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F-${\kappa}B$ inhibitory activity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36초

홍삼추출액은 lipoteichoic acid로 자극된 소교세포에서 Akt 및 MAPK 의존적으로 heme oxygenase-1 발현을 유도함으로써 NO 생성을 억제함 (A Formulated Korean Red Ginseng Extract Inhibited Nitric Oxide Production through Akt- and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dependent Heme Oxygenase-1 Upregulation in Lipoteichoic Acid-stimulated Microglial Cells)

  • 신지은;이경민;김지희;이스칸더 마디;김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02-409
    • /
    • 2019
  • 생삼을 쪄서 건조시킨 홍삼은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약재로서 면역, 내분비 및 중추신경계 작용을 증진시키며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람 양성균의 세포벽 성분인 lipoteichoic acid (LTA)에 의한 염증반응에 홍삼추출액(RGE)이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지 관찰하고 그 작용 기전을 연구하였다. BV-2 소교세포에서 RGE는 세포에 독성을 유도하지 않으면서 LTA로 인한 nitric oxide (NO)의 생성과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NF-kB p65의 핵으로의 이동과 IkB-a의 분해 또한 억제하였다. 한편, RGE는 농도의존적으로 heme oxygenase-1 (HO-1)의 발현을 유도하였으며, HO-1 siRNA를 처리했을 때는 RGE가 iNOS의 발현을 억제하지 못하였다. RGE는 HO-1의 발현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nuclear factor E2-related factor 2 (Nrf2)를 핵으로 이동을 촉진시켰다. 또한 RGE에 의한 HO-1의 발현은 phosphatidylinositol-3-kinase(PI-3K) 및 MAPK 억제제에 의해 감소되었으며, RGE가 Akt와 ERK, p38, JNK의 인산화를 유도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RGE는 PI-3K/Akt 및 ERK, p38, JNK 신호전달과정을 통해 HO-1의 발현을 유도함으로써 NO와 같은 염증매개물질의 생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홍삼추출액은 그람 양성균에 의한 신경염증과 염증관련 신경계 질환의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Radicicol Inhibits iNOS Expression in Cytokine-Stimulated Pancreatic Beta Cells

  • Youn, Cha Kyung;Park, Seon Joo;Li, Mei Hong;Lee, Min Young;Lee, Kun Yeong;Cha, Man Jin;Kim, Ok Hyeun;You, Ho Jin;Chang, In Youp;Yoon, Sang Pil;Jeon, Young Ji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7권4호
    • /
    • pp.315-320
    • /
    • 2013
  • Here, we show that radicicol, a fungal antibiotic, resulted in marked inhibi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transcription by the pancreatic beta cell line MIN6N8a in response to cytokine mixture (CM: TNF-${\alpha}$, IFN-${\gamma}$, and IL-$1{\beta}$). Treatment of MIN6N8a cells with radicicol inhibited CM-stimulated activation of NF-${\kappa}B$/Rel, which plays a critical role in iNOS transcription, in a dose-related manner. Nitrite production in the presence of PD98059, a specific inhibitor of the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protein kinase-1 and 2 (ERK1/2) pathway, was dramatically diminished, suggesting that the ERK1/2 pathway is involved in CM-induced iNOS expression. In contrast, SB203580, a specific inhibitor of p38, had no effect on nitrite generation. Collectively, this series of experiments indicates that radicicol inhibits iNOS gene expression by blocking ERK1/2 signaling. Due to the critical role that NO release plays in mediating destruction of pancreatic beta cells, the inhibitory effects of radicicol on iNOS expression suggest that radicicol may represent a useful anti-diabetic activity.

