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DMA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19초

감귤류 종자 추출물의 N-nitrosodimethylamine 생성 억제에 관한 연구 (Inhibi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Formation of Extracts from Citrus Seeds)

  • 오혁수;안용석;나임순;오명철;오창경;김수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40-646
    • /
    • 2003
  • 감귤 6종류의 종자를 메탄올로 추출하여 이들 추출물에 의한 N-nitrosodimethylamine(NDMA) 생성억제효과를 검정하였다. 감귤류 종자의 수분함량은 4∼6%, 조단백질 함량 11∼15%, 조지방 32∼46%, 탄수화물 함량은 22∼45%이었으며, 회분함량은 2∼4%, 플라보노이드는 12∼24mg%, 폴리페놀함량은 22∼53mg%이었다. 감귤종자 메탄올 추출물의 추출수율은 0.7∼1.1%, 고형분 함량은 0.8∼1.2%이었다. 감귤종자 메탄올추출물에 의한 아질산염의 소거효과는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 소거율이 증가였다. 또한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의존성이 커서, pH 1.2(42.7∼96.9%)에서 높은 가장 높은 소거효과를 보였으며 pH 6.0(19.9∼62.6%)에서 가장 낮은 효과를 보였다. 게다가 반응시간에 따른 아질산염 소거효과는 3시간 반응시켰을 때 가장 높았다. NDMA 생성 억제효과는 감귤 종자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컸다. 즉 감귤종자 추출물을 각각 1, 3 및 5$m\ell$ 첨가하였을 때 NDMA 생성 억제율은 각각 1.2∼39.8%, 21.3∼60.1% 및 47.4∼94.0%이었다.

비타민 C의 보강이 당뇨쥐의 간 소포체와 미토콘드리아의 Cytochrome P450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scorbic Acid Supplementation on Hepatic Microsomal and Mitochondrial Cytochrome P450 System in Diabetic Rats)

  • 정연재;임은영;김해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82-688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당뇨에 의한 CYP2El의 유도와 이에 따른 지질과 산화의 증가에 비타민 C가 미치는 영향을 간 소포체와 미토콘드리아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Cy-tochrome P450의 함량은 간 소포체와 미토콘드리아 모두에서 정상과 당뇨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비타민 C의 공급은 영향이 없었다. Superoxide anion에 의한 지질과 산화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는 CYP2El에 대하여 immunoblotting으로 그 함량을 알아본 결과, 간 소포체 CYP2El이 당뇨에서 증가하고 비타민 C의 보강은 50mg/d의 공급으로도 현저한 감소를 보여 간 소포체 P450의 함량과는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간 미토콘드리아의 경우 소포체와 동량(20$\mu\textrm{g}$)의 단백질을 loading하였는데 CYP2El의 발현을 볼 수 없었다. 간 소포체와 미토콘드리아 NDMA demethylase의 활성이 정상군과 당뇨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50mg/d의 비타민 C 공급시 간 소포체에서는 유의적으로, 간 미토콘드리아에서는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감소하였다. NDMA demethylase의 활성은 CYP1El의 함량을 반영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pattern으로 진행되지는 않은 듯하다. NADPH-cyto-chrome c reductase의 활성은 NDMA demethylase의 활성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비타민 C의 공 급은 당뇨에 의한 CYP2El의 유도를 감소시키고 NDMA demethylase, NADPH-cyto-chrome c reductase와 같은 약물대사계 효소의 활성을 감소시켜 지질과 산화를 낮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비타민 C의 공급량에 따라 조금씩 다른 결과를 보여 당뇨에 있어 가장 좋은 효과를 보일 수 있는 최적의 비타민 C 보강량을 결정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당뇨군에서 지질과 산화의 지표인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의 함량이 간 소포체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비타민 C의 공급랑에 의존하여 TBARS의 함량이 감소하였다. TBARS의 함량은 NDMA demethylase의 활성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CYP2E1이 당뇨의 지질과 산화에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비타민 C의 항산화 효과는 비타민 C 자체의 항산화 능력, 비타민 E와 glutathione 같은 다른 항산화제의 절약 효과, CYP2El의 유도 저하를 통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중 어떤 것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고 더욱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 PDF

UV 공정을 이용한 N-Nitrosodimethylamine (NDMA) 광분해 및 부산물 생성에 관한 연구: 박스-벤켄법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통계학적 분해특성평가 및 반응모델 수립 (A study on the Degradation and By-products Formation of NDMA by the Photolysis with UV: Setup of Reaction Models and Assessment of Decomposition Characteristics by the Statistical Design of Experiment (DOE) based on the Box-Behnken Technique)

