+)IV <-> (Fe2+ 또는 Mg2+)VI+(Si4+)IV] 메카니즘에 의해 일어났으며 백색운모의 Fe는 Fe2+와 Fe3+ 로써 존재하지만 주로 Fe2+ 우세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Zhenzigou 연-아연 광상의 층상 광체에서 산출되는 백색운모들은 고원생대의 화성활동 및 녹색편암상의 변성작용에 의한 열수교대작용으로 기존에 산출되었던 광물들의 재용융 및 재침전 과정에서 형성되었으며 이들 백색운모의 화학조성 변화는 열수교대작용 동안 모암인 돌로마이트 및 쇄설성 암석의 함량 차이, 변질 정도 및 광석광물의 유무에 따른 팬자이틱 또는 Tschermark 치환[(Al3+)VI+(Al3+)IV <-> (Fe2+ 또는 Mg2+)VI+(Si4+)IV] 메카니즘에 의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입자 크기 분포에 따른 0.01Pb(Mg1/2W1/2)O3-0.41Pb(Ni1/3Nb2/3)O3-0.35PbTiO3-0.23PbZrO3 후막의 미세구조 및 압전특성 (Piezoelectric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0.01Pb(Mg1/2W1/2)O3-0.41Pb(Ni1/3Nb2/3)O3-0.35PbTiO3-0.23PbZrO3thick film with particle size distribution)

  • 문희규;송현철;김상종;최지원;강종윤;윤석진
    • 센서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18-424
    • /
    • 2008
  • The PZT based piezoelectric thick films prepared by screen printing method have been mainly used as a functional material for MEMS applications due to their compatibility of MEMS process. However the screen printed thick films generally reveal poor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because of their porous microstructure. To improve microstructure we mixed attrition milled powder with ball milled powder of 0.01Pb$(Mg_{1/2}W_{1/2})O_3$-0.41Pb$(Ni_{1/3}Nb_{2/3})O_3$-$0.35PbTiO_3$-$0.23PbZrO_3$+0.1 wt% ${Y_2}{O_3}$+1.5 wt% ZnO composition. By mixing 25 % of attrition milled powder and 75 % of ball milled powder, the broadest particle size distribution was obtained, leading to a dense thick film with crack-free microstructure and improved dielectric properties. The X-ray diffrac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film was in wellcrystallized perovskite phase. The remanent polarization was increased from $13.7{\mu}C/cm^2$ to $23.3{\mu}C/cm^2$ at the addition of 25 % attrition milled powder.

SiC와 금속박막간의 계면형성 및 열역학 (Interface formation and thermodynamics between SiC and thin metal films)

  • Chang-Sung Lim;Kwang-Bo Shim;Dong-Woo Shin;Keun-Ho Auh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2-72
    • /
    • 1996
  • SiC와 금속박막간의 계변형성 및 반응 생성물의 구조가 $5500^{\circ}C$에서 $145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조사되어졌다. SiC와 코발트간의 반응에 있어서 전형척인 반응충의 순서는 $1050^{\circ}C$에서 $1250^{\circ}C$까지의 온도 범위에서 CoSi/CoSi+C/CoSi/CoSi+C/ $\cdots$ /SiC이었고, SiC와 니켈간의 반응에 있어셔 전형적인 반응충의 순셔는 $950^{\circ}C$에서 $1050^{\circ}C$까지의 온도 범위에서 $Ni_2Si/Ni_2Si+C/Ni_2Si/Ni_2Si+C/ {\cdots} /SiC$이었다. 탄소의 결정화가 SiC / Co 반응에 있어서논 $1450^{\circ}C$ 이상에서 그리고 SiC/Ni 반응에 였어서는 $1250^{\circ}C$ 이상에서 바깐면으로 우선적으로 석출되였다. 또한, 탄 소석출거동을 동반한 주기적인 띠구조의 형성 기구가 열역학적인 고찰을 통하여 논하여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