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GOs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17초

Alternate Dispute Resolution - Free and Speedy Complaints Redressal Framework using Technology: Ombudsmanship at Proverbial Doorsteps in Pakistan

  • Phatak, Sohail Ahmad;Chaudhary, Muhammad Azam Ishaq;Khattak, Muhammad Sajid;Naveed, Anjum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3호
    • /
    • pp.344-354
    • /
    • 2022
  • Ombudsmanship is the framework to provide the speedy administrative justice to poor man which is originated in Sweden in the 19th Century and the modus operandi with modernized arrangement of public grievance redressal. Pakistan has thirteen different Ombudsman Institutions at both Federal and Provincial level with limited public accessibility. This paper presents a collaboration framework for extending the outreach of Ombudsmanship at proverbial doorstep of complainants. This framework has three main components as collaborative arrangements, Proceedings and Resolution of the complaints that increased the public trust. A pilot project titles Swift Complaint Resolution (SCR) was constructed and executed by Federal Ombudsman Secretariat to materialize the concept of speedy redressal of complaints. The SCR project first affirmed the strength of the components of the framework. The concept of SCR was first presented in the Federal Advisory committee for Administrative Justice, which comprised of highest level of the Parliamentarians, Public Officials, NGOs and Civil Society where presented guidelines to be adopted for the free and speedy redressal of grievances at proverbial doorsteps in tehsils and district headquarters ultimately to the extended to the union councils. In SCR, the complaints were decided within 25 days even though the Law permitted 60 days that is itself a record in any judicial /quasi-judicial forum.

에너지절약 민간단체 협력사업의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Improvements to Collaborative Energy Saving Projects with NGO)

  • 임기추
    • 에너지공학
    • /
    • 제25권1호
    • /
    • pp.177-184
    • /
    • 2016
  • 본고에서는 성과분석을 통해 파악된 문제점에 기반하여 관계자 및 전문가 의견수렴을 거쳐 에너지절약 민간단체 협력사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에너지관리공단과 에너지시민연대의 협력사업 선정 및 평가배점 관련 조정이 요청된다. 둘째, 협력사업의 시민참여 주체 선정 관련 시민참여 주체 선정의 다양화, 시민단체와 시민참여 주체의 네트워크 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사업계획단계의 개선방안으로 사업수단의 목표 부합성 증진, 사업예산의 증액 등을 권고시하였다. 넷째, 사업집행단계의 개선방안으로 사업추진절차의 편리성 제고, 에너지시민연대 협력사업의 최종평가기준 도입 및 사후 서비스관리 대응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참여자 만족도 제고를 위한 가정 에너지절약생활 점검, 가정 내 절약생활 실천 상담, 이외에 금융 및 주택 보수 등 검색, 개인 및 가정의 에너지사용 점검과 스마트폰용 앱 개발 등을 권고하였다.

전문간호사의 수급 현황과 건강보험 급여화 방안 (Demand-supply of Advanced Practice Nurse (APN) and Alternative Benefit Strategies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 김진현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7권1호
    • /
    • pp.23-35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emand and supply of advanced practice nurses and suggest alternative benefit strategies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Methods: A revised demand & supply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excess supply of APNs, and policy making process and key actors in the Korean health insurance were considered to develop a political approach to the APN issue. Results: The social demand for APNs is currently estimated to be less than 50% of its supply and the APN education program fell into difficulties in recruits. No reimbursement mechanism for APN's services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has given no economic incentive to hospital managers who have monopsony power in nursing labor market, which has caused the demand shortage of APNs in hospital industry. Payment for APN's services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strategies to booster the social demand for APN's services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and implemented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line with this, key actors in health insurance policy decision-making include government, national assembly, labor unions, NGOs, civic groups, medical associations, and academia. Conclusion: The basic researches for APN's activities and cost-effectiveness analysis in clinical settings are required to support the strategies aforementioned. Constructing a policy network among key actors is able to make the payment strategy feasible, which will increase the socal demand for APNs.

