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F2

검색결과 2,138건 처리시간 0.028초

Protective Role of Transduced Tat-Thioredoxin1 (Trx1)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Neuronal Cell Death via ASK1-MAPK Signal Pathway

  • Yeo, Eun Ji;Eum, Won Sik;Yeo, Hyeon Ji;Choi, Yeon Joo;Sohn, Eun Jeong;Kwon, Hyun Jung;Kim, Dae Won;Kim, Duk-Soo;Cho, Sung-Woo;Park, Jinseu;Han, Kyu Hyung;Lee, Keun Wook;Park, Jong Kook;Shin, Min Jea;Choi, Soo Yo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9권3호
    • /
    • pp.321-330
    • /
    • 2021
  • Oxidative stress plays a cruc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neuronal disorders including brain ischemic injury. Thioredoxin 1 (Trx1), a 12 kDa oxidoreductase, has anti-oxidant and anti-apoptotic functions in various cells. It has been highly implicated in brain ischemic injury. However, the protective mechanism of Trx1 against hippocampal neuronal cell death is not identified yet. Using a cell permeable Tat-Trx1 protein, protective mechanism of Trx1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cell death was examined using HT-22 cells and an ischemic animal model. Transduced Tat-Trx1 markedly inhibited intracellular ROS levels, DNA fragmentation, and cell death in H2O2-treatment HT-22 cells. Tat-Trx1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phosphorylation of ASK1 and MAPKs in signaling pathways of HT-22 cells. In addition, Tat-Trx1 regulated expression levels of Akt, NF-κB, and apoptosis related proteins. In an ischemia animal model, Tat-Trx1 markedly protected hippocampal neuronal cell death and reduced astrocytes and microglia activa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ransduced Tat-Trx1 might be a potential therapeutic agent for treating ischemic injury.

Aurora kinase A induces migration and invasion by inducing epithelial-to-mesenchymal transition in colon cancer cells

  • Hong, On-Yu;Kang, Sang Yull;Noh, Eun-Mi;Yu, Hong-Nu;Jang, Hye-Yeon;Kim, Seong-Hun;Hong, Jingyu;Chung, Eun Yong;Kim, Jong-Suk
    • BMB Reports
    • /
    • 제55권2호
    • /
    • pp.87-91
    • /
    • 2022
  • Aurora kinase is a family of serine/threonine kinases intimately associated with mitotic progression and the development of human cancers. Studies have shown that aurora kinases are important for the protein kinase C (PKC)-induced invasion of colon cancer cells.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aurora kinase A promotes distant metastasis by inducing epithelial-to-mesenchymal transition (EMT) in colon cancer cells. However, the role of aurora kinase A in colon cancer metastasis remains unclea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urora kinase A on PKC-induced cell invasion, migration, and EMT in human SW480 colon cancer cells. Treatment with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TPA) changed the expression levels of EMT markers, increasing α-SMA, vimentin, and MMP-9 expression and decreasing E-cadherin expression, with changes in cell morphology. TPA treatment induced EMT in a PKC-dependent manner. Moreover, the inhibition of aurora kinase A by siRNAs and inhibitors (reversine and VX-680) suppressed TPA-induced cell invasion, migration, and EMT in SW480 human colon cells. Inhibition of aurora kinase A blocked TPA-induced vimentin and MMP-9 expression, and decreased E-cadherin expression. Furthermore, the knockdown of aurora kinase A decreased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NF-κB and AP-1 in PKC-stimulated SW480 cell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urora kinase A induces migration and invasion by inducing EMT in SW480 colon cancer cell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hat showed aurora kinase A is a key molecule in PKC-induced metastasis in colon cancer cells.

영양각산이 Thioacetamide 유발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Youngyanggak-san against Thioacetamide Induced Acute Liver Damage in Rat)