  • 장순웅;이시진;조일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3-46
    • /
    • 2010
  • 본 연구는 광분해 산화공정으로 난분해성 물질인 N-Nitrosodimethylamine (NDMA)인 제거 및 부산물 생성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3개의 독립변수 (자외선 강도($X_1:\;1.5{\sim}4.5\;mW/cm^2$, 초기 NDMA 농도($X_2:\;100{\sim}300\;uM$), pH(X3:3~9))와 4개의 종속변수(NDMA 제거율($Y_1$), dimethylamine (DMA) 생성농도($Y_2$), dimethylformamide (DMF) 생성농도($Y_3$) 및 $NO_2$-N 생성농도($Y_4$))로 구성된 박스-벤켄 설계를 이용한 실험계획을 적용시켜 예측 모델과 광분해 산화 최적조건을 수립하였다. 실험결과 2시간 광분해 후 NDMA는 거의 완전히 제거되었으며 DMA, DMF와 $NO_2$-N은 NDMA 광분해와 동시에 부산물로 생성되었다. 광분해 최적의 조건을 얻기 위해 정준분석을 수행하여 최적 점 (반응값, 독립변수 조건)과 예측반응모델을 수립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Y_1=117+21X_1-0.3X_2-17.2X_3+{2.43X_1}^2+{0.001X_2}^2+{3.2X_3}^2-0.08X_1X_2-1.6X_1X_3-0.05X_2X_3$ ($R^2$ = 96%, Adjusted $R^2$ = 88%)와 99.3% ($X_1:\;4.5\;mW/cm^2$, $X_2:\;190\;uM$, $X_3:\;3.2$), $Y_2=-101+18.5X_1+0.4X_2+21X_3-{3.3X_1}^2-{0.01X_2}^2-{1.5X_3}^2-0.01X_1X_2-0.07X_1X_3-0.01X_2X_3$ ($R^2$= 99.4%, 수정 $R^2$ = 95.7%)와 35.2 uM ($X_1:\;3\;mW/cm^2$, $X_2:\;220\;uM$, $X_3:\;6.3$), $Y_3=-6.2+0.2X_1+0.02X_2+2X_3-{0.26X_1}^2-{0.01X_2}^2-{0.2X_3}^2-0.004X_1X_2+0.1X_1X_3-0.02X_2X_3$ ($R^2$= 98%, 수정 $R^2$ = 94.4%)와 3.7 uM ($X_1:\;4.5\;mW/cm^2$, $X_2:\;290\;uM$, $X_3:\;6.2$), $Y_4=-25+12.2X_1+0.15X_2+7.8X_3+{1.1X_1}^2+{0.001X_2}^2-{0.34X_3}^2+0.01X_1X_2+0.08X_1X_3-3.4X_2X_3$ ($R^2$= 98.5%, 수정 $R^2$ = 95.7%)와 74.5 uM ($X_1:\;4.5\;mW/cm^2$, $X_2:\;220\;uM$, $X_3:\;3.1$). 반응표면분석법 중 하나인 박스-벤켄법은 UV 광분해에 의한 NDMA 분해 및 부산물 생성에 대한 통계학적 및 수학적인 결과 및 최적의 운전조건을 제시하였다. 예측모델의 검정을 통하여 박스-벤켄법은 매우 높은 신뢰성을 보였다.

입상활성탄 공정에서의 nitrosamine류 흡착 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for Nitrosamines in Granular Activated Carbon Process)

  • 김경아;손희종;이상원;빈재훈;김창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709-71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석탄계 활성탄 신탄을 이용하여 입상활성탄 흡착공정에서의 nitrosamine류 9종의 흡착특성을 평가해 본 결과, nitrosamine류 9종의 물질별 파과 순서는 NDMA가 가장 빨리 파과에 도달하였고, 다음으로 NMOR, NPYR, NMEA, NDPA, NDEA, NPIP 순으로 나타났고, NDBA와 NDPHA의 경우는 운전 기간 동안 활성탄 처리수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석탄계 활성탄 신탄을 이용한 입상활성탄 흡착공정에서의 nitrosamine류 9종의 최대 흡착량(X/M)은 파과에 도달한 nitrosamine류 7종 중에서 NDMA가 $27.5{\mu}g/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NPIP가 $671.0{\mu}g/g$으로 가장 높은 최대 흡착량을 나타내었고, NDBA와 NDPHA의 경우는 실험기간 동안 활성탄 흡착컬럼의 처리수에서 검출되지 않아 최대 흡착량을 구할 수가 없었다. 또한, 7종의 nitrosamine류에 대한 CUR의 경우는 NDMA가 1.07 g/day로 나타나 NPIP의 0.08 g/day 보다 13.4배 정도 높은 활성탄 사용률을 나타내었다. 석탄계 활성탄 신탄을 이용한 입상활성탄 흡착공정에서 파과에 도달한 7종의 nitrosamine류에 대해 최대 흡착량(X/M)과 $K_{ow}$값과의 상관성을 평가해 본 결과, 상관계수($r^2$)가 0.94로 나타나 양호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LC-MS/MS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 중 N-니트로사민류 분석법 확립 (Analysis Method of N-Nitrosamines in Human Urine by LC-MS/MS System)