  • PDF

한반도 지진에 대한 원인 및 대처방안 (Cause and Countermeasures on the Korean Peninsula Earthquake)

  • 양원직;허대욱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9-13
    • /
    • 2016
  • 지진안전지대라고 불려왔던 한반도에 최근 지진이 자주 발생하여 전례없는 인적 물적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는 3층 미만의 건축물에 대해서는 내진설계가 되어있지 않고, 일부 전문가 및 단체를 제외하고는 지진에 대한 심각성 및 대피요령에 대해서 숙지하지 못하고 있어 피해가 가중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과 같이 국민 대부분이 대피요령이나 생존법, 비상물자 등을 인지하지 못하고, 각종 필요한 지진대비 교육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지진에 대해서 준비가 전무했던 우리가 이제 지진에 대해 정확한 실체와 원인을 알아보고 준비와 대책을 세워야 할 시점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빈번하게 발생하는 한반도 지진에 대하여 원인에 대해서 조사하고 우리정부와 지자체, 민간단체, 언론 및 개인의 대처방안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대구지역 다문화 유관 기관의 아카이빙 활동 현황에 관한 연구 (Current Status of Archiving Activities of Multicultural Service Agencies and Organizations in Dae Gu Metropolitan City)

  • 조용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25-155
    • /
    • 2016
  • 본 연구는 대구 지역 다문화 유관 기관들의 다문화 정보자원의 생산, 수집, 관리를 포함하는 아카이빙 활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시청 다문화팀, 다문화 관련 센터와 시민단체, 공공도서관 등 총 12곳을 대상으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들은 온/오프라인을 통한 정보자원의 생산, 외부 정보자원의 수집, 그리고 공문서와 상담일지, 다문화 도서, 박물자료 등의 정보 관리를 위해 노력해왔으나, 이 과정에서 일부 문제점들도 나타났다. 향후 다문화 유관 기관들은 정보생산, 수집, 관리에서 책임성을 강화하고, 공공도서관은 다문화 유관 기관들의 자료에 대한 수집과 조직을 위해 적극 노력해야 하며, 양측은 협력적 아카이빙 활동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수동측정기에 의한 대기오염 자동측정망의 지역대표성 조사 및 보완방완에 대한 기초연구 (Evaluation and Complement of the Representativeness of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Using Passive Air Samplers)

  • 우정현;김선태;김정욱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415-426
    • /
    • 1997
  • Some arguments have been about over the representativeness of government-run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among scholar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However, it is not a simple problem to move monitoring stations because of continuity of data and high cost. So it is necessary to complement the monitoring data if it do not represent the ambient air quality prop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presentativeness of some monitoring stations using passive $NO_2$ samplers and to find a complementary method from linear regression. Two stations were chosen for the evaluation: Shinlim Station wa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stations in Seoul and Banpo Station had the best reputation. Air qualities were surveyed at seven points around each monitoring station with consideration of land use and distance. The ratios of the average $NO_2$ levels of the areas to these at the monitoring stations were 1.59 for Shinlim Station and 1.03 for Banpo Stati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verage $NO_2$ levels and those at the monitoring stations were 10.75 ppb for Shilim Station and 0.34 ppb for Banpo St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two levels were 0.7668 for Shinlim and 0.7662 for Banpo. The averag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R^2)$ were 0.61 for Shinlim and 0.61 for Banpo. The Shinlim Station could not represent the air quality of Shinlim-Dong good because it is located in a green area at an outskirt of Shinlim-Dong. But the Banpo Station located in a central residential area of Banpo-Dong showed a fair representativeness. However, air quality turned out to be different with land use such as residential area, green area or road: the air quality data from a monitoring station located at a certain land use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representing the air quality at any sites around the station. Equations to predict the average $NO_2$ levels of each area from the data from the monitoring sta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linear regression.

  • PDF

북한이탈주민의 정보요구와 정보행태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거주자를 중심으로 - (Information Needs and Behavior of North Korean Refugees)

  • 조용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21-149
    • /
    • 2006
  • 최근 우리사회에 급증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들이 성공적으로 정착하지 못하고 부적응 현상을 보이고 있는 현실에서,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이 봉착해 있는 적응과 정착의 문제를 "정보"의 관점으로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의하면 북한이탈주민들은 남한사회의 정착을 위해 다양한 정보요구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 중에서 취업/사업에 대한 정보요구가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복지혜택. 건강/안전, 육아/교육, 북한소식, 언어/억양 등의 순으로 정보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러한 정보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방법에서는 많은 한계가 존재하고 있었다. 그들은 남한사회 정착에 필수적인 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공식적인 기관이나 단체를 활용하기보다는 자신과 같은 처지에 있는 북한이탈주민 가족, 친구, 이웃을 통해 폐쇄적으로 정보를 입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TV와 신문, 인터넷 등 대중매체 정보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모습은 나타났으나 현재 그들의 정보환경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상태에 있어 필요한 정보를 제대로 입수하여 삶의 문제 해결에 활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특정주제 정보관리를 위한 온톨로지 모형 연구 (Modeling of Task Ontology for Small Unit Operation : the Case of NGOs)