  • 신미래;김경조;김수현;이지혜;권오준;노성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7-55
    • /
    • 2018
  • Objectives : The current study is to evaluate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youngyanggak-san (YGS) on thioacetamide (TAA)-induced acute liver injury in rats. Methods : YGS is composed of Glycyrrhizae Radix, Asiasari Radix, Cimicifugae Rhizoma, Saigae Tataricae Cornu. While N-YGS (non-youngyanggak-san) doesn't include Saigae Tataricae Cornu. Two samples were administrated TAA together for 3 days. Thirty-six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Rats except for the normal group were received TAA (200 mg/kg of body weight, I.P)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9/group) : Group 1 (TAA only), Group 2 (TAA + 200 mg/kg YGS) and Group 3 (TAA + 200 mg/kg N-YGS). Acute liver damage confirmed using histological examinatio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oxidative stress and liver function activity measured in serum. Also, expressions of inflammation related proteins were investigat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 Oxidative stress factors such as ROS and $ONOO^-$ in the Group 2 was manifested by a significant rise compared with Group 1. YGS markedly decreased the elevated ROS and $ONOO^-$. Furthermore, YGS significantly reduced the levels of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The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activation induced by TAA led to increase both inflammatory mediators and cytokines. While YGS administration remarkably suppressed such the overexpression. In addition, the histopatholog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liver tissue lesions were improved obviously in YGS treatment. Conclusion : YGS provided a hepatoprotective effect on acute liver damage through the suppression of oxidative stress. Especially, this effect enhanced markedly when Saigae Tataricae Cornu is included.

새로운 치료 방법 접근을 위한 C26 선암세포 기반의 Cancer Cachexia 동물모델 수립 (Model for Cancer Cachexia using C26 Adenocarcinoma-Induced Wasting Syndrome for Newer Therapeutic Approach)

  • 강은아;박종민;한영민;홍성표;조주영;유인경;오지영;함기백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ports
    • /
    • 제5권2호
    • /
    • pp.97-104
    • /
    • 2017
  • Cancer cachexia는 지방조직과 근육계 조직의 손실에 따른 체중의 현격한 감소를 특징으로 하고 있어 궁극적으로는 암 치료제에 대한 반응을 낮출 뿐만 아니라, 삶의 양은 물론 질도 낮추게 되는 시급히 해결되어야 하는 미충족 의료수요 중의 하나이다. 아직까지 임상에서는 수많은 노략에도 불구하고 일부 완화시킬 수 있는 약제가 있기는 하나, 전반적으로 해결이 가능한 약제나 치료 방법이 아직은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동물모델이 필요한 질환이라 하겠다. 이러한 배경하에 연구자 등은 우선 동물모델을 수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적절한 치료제를 개발하기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C26 대장 선암 세포를 이용한 Cancer cachexia 동물모델을 수립하여 이 모델에서의 변화를 소개함으로써 향후 더 진보된 치료제 개발이나 병태생리를 연구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C26 adenocarcinoma를 대퇴부 주입 후 시간 경과에 따라 몸무게의 변화가 현저하여 2주 이후에 유의한 몸무게의 감소, 식욕부진, 활동감소가 관찰되었고, 이때의 혈청 Cytokine 및 이를 조절하는 여러가지 전사인자의 변화가 선행되었고, 현저한 근육계의 근감소가 관찰되었으며, 실험동물은 3주에 40%가 사망하는 변화를 보였다. 연구자 등은 본 동물모델은 향후 새로운 치료약제 개발이나 Cancer cachexia 병태생리 연구에 매우 도움이 되는 수립하기 간편하며, 기저 분자생물학적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우수한 Cancer cachexia 모델이라 결론지을 수 있었다.

새로운 치료 방법 접근을 위한 C26 선암세포 기반의 Cancer Cachexia 동물모델 수립 (Model for Cancer Cachexia using C26 Adenocarcinoma-Induced Wasting Syndrome for Newer Therapeutic Approach)

  • 강은아;박종민;한영민;홍성표;조주영;유인경;오지영;함기백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5권2호
    • /
    • pp.97-104
    • /
    • 2017
  • Cancer cachexia는 지방조직과 근육계 조직의 손실에 따른 체중의 현격한 감소를 특징으로 하고 있어 궁극적으로는 암 치료제에 대한 반응을 낮출 뿐만 아니라, 삶의 양은 물론 질도 낮추게 되는 시급히 해결되어야 하는 미충족 의료수요중의 하나이다. 아직까지 임상에서는 수많은 노략에도 불구하고 일부 완화시킬 수 있는 약제가 있기는 하나, 전반적으로 해결이 가능한 약제나 치료 방법이 아직은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동물모델이 필요한 질환이라 하겠다. 이러한 배경하에 연구자 등은 우선 동물모델을 수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적절한 치료제를 개발하기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C26 대장 선암 세포를 이용한 Cancer cachexia 동물모델을 수립하여 이 모델에서의 변화를 소개함으로써 향후 더 진보된 치료제 개발이나 병태생리를 연구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C26 adenocarcinoma를 대퇴부 주입 후 시간 경과에 따라 몸무게의 변화가 현저하여 2주 이후에 유의한 몸무게의 감소, 식욕부진, 활동감소가 관찰되었고, 이때의 혈청 Cytokine 및 이를 조절하는 여러가지 전사인자의 변화가 선행되었고, 현저한 근육계의 근감소가 관찰되었으며, 실험동물은 3주에 40%가 사망하는 변화를 보였다. 연구자 등은 본 동물모델은 향후 새로운 치료약제 개발이나 Cancer cachexia 병태생리 연구에 매우 도움이 되는 수립하기 간편하며, 기저 분자생물학적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우수한 Cancer cachexia 모델이라 결론지을 수 있었다.