  • 박나연;정웅;고영림
    • 대한화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51-56
    • /
    • 2017
  • N-니트로사민은 이차 아민과 아질산이 산성조건 하에서 니트로소화 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니트로소 화합물이다. 약 300여종이 존재하며, 그 중 90%가 동물실험을 통해 발암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1987년 IARC에서 NDMA와 NDEA를 Group 2A로 지정하였고, NDPA, NDBA, NPYR, NPIP, NMOR을 Group 2B로 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N-니트로사민류의 생물학적 모니터링을 위하여 소변 중 N-니트로사민류의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소변시료는 고체상추출(Solid phase extraction, SPE)을 통하여 전처리 한 후, LC-(APCI)-MS/MS를 이용하여 정량분석 하였다. 확립된 분석법의 정확도는 85.8~110.2% 이었고, 정밀도는 1.1~10.5%로 나타났다. 검출한계는 0.0002 (NDBA) ~ 0.0793 (NDMA) ng/ml 이었고, 검량선 회귀식의 상관계수($r^2$)은 0.999 이상으로 우수한 직선성을 보여주었다. 실제 소변 중 N-니트로사민류의 평균 농도는 NDMA 2.645 mg/g creatinine, NDEA 0.067 mg/g creatinine, NMEA 0.009 mg/g creatinine, NDBA 0.011 mg/g creatinine, NPIP 0.271 mg/g creatinine, NPYR 0.413 mg/g creatinine 이고, NDPA와 NMOR은 검출되지 않았다. 추후 N-니트로사민류의 인체 노출량 평가 및 위해평가를 위한 기기분석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굴비 가공중 N-nitrosamine의 생성 (The Formation of N-nitrosamine in yellow Corvenia During its Processing)

  • 성낙주;이수정;정미자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5-131
    • /
    • 1997
  • Gulbi, salted and dried yellow corvenia, is a favorite diet food in Korea from the ancient times. A Few studies have dealt with sanitary concerns related to its products, while a number of investigators studied its taste compounds. This study attemps to establish the basic data for ensuring the safety of Gulbi. The contents of nitrate and nitrite were detected 1.2 and <0.1 mg/kg in raw sample, but their contents were detected 3.6~3.9 and 1.2~2.0 mg/kg during its processing and storage of Gulbi, respectively. TMAO contents decreased while betaine, TMA, DMA and formaldehyde increased in yellow corvenia during its processing and storage. Recovery from raw, salted, salt-dried and stored sample spiked with 10$\mu\textrm{g}$/kg for NDBA was 83.2~102.7% average 92.7%). N-nitrosamine such as NDMA, NDEA and NDPA was not detected in raw sample and drastically increased during Gulbi processing and storage. The levels of NDMA, NDEA and NDPA in Gulbi stored for 30 days were about 2.7,4.5 and 5.3 times higher than those in salted sample, respectively. Regardless of cooking methods, NDMA, NDEA and NDPA during cooking when sample were cooked using direct heating methods such as a gas and a briquet fire than when sample were cooked using indirect methods such as an microwave oven and a fried pan. Indirect cooking methods was effective to minimize the N-nitrosamine formation such as NDMA, NDEA and NDPA during cooking of Gulbi.

  • PDF

Determin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in zidovudine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 Yujin Lim;Aelim Kim;Yong-Moon Lee;Hwangeui Cho
    • 분석과학
    • /
    • 제36권6호
    • /
    • pp.281-290
    • /
    • 2023
  • Zidovudine is an antiretroviral agent prescribe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HIV/AIDS). It is typically recommende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antiretroviral drugs. Zidovudine has the potential to generate N-nitrosodimethylamine (NDMA) in the presence of dimethylamine and nitrite salt under acidic reaction conditions during the drug manufacturing process. NDMA is a potent human carcinogen that may be detected in drug substances or drug products. An analytical method was developed to determine NDMA in pharmaceuticals including zidovudine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HPLC-MS/MS). The analysis involved reversed-phase chromatography on a Kinetex F5 column with a mobile phase comprising water-acetonitrile mixtures. The detection of positively charged ions was conducted using atmospheric pressure chemical ionization (APCI). The calibration curve demonstrated excellent linearity (r = 0.9997) across the range of 1-50 ng/mL with a highly sensitive limit of detection (LOD) at 0.3 ng/mL. The developed method underwent thorough validation for specificity, linearity, accuracy, precision, robustness, and system suitability. This sensitive and specific analytical method was applied for detecting NDMA in zidovudine drug substance and its formulation currently available in the market, indicating its suitability for drug quality management purposes.