Anti-inflammatory Effect of Ribes fasciculatum in IFN-${\gamma}$/LPS-stimulated Mouse Peritoneal Macrophage

  • Kim, Jin Kyu;Kim, Ha Na;Kang, Chung Sik;Seo, Je Han;Seo, Hyun Won;Im, Jun Sang;Kim, Bong Seok;Cha, Dong Seok;Kwon, Jin;Oh, Chan Ho;Ma, Sang Yong;Nam, Jung Il;Jeon, Ho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0권2호
    • /
    • pp.113-118
    • /
    • 2014
  • Ribes fasciculatum which belongs to Saxifragaceae has been widely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symptoms associated with lacquer poison. However, pharmacological studies on the R. fasciculatum are extremely limited until now. Thu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possibl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R. fasciculatum (ERF) using IFN-${\gamma}$/LPS-stimulated peritoneal macrophage model. We investigated the change in nitrite level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ERF after LPS stimulation, and we found that ERF effectively attenuates the NO production in a dose dependent manner without notable toxicity. To determine the mechanism of the inhibitory action of ERF on NO production, we performed iNOS enzyme activity assay and Western blotting. Here we showed that both of iNOS enzyme activities and iNOS expressions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by ERF, indicating that these dual activities of ERF are responsible for ERF-mediated NO suppression. In addition, ERF inhibitied the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 (COX-2), an another key enzyme in inflammation through suppression of NF-${\kappa}B$ activation. We also teste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ERF not only in vitro, but in vivo using trypsin-induced paw edema model in mice. Our results revealed that the increased paw volume in response to trypsin injection was recovered by ERF supplement dose dependently.

파골세포의 골 흡수에 미치는 녹용의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Deer Antler on Osteoclastic Bone Resorption)

  • 김윤경;최윤홍;송정훈;장성조;김현정;이창훈;안선호;이지은;김정중;최민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299-1304
    • /
    • 2009
  • We have previously shown that water extract of deer antler (WEDA) inhibited RANKL-mediat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from bone marrow macrophages by suppressing c-Fos and NFATc1 expression. Thus, we examined the effect of WEDA in inflammation-induced bone loss in vivo. Here we found that WEDA inhibited osteoblast-support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LPS). However, WEDA did not suppress the expression of receptor activator of NF-${\kappa}B$ ligand (RANKL) in response to LPS in osteoblasts. WEDA also inhibited the bone resorptive activity of mature osteoclasts. To examine the effect of WEDA on bone loss, when LPS injected subcutaneously in mice, bone loss was greatly increased, but WEDA treatment inhibited LPS-mediated bone loss. Taken together, we conclude that WEDA inhibit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bone resorption in vitro and in vivo. Thus WEDA may be useful in the treatment of bone-related disorders.

결명자로부터 분리된 Aurantio-obtusin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urantio-obtusin isolated from Cassia tora L. in RAW264.7 Cells)

  • 이기호;장지훈;우경완;노종현;정호경;조현우;용주현;안병관
    • 생약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1-17
    • /
    • 2019
  • Cassia tora L. have been used as a folk medicine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anti-inflammatory effect of aurantio-obtusin isolated from C. tora. We isolated aurantio-obtusin from 50% ethanol extracts of C. tora L.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urantio-obtusin on the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inflammatory response in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To investigate the cytotoxicity of aurantio-obtusin on RAW 264.7 cells, MTS assay was performed. RAW 264.7 cells were treated with aurantio-obtusin at different concentrations (12.5, 25, 50, $100{\mu}M$) for 30 h. The result showed that aurantio-obtusin had no cytotoxic effect in a concentration range of $12.5-100{\mu}M$. To determine the effect of aurantio-obtusin on LPS-induced NO production, the NO concentration measurement was performed. RAW 264.7 cells were treated with aurantio-obtusin at 12.5, 25, 50 and $100{\mu}M$ for 24 h,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O production of aurantio-obtusin-treated cells compared to LPS alone 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Pretreatment of aurantio-obtusin inhibited LPS-induced NO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o find out inhibitory mechanisms of aurantio-obtusin on inflammatory mediators, we examined the $PGE_2$ pathways. As a result, $PGE_2$ were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by aurantio-obtusin. The release of interleukin-$1{\beta}$ (IL-$1{\beta}$) and IL-6 were also reduced. Moreover, aurantio-obtusin suppressed LPL-induced $I{\kappa}B-{\alpha}$ degrad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own regulation of NO, $PGE_2$, IL-$1{\beta}$ and IL-6 expression by aurantio-obtusin are achieved by the downregulation of NF-${\kappa}B$ activity.