  • PDF

식물 자원을 활용한 염증반응 조절 (Modulation of Inflammation by Plant Resources)

  • 이하늘;성수희;김보람;김진호;서찬;임수아;김정은;정지민;정진우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17-17
    • /
    • 2023
  • Chrysanthemum zawadskii (C. zawadskii) is used in traditional East Asian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inflammatory disease. However, it has remained unclear whether extracts of C. zawadskii inhibit inflammasome activation in macrophages.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inhibitory effect of an ethanol extract of C. zawadskii (CZE) on the activation of the inflammasome in macrophages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BMDMs) were obtained from wild-type C57BL/6 mice. The release of IL-1β and lactate dehydrogenase in response to nucleotide-binding oligomerization domain-like receptor (NLR) family pyrin domain containing 3 (NLRP3) inflammasome activators, such as ATP, nigericin and monosodium urate (MSU) crystal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CZE in lipopolysaccharide(LPS)-primed BMDMs. Western blotting revealed that CZE inhibited ATP-induced caspase-1 cleavage and IL-1β maturation. To investigate whether CZE inhibits the priming step of the NLRP3 inflammasome, we confirmed the role of CZE at the gene level using RT-qPCR. CZE also downregulated the gene expression of NLRP3 and pro-IL-1β as well as NF-κB activation in BMDMs in response to LPS. Apoptosis associated speck-like protein containing a caspase-recruitment domain (CARD) oligomerization and speck formation by NLRP3 inflammasome activators were suppressed by CZE. By contrast, CZE did not affect NLR family CARD domain containing protein 4 (NLRC4) or absent in melanoma 2 (AIM2) inflammasome activation in response to Salmonella typhimurium and poly(dA:dT) in LPS-primed BMDMs, respectivel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ree key components of CZE, namely linarin, 3,5-dicaffeoylquinic acid and chlorogenic acid, decreased IL-1β secretion in response to ATP, nigericin and MSU.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ZE effectively inhibited activation of the NLRP3 inflammasome.

  • PDF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청국장 열수 추출물(Cheonggukjang Water Extract, CWE)의 면역 증강 효과 (The immune enhancement effect of Cheonggukjang Water Extract (CWE) via activation of NF-κB pathways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 장세현;김산;김세정;윤성란;소보람;류정아;박정민;정성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282-288
    • /
    • 2023
  •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대유행으로 바이러스와 같은 외부 병원균으로부터 우리의 몸을 보호하는 면역 기능 개선 건강기능식품의 시장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우리는 본 연구에서 높은 조단백, 조지방, 식이섬유 함량을 나타내는 고영양식품인 청국장이 면역 강화 기능을 나타냄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청국장 열수 추출물은 RAW 264.7 세포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대식세포의 nitric oxide, reactive oxygen species 및 interleukin (IL)-6, IL-1β, tumor necrosis factor-α 사이토카인의 생산량을 증가시켰다. 또한, 청국장 열수 추출물은 RAW 264.7 세포에서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및 cyclooxygenase-2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청국장 열수 추출물은 RAW 264.7 세포에서 I kappa B kinase α/β와 I kappa B (IκB)α의 인산화 및 IκBα의 degradation을 증가시켰으며, Nuclear factor-kappa B p65의 인산화를 증가시켜 p65의 세포질에서 핵으로의 이동을 촉진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청국장 추출물이 선천성 면역 반응을 강화하는데 유망한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Morin Hydrate Inhibits Influenza Virus entry into Host Cells and Has Anti-inflammatory Effect in Influenza-infected Mice