  • 유사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1-53
    • /
    • 2007
  • 본 연구는 특정 영역 소규모 업무(Small Unit Operation) 수행을 지원하는 태스크 온톨로지 모형 개발에 관한 것이다. 기존 정보관리에서 효과적으로 진화된 지식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사전 작업인 온톨로지 개발이 필요하다. 대표적 SUO의 하나인 시민단체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시민단체의 조직특성, 기대역할과 부진한 기능, 그리고 업무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관리나 활용실태 등을 조사하였다. 그러나 온톨로지 구현의 기초 자료로 삼을 수 있는 시민운동이나 단체들에 대한 분류체계나 시소러스 등이 없는 상황에서 단체 특성 및 관련 업무 그리고 출판물 등의 생산정보나 사이트구성, 활동주제 및 내역 등의 기존 데이터만으로는 지식획득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채택된 모형 개발 방법론은 해당 분야 실무자 및 전문가와의 심도 높은 면담과 관찰이며 이를 통해 현장실무의 업무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식을 추출하고 정보의 흐름 구조를 파악하여 그를 기반으로 시민단체의 역할 수행을 지원하는 태스크 온톨로지 모형을 구현하였다.

디지털 시대 오픈 데이터 정책의 현황과 과제 (An Analysis on Trends and Tasks of Open Data Policy in the Digital Era)

  • 신은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9-68
    • /
    • 2015
  • 과거에는 오픈 데이터에 공감한다 하더라도 이를 실천할 방법이 마땅하지 않았으나 요즈음은 디지털 형태의 연구데이터를 IT를 통해 공유하는 것이 어렵지 않은 상황이 되었다. 그러나 많은 연구자가 오픈 데이터를 시행하였을 때의 부작용과 추가 작업에 대한 부담을 느끼고 있고 이외 해결하여야 할 문제도 다소 있어, 오픈 데이터는 현재 기대만큼 활발히 수행되고 있지는 않다. 지구과학, 기상학 등 일부 학문 분야에서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을 뿐 나머지 학문 분야에서는 오픈 데이터에 대하여 큰 관심을 보이지 않는 듯하다. 연구결과 해외의 학회, 비영리단체, 대학, 연구지원기관에서는 오픈 데이터를 공공의 이익 추구 차원에서, 주요 출판사에서는 오픈 데이터를 논문을 엄격하게 심사하기 위한 보완책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었다. 오픈 데이터는 후속 연구를 이끌고 학문을 발전시키는 발판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해외의 사례를 충분히 고찰하고 정책에 반영함은 물론이려니와, 연구자, 대학, 도서관 모두 오픈 데이터의 필요성과 향후 전개될 상황에 관하여 관심을 갖고 보다 적극적으로 협력하여야 할 것이며, 이 연구는 이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기술하였다.

네트워크를 통한 효율적 재난대응체계 구축 - 한국과 일본의 재난 사례를 중심으로 - (Improving Disaster Response System Using Network - Focused on Korea and Japan's Disaster Cases -)

  • 류상일;안혜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70-179
    • /
    • 2007
  • 본 연구는 효율적 재난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네트워크체계를 구축하고자 일본과 한국의 재난 대응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일본의 경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등의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및 NGO간 상호 네트워크에 의해서 협력적으로 재난에 대응하고 있으나, 한국의 경우 각 부문간 네트워크 협력체계 구축이 미약하여 더 많은 재난피해를 불러일으키고 있었다. 즉 우리나라 재난대응 서비스는 그동안 공공부문에서만 담당해 왔던 것이다. 공공부문은 관리에 필요한 자원을 광범위하게 가지고 물리적 강제력과 법적 권한의 보유로 재난관리에 강력하게 대응할 수 있는 조직이다. 그러나 현대사회의 특성상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등의 공공부문의 노력만으로는 재난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에 한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향후 한국이 재난대응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국가재난대응 통합 네트워크 체계를 마련하고, 각 주체들을 연결할 수 있는 매개조직이 필요하며, 재난대응 네트워크에 참여하는데 있어 각 기관들의 역할과 기능 분담을 위한 재난대응 교육 훈련 프로그램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