마우스 대식 세포주 RAW264.7에 있어서 LPS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반응에 대한 식용피(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의 저해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Flavonoids Kaempferol and Biochanin A-enriched Extract of Barnyard Millet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Grains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 이지영;전도연;윤영호;고지연;우관식;우미희;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157-1167
    • /
    • 2014
  • 잡곡은 대사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우수한 기능성 식품소재로 인식되고 있다. 국내산 잡곡들(기장, 황금찰수수, 노랑차조, 율무 및 식용피)을 대상으로 항염증 활성을 비교조사하고자, 이들 잡곡의 8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마우스 대식세포주 RAW264.7을 지질다당류(LPS)로 자극할 때 생성되는 염증 매개인자인 산화질소(NO)의 생성에 미치는 저해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식용피(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유래의 에탄올 추출물이 LPS에 의해 유도되는 NO의 생성을 저해하는 항염증 활성에 있어서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식용피의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항염증 관련 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80%에탄올 추출물을 물에 녹인 후 n-hexane, methylene chloride (MC), ethyl acetate (EtOAc), n-butanol (BuOH)과 물 분획들로 단계별 분획하고, 각 분획의 항염증 활성을 조사하였다. RAW264.7 세포에 MC 분획($100{\mu}g/ml$)을 전처리하였을 때, LPS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iNOS, COX-2, 그리고 친염증성 사이토카인들(IL-$1{\beta}$, IL-6, 및 TNF-${\alpha}$)의 발현이 현저하게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PS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p38MAPK, JNK 및 ERK의 활성화의 경우도 MC 분획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HPLC분석을 통해, 식용피 유래 MC 분획의 항염증 활성은 식용피의 MC 분획 속의 주요성분인 kaempferol과 biochanin A에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식용피 및 식용피의 MC 분획이 염증성 질환과 이와 관련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과 예후개선에 유리한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보스웰리아 추출물의 골관절염 억제 효과 연구 (Effect of Boswellia serrata Extracts on Degenerative Osteoarthritis in vitro and in vivo Models)

  • 남다은;김옥경;심태진;김지훈;이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31-640
    • /
    • 2014
  • 본 실험에서는 primary culture된 연골세포 in vitro 실험모델과 MIA로 유발한 골관절염 in vivo 실험모델을 이용하여 보스웰리아 추출물의 골관절염 예방 효과를 확인하였다. 먼저 MTT 시험법을 통해 세포 사용 적정농도를 $20{\mu}g/mL$ 이하로 결정하여 연골세포 사멸 억제를 확인하고, 이를 근간으로 골관절염 동물실험 모델에서 골관절염 예방 효과를 확인하였다. $H_2O_2$ 처리에 따른 산화적 독성으로 연골세포 사멸을 유도한 실험에서 보스웰리아 추출물은 유의적으로 세포사멸을 억제하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5{\sim}20{\mu}g/mL$ 사이농도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세포실험에서는 골관절염 발병에 따라 관절연골에 영향을 미치는 염증인자에 대한 기전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골세포에 LPS를 처리하여 염증을 유도한 후 보스웰리아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한 실험 결과 면역과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nuclear transcription factor ${\kappa}B(NF{\kappa}B)$, 염증관련 cytokine IL-6, TNF-${\alpha}$의 발현이 모두 보스웰리아 추출물 처리 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20{\mu}g/mL$ 농도에서 가장 효과가 뚜렷하고 일관되게 확인되었다. 또한 이들 cytokine에 의해 생성되는 COX-2 발현과 COX-2에 자극 받아 생성이 촉진되는 PGE2 생성을 확인한 결과 역시 $20{\mu}g/mL$ 농도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생성이 억제되어 염증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스웰리아의 기능성분으로 알려진 보스웰릭산(boswellic acids)에 의해 억제되는 5-LO의 경우, 염증반응 유발의 핵심인자를 생성하는 효소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직접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보스웰리아의 효능을 확인 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염증을 유도한 연골세포에서 보스웰리아 추출물의 처리에 따라 5-LO 활성이 감소하였으며, 이는 곧 보스웰리아 추출물이 염증을 유발 핵심효소인 5-LO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연골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세포실험에서의 기전 결과를 바탕으로 골관절염을 유발한 동물모델에서의 보스웰리아 추출물의 섭취에 따른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어 관절염 유발 동물모델에서 보스웰리아 추출물의 효능검증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세포실험 결과 및 기존의 연구내용을 참고하여 동물에서 보스웰리아의 섭취 농도를 50 mg/kg, 100 mg/kg 및 200 mg/kg으로 결정하고 AIN-93G diet에 보스웰리아 추출물 분말을 섞어 보스웰리아 diet를 제작하여 실험기간 동안 제공하였다. 골관절염 유발 동물모델을 만들기 위해 SD rat의 관절강에 MIA를 injection 하였으며, 보스웰리아 추출물 섭취에 따른 관절염 예방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관절염 유발 2주일 전부터 제작된 식이를 제공하고 유발 후 3주간 지속적으로 식이 제공 및 관찰하였다. 연골의 주요 구성 성분인 collagen 및 aggrecan은 골관절염 발병 시 여러 인자에 의해 분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골관절염 유발동물모델에서 collagen type I, collagen type II 및 aggrecan 유전자 발현을 실시간 정량 PCR로 측정하여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골관절염 유발 sham군에 비해 보스웰리아 추출물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collagen type I, collagen type II 및 aggrecan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BW200군에서 CLX 약물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발현이 증가하여 관절연골의 보호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원질 합성을 억제하고 분해를 촉진시키는 MMPs(MMP-3, MMP-9, MMP-13)의 발현을 실시간 정량 PCR로 측정하여 발현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앞선 다른 실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보스웰리아 섭취군에서 MMPs 유전자 발현이 유의적으로 낮아졌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BW200군에서 MMPs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관절염에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인 CLX 투여 양성대조군과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보스웰리아 추출물은 골관절염에서 관절연골의 보호 효과가 있으며, 이는 골관절염 발생 시 나타나는 염증발현의 기전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골관절염 유발 동물에서 섭취 효능까지 모두 일관되게 나타나 골관절염에서의 기능성 소재로써 개발가능성이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추후 실험을 통해 골관절염이 유발된 동물에서 보스웰리아 추출물 섭취 시 관절연골의 형태학적인 변화 및 골상태의 분석과 더불어 관절염 유발 동물의 관절연골 및 혈액학적 분석을 진행하여 동물에서 기전적 측면을 보완하고 보스웰리아 추출물 효능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을 하고자 한다.