  • Eun-Hye Hong;Jae-Hyoung Song;Seong-Ryeol Kim;Jaewon Cho;Birang Jeong;Heejung Yang;Jae-Hyeon Jeong;Jae-Hee Ahn;Hyunjin Jeong;Seong-Eun Kim;Sun-Young Chang;Hyun-Jeong Ko
    • IMMUNE NETWORK
    • /
    • 제20권4호
    • /
    • pp.32.1-32.15
    • /
    • 2020
  • Influenza virus is the major cause of seasonal and pandemic flu. Currently, oseltamivir, a potent and selective inhibitor of neuraminidase of influenza A and B viruses, is the drug of choice for treating patients with influenza virus infection. However, recent emergence of oseltamivir-resistant influenza viruses has limited its efficacy. Morin hydrate (3,5,7,2',4'-pentahydroxyflavone) is a flavonoid isolated from Morus alba L. It ha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neuroprotective, and anticancer effects partly by the inhibition of the NF-κB signaling pathway. However, its effects on influenza virus have not been studied. We evaluated the antiviral activity of morin hydrate against influenza A/Puerto Rico/8/1934 (A/PR/8; H1N1) and oseltamivir-resistant A/PR/8 influenza viruses in vitro. To determine its mode of action, we carried out time course experiments, and time of addition, hemolysis inhibition, and hemagglutination assays. The effects of the co-administration of morin hydrate and oseltamivir were assessed using the murine model of A/PR/8 infection. We found that morin hydrate reduced hemagglutination by A/PR/8 in vitro. It alleviated the symptoms of A/PR/8-infection, and reduced the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chemokines, such as TNF-α and CCL2, in infected mice. Co-administration of morin hydrate and oseltamivir phosphate reduced the virus titers and attenuated pulmonary inflammation. Our results suggest that morin hydrate exhibits antiviral activity by inhibiting the entry of the virus.

특발성 폐섬유화증에 동반된 폐암 환자의 임상적 특정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Lung Cancer in Patients with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 박주헌;이진성;송군식;심태선;임채만;이상도;고윤석;김우성;김원동;김동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5호
    • /
    • pp.674-684
    • /
    • 1999
  • 연구배경 : 특발생 폐섬유화증에서 폐암의 발생이 높다고 알려져 왔으나 실제로는 보고자마다 차이가 많고 가장 많은 조직형에 대해서도 논란이 많다. 또한 동반된 폐섬유증에 의해 폐암의 발견시기나 치료방침, 예후 등이 다를 것이 예상되나 아직 이에 대한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특발성 폐섬유화증이 동반된 폐암 환자에서 위험인자, 폐암의 발생부위 및 조직학적 분포, 특히 폐암과 폐섬유화 부위의 일치도 등을 분석하여 특발성 폐섬유화증이 폐암 발생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 특발성 폐섬유화증이 폐암의 치료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 서울중앙병원을 방문하였던 특발성 폐섬유화증 환자중 폐암이 동반되었던 63명($66.8{\pm}:7.8$세, 남 : 녀= 61 : 2)을 대상으로 폐암의 위치, 조직형, 폐암 진단시 폐기능 검사소견, 폐암의 치료형태, 폐암 진단 후 생존기간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 본원을 내원한 2,660명의 대조폐암환자와 조직형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특발성 폐섬유화증환자들 중 22.4%(63/281명)에서 폐암이 동반되었다(IPF-CA). 45명(71.4%)의 환자에서는 폐암이 동시에 발견되었고 18명(28.6%)에서는 특발성 폐섬유화증 진단 후 25.2(3.7-42.9)개월이 지나 폐암이 발견되어, 폐섬유증의 경과 도중에 폐암의 발생율은 6.7%이었다. 폐 말초부에 위치한 폐암은 35명(55.5%) 뿐 이었고, 28명(44.4%)에서는 중심부 폐암이었으며, 폐하엽 보다는 상엽에 33명(51.6%)으로 더 많았다. 전체 특발성 폐섬유화증군에 비하여 특발성 폐섬유화증에 동반된 폐암군에서 연령 ($66.8{\pm}:7.84$ vs. $63.4{\pm}:11.1$세, p=0.007), 남성 비율 (96.8 vs. 67.6%, p<0.001), 흡연력 (88.9 vs. 67.2%, p<0.001)이 의미있게 높았다. 폐섬유화 병변과 일치한 부위에 폐암이 발생한 경우는 23명(35.9%) 뿐 이었고, 40명(62.5%)은 폐섬유화 병변과 다른 부위에서 폐암이 발생하였다. 특발성 폐섬유화증에 동반된 폐암의 조직형은 편평상피암 22명(34.9%), 선암 19명(30.2%), 소세포암 12명(19.0%), 대세포암 4명(6.3%), 기타가 6명(9.5%)이었다. 2,660명의 대조폐암환자군의 조직형은 편평상피암 44.6%, 선암 34.2%, 소세포암 14.7%, 대세포암 1.5%, 기타 5.0%으로 조직형의 분포에 있어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특발성 폐섬유화증의 경과 도중에 폐암이 발생한 군과 특발성 폐섬유화증과 폐암이 동시에 발견된 군간에 인적사항이나, 폐암의 위치, 조직형 및 병기 등에 유의한 차이를 관찰 할 수 없었으나 중증 섬유화증(방사선학적 소견상 폐침범 정도가 50% 이상)은 특발성 폐섬유화증 경과 도중에 폐암이 발견된 군에서 특발성 폐섬유화증과 폐암 동시 발견군에 비하여 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33.3 % vs. 61.1%, p=0.043). 폐섬유화와 일치한 부위의 폐암군은 방사선학적으로 폐섬유화가 더 광범위하게 진행된 경향을 보였고 중앙값생존기간이 폐섬유화와 다른 부위의 폐암군에 비하여 낮았다(4개월 vs. 7개월, p=0.04). 비소세포암군에서 병기 IIIa 이하인 19명중 33.3%(폐엽절제술 6명, 전폐절제술 1명)에서만 수술이 시행되었다. 10명은 수술 후 잔여 폐기량과 활동능력을 고려하여 수술을 시행하지 못하였고 2명은 수술을 거부하였다. 결 론 : 특발성 폐섬유화증에서 폐암 발생은 폐섬유화에 의한 영향보다는 연령, 흡연 및 성별(남성) 등의 위험인자와 더 연관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폐암세포주에서 PS-341에 의한 아포프토시스에서 JNK와 GSK-$3{\beta}$의 역할 및 상호관련성 (PS-341-Induced Apoptosis is Related to JNK-Dependent Caspase 3 Activation and It is Negatively Regulated by PI3K/Akt-Mediated Inactivation of Glycogen Synthase Kinase-$3{\beta}$ in Lung Cancer Cells)