김치 숙성중 니트로스아민의 생성에 대한 주원료 및 젓갈의 영향 (Effects of Main Raw Material and Jeot-Kal (Fermented Fish Sauce) on Formation of N-nitrosamines During Kimchi Fermentation)

  • 신효선;김준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33-339
    • /
    • 1997
  • The effects of kind of vegetables and of the kind and amounts of fermented fish sauce on the formation of nitrosamine (NA) during kimchi fermentation were investigated. Kimchies made of Chinese cabbage, cucumber, and radish with fermented shrimp, anchovy and liquid sauces were fermented at 4$^{\circ}C$ for 6 weeks and the changes in the content of nitrate, nitrite, trimethylamine (TMA), dimethylamine (DMA) and NA were studied. Nitrate content in kimchies made of Chinese cabbage, cucumber, and radish increased at the initial period of fermentation, but it decreased at the later period. Nitrite was not detected at the later period of kimchi fermentation. Overall, there have not been great changes in the contents of nitrite and nitrate. However, there have been considrable changes in the contents of TMA and DMA as fermentation progressed. Only nitrosodimethylamine (NDMA) at the level of 0.5~10.3 $\mu\textrm{g}$/kg was formed in three kinds of kimchies. More NDMA was formed in radish and cucumber kimchies than in Chinese cabbage kimchi. The pH was lowered faster in radish and cucumber kimchies than in Chinese cabbage kimchi. More NDMA was formed in Chinese cabbage kimchi made with fermented shrimp sauce than those with anchovy or liquid sauces. Shrimp sauce contained higher amount of DAM than anchovy and liquid sauces. The contents of NDMA tended to increase as the amount of shrimp sauce increased. The kind and amount of fermented fish sauce used for kimchi preparation may b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formation of NDMA.

  • PDF

염건조기(굴비)의 가공조건이 n-Nitrosamine(NA)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2보. 염건조기의 가공 및 저장중 NA의 변화- (The Effect of Processing Condition of the Salted and Dried Yellow Corvenia (Gulbi) on n-Nitrosamine(NA) Formation during Its Processing 2. Changes of NA in Salted and Dried Yellow Corvenia during Its Processing and Storage)

  • 이수정;신정혜;소명환;성낙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52-459
    • /
    • 1998
  • In 7 kinds of Gulbi purchansed from Yosu, Sunchon and Chinju, N-nitrosamine (NA) such as N-nitrosodimethylamine (NDMA), N-nitrosodiethylamine (NDEA) and N-nitrosodipropylamine(NDPA), were detected and their content was 2.8∼78.3$\mu\textrm{g}$/kg, trace and 0∼1.4$\mu\textrm{g}$/kg, respectively.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processing conditions on NA formation in the salted and dried yellow corvenia(Guibi), prepared by using the different salting method like dry and brine salting by pure and crude salt. NDMA, NDEA and NDPA were not detected in raw sample, but NDMA content increased in yellow corvenia during its salting (27.6∼37.4$\mu\textrm{g}$/kg), and then drastically decreased in Gulbi stored for 40 days, ranging from 2.8 to 4.3$\mu\textrm{g}$/kg. Content of above NA was inhibited more effectively in the samples prepare with brine salting method than with the dry salting method during its processing and storage. Especially, NA in the sample prepared with brine salted and dried yellow corvenia using the pure salt was detected in the lower concentrations, and that of NDMA, NDEA and NDPA was 2.8∼27.6, trance and ND-2.7$\mu\textrm{g}$/kg, respectively.

  • PDF

나이트로사민류의 국내 정수장 분포 특성 및 위해성 평가 (Risk assessment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N-nitrosamines in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s)

  • 손보영;이이내;양미희;박상민;표희수;이원석;박주현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89-398
    • /
    • 2018
  • A nationwide survey of 8 N-nitrosamines in finished water samples from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s (DWTPs) in Korea was conducted. The samples were pre-treated by solid-phase extraction (SPE) and analyzed using a gas chromatography coupled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GC-MS/M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our N-nitrosamines (NDMA, NDEA, NMOR, NDBA) were detected for three consecutive years, NMEA and NPYR were only found in samples collected in 2013. Two of these N-nitrosamines, N-nitrosodimethylamine (NDMA) and N-nitrosodiethylamine (NDEA), have received attention and were the most commonly detected. The concentration of NDMA and NDEA in this study ranged from $0.002{\mu}g/L$ to $0.013{\mu}g/L$ and in $0.001{\mu}g/L$ to $0.008{\mu}g/L$, respectively. In comparison to studies performed in EPA(UCMR2), the concentrations of NDMA (from $0.002{\mu}g/L$ to $0.630{\mu}g/L$) and NDEA (from $0.005{\mu}g/L$ to $0.100{\mu}g/L$) observed in the this study were 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