정상적인 인간유방상피세포인 MCF-12세포에서 유방암 항에스토젠 내성인자-3 (BCAR3)에 의한 c-Jun 발현 유도 연구 (Induction of c-Jun Expression by Breast Cancer Anti-estrogen Resistance-3 (BCAR3) in Human Breast MCF-12A Cells)

  • 오명주;김지현;전병학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383-1391
    • /
    • 2016
  • 타목시펜과 같은 항에스트로젠은 ER 양성의 초기 유방암 환자에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환자에서 이 항에스트로젠에 대한 내성 발현은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BCAR3 유전자는 사람의 에스트로젠 의존성 유방암에서 tamoxifen 내성유도를 야기하는 단백질로 발견되었다. 우리들은 이전에 이 BCAR3 유전자가 세포주기 진행과 EGF와 인슐린에 의한 DNA 합성 신호전달경로를 조절한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종양성 정상적인 인간유방상피세포인 MCF-12A세포에서 c-Jun 전자의 조절에 대한 BCAR3유전자의 기능적인 역할을 조사하였다. BCAR3의 일시적인 발현 또는 지속적인 발현이 c-Jun mRNA와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BCAR3 발현 유전자의 미세주사에 의해 세포 증식이 증가하였다. 이 c-Jun의 발현 증가는 promoter의 활성화를 통해 일어난다. 또한 BCAR3에 의한 c-Jun 발현 유도가 억제성 Ras, Rac, Rho에 의해 억제되었다. 다음으로 EGF 성장인자에 의한 c-Jun 발현 유도에 대한 BCAR3의 영향을 단일 세포 미세주사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BCAR3 항체, BCAR3의 siRNA와 같은 BCAR3의 기능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들을 세포로 미세주사하면 EGF에 의한 c-Jun의 발현을 억제하였지만, IGF-1 성장인자에 의한 c-Jun 발현은 억제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BCAR3는 c-Jun 단백질 발현 유도와 세포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여기에는 Ras, Rac, Rho와 같은 GTPase들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