  • 이경희;이춘택;김영환;한성구;심영수;유철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5호
    • /
    • pp.449-460
    • /
    • 2004
  • 연구배경 : PS-341은 최근에 개발된 강력하고 특이적인 proteasome 억제제로서, 일부 암환자에 투여하여 좋은 성적이 보고되고 있다. Proteasome 억제제의 항암효과는 아포프토시스 유발 물질, 즉 p53, $p21^{WAF/CIP1}$, $p27^{KIP1}$, NF-${\kappa}B$, Bax, Bcl-2 등의 발현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JNK와 GSK-$3{\beta}$도 아포프토시스에 관여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PS-341에 의한 아포프토시스에서의 역할은 규명되지 못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폐암세포주에서 PS-341에 의한 아포프토시스에서 JNK와 GSK-$3{\beta}$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NCI-H157과 A549 폐암세포주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세포생존능은 MTT 방법으로 평가하였고, 아포프토시스는 PARP의 분해로 평가하였다. JNK의 활성도는 in vitro immuno complex kinase 방법과 내인성 c-Jun의 인산화로 측정하였다. 각종 단백의 발현은 Western 분석으로 평가하였다. JNK1과 GSK-$3{\beta}$의 과발현은 각각 plasmid vector와 adenovirus vector를 이용하였다. 결 과 : PS-341 처치로 아포프토시스에 의한 세포생존율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PS-341 처치로 JNK가 활성화되었고, c-Jun의 발현이 유도되었다. Dominant negative JNK1의 과발현 또는 SP600125 전치치로 JNK의 활성화를 차단하면 PS-341에 의한 아포프토시스가 억제되었다. PS-341 처리로 JNK 활성화에 의존적으로 caspase 3의 활성화가 유도되었다. Caspase 활성화의 차단으로도 PS-341에 의한 아포프토시스가 억제되었다. PS-341에 의해 Akt가 활성화되었고, Akt 활성화의 차단으로 PS-341에 의한 아포프토시스가 심화되었다. PS-341에 의한 Akt 활성화로 GSK-$3{\beta}$가 불활성화되었다. Constitutively active GSK-$3{\beta}$의 과발현으로 PS-341에 의한 아포프토시스가 심화되었고, dominant negative GSK-$3{\beta}$의 과발현으로 PS-341에 의한 아포프토시스가 감소되었다. Lithium chloride 전처치와 dominant negative GSK-$3{\beta}$의 과발현으로 PS-341에 의한 JNK의 활성화와 c-Jun의 발현 증가가 억제되었다. 결 론 : 폐암세포주에서 PS-341에 의한 아포프토시스는 JNK/caspase 경로가 관여하며, 이는 PI3K/Akt 경로를 통한 GSK-$3{\beta}$의 불활성화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PS-341의 항암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PI3K/Akt 경로를 통한 GSK-$3{\beta}$의 불활성화를 차단하는 치료법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