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DMA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47초

김치 저장 중 N-Nitrosodimethylamine 생성에 젓갈의 함량과 종류의 영향 (Effects of Amount and Type of Jeotgal, a Traditional Korean Salted and Fermented Seafood, on N-Nitrosodimethylamine Formation during Storage of Kimchi)

  • 강경훈;김성현;김상현;김정균;성낙주;이수정;정미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302-1309
    • /
    • 2016
  • N-Nitrosodimethylamine(NDMA)은 dimethylamine(DMA)과 아질산염이 반응하여 생성되고 김치의 재료 중 하나인 젓갈은 다량의 DMA를 함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김치저장 중 NDMA와 그 전구물질 함량 변화에 젓갈의 종류와 양의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젓갈 시료 23건 모두에서 NDMA가 검출되었고 새우젓 9건의 DMA 함량 범위는 16.5~58.9 mg/kg이고, 평균은 30.9 mg/kg이었다. 7건의 멸치액젓에 함유된 DMA 범위는 21.7~44.4 mg/kg이고, 평균은 34.5 mg/kg이었다. 김치는 5그룹으로 나누었다. 즉 멸치액젓과 새우젓을 넣지 않은 김치(대조군), 적은 양의 멸치액젓을 넣은 김치(AK1), 많은 양의 멸치액젓을 넣은 김치(AK2), 적은 양의 새우젓을 넣은 김치(SK1), 그리고 많은 양의 새우젓을 넣은 김치(SK2)로 나누었다. 김치 저장기간 동안 SK2가 SK1보다 DMA 함량이 높았고, 김치 저장 10일 후 AK2가 AK1보다 DMA 함량이 높았다. AK1과 SK1에 함유한 아질산염 함량은 김치 저장 20일에 AK2와 SK2에 함유된 아질산염 함량보다 높았다. 김치 저장 0과 10일에 NDMA 함량이 SK2 내에서 SK1 내의 그것보다 현저하게 높았고, 저장 0일에 AK2 내 NDMA 함량이 AK1 내 그것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DMA와 NDMA에 대한 젓갈의 양과 종류에 대한 영향은 저장 초기에는 뚜렷하였으나 20일 동안 저장한 김치에서는 감소하였다. 이들 결과는 젓갈의 함량과 종류가 김치 내 NDMA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C3H/He Mice as an Incompatible Cholangiocarcinoma Model by Clonorchis sinensis, Dicyclanil and N-Nitrosodimethylamine

  • Uddin, Md. Hafiz;Li, Shunyu;Jin, Yan;Choi, Min-Ho;Jang, Ja June;Hong, Sung-Ta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4권3호
    • /
    • pp.281-289
    • /
    • 2016
  • Clonorchis sinensis is a Group-I bio-carcinogen, associated with cholangiocarcinoma (CCA). The hamster is the only experimental model of C. sinensis-mediated CCA, but we oblige another animal model. The present study intended to develop a C. sinensis (Cs) mediated CCA model using C3H/He mice, co-stimulated with N-nitrosodimethylamine (NDMA) and dicyclanil (DC). The mice were divided into 8 groups with different combinations of Cs, NDMA, and DC. Six months later the mice were sacrificed and subjected to gross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The body weigh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mong the groups treated with 2 or more agents (eg. Cs+NDMA, Cs+DC, NDMA+DC, and Cs+NDMA+DC). In contrast, liver weight percentages to body weight were increased in above groups by 4.1% to 4.7%. A Change of the spleen weight was observed only in Cs+NDMA group. Though C. sinensis infection is evident from hyperplastic changes, only 1 worm was recovered. Two mice, 1 from Cs and the other from Cs+DC group, showed mass forming lesions; 1 ($281.2mm^3$) from the Cs group was a hepatocellular adenoma and the other ($280.6mm^3$) from the Cs+DC group was a cystic mass (peliosis). Higher prevalence of gray-white nodules was observed in Cs group (42.9%) followed by Cs+NDMA+DC group (21.4%). The mice of the Cs+NDMA+DC group showed hyper-proliferation of the bile duct with fibrotic changes. No characteristic change for CCA was recognized in any of the groups. In conclusion, C3H/He mice produce no CCA but extensive fibrosis when they are challenged by Cs, NDMA, and DC together.

김치 저장 중 N-Nitrosodimethylamine 생성에 배추 내 아질산염과 질산염 함량의 영향 (Effects of Nitrite and Nitrate Contents of Chinese Cabbage on Form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during Storage of Kimchi)

  • 강경훈;이수정;하은선;성낙주;김정균;김성현;김상현;정미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17-125
    • /
    • 2016
  • 아질산염과 dimethylamine(DMA)은 발암물질인 N-nitrosodimethylamines(NDMA)의 직접적인 전구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질산염과 질산염 함량이 다른 배추가 김치 저장 중에 NDMA, 아질산염, 질산염 그리고 DMA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배추 1(HNC), 배추 2(MNC) 그리고 배추 3(LNC)의 아질산염 농도는 각각 $47.54{\pm}1.07$, $10.12{\pm}0.31$ 그리고 $6.10{\pm}0.09mg/kg$이었다. 김치는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즉 HNC를 사용하여 제조한 HNK, MNC를 사용하여 제조한 MNK 그리고 LNC를 사용하여 제조한 LNK이다. HNK는 저장 10일과 20일째 아질산염과 질산염 수준이 MNK와 LNK의 그것들보다 더 높았다. 모든 김치에서 DMA와 NDMA 함량은 저장기간 동안 감소하였다. HNK는 저장 20일까지 LNK보다 높은 NDMA 함량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 결과들은 배추의 아질산염과 질산염의 함량이 김치 내 NDMA 형성에 현저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천연식물성분이 N-Nitrosodimethylamine 생성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tural Foods on the Inhibi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Formation)

  • 이수정;신정혜;정미자;성낙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5-100
    • /
    • 2000
  • 천연식물류인 차류(녹차, 두충), 약용식물(어성초, 백화사설초, 삼백초) 및 해조류(미역, 청각, 김) 추출물, 채소류(피망, 케일,오이, 양파) 및 과실류(토마토, 매실,자두,포도)쥬스 등을 이용하여 NDMA생성억제작용을 pH 1.2, 4.2 및 6.0의 반응용액을 이용하여 in vitro에서 확인하였다 차류 및 약용식물류에서는 NDMA생성을 촉진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나, 해조류 추출물은 차류 및 약용식물류 추출물과는 달리 NDMA의 생성을 다소간 억제시켰으며, 반응용액의 pH가 산성일수록, 추출물의 농도를 높일수록 NDMA생성에 대한 억제효과가 컸다. pH 1.2에서 채소류쥬스는 57.6∼99.7%, 과실류쥬스는 35.9∼99.7%, pH 4.2에서 채소류쥬스는 55.0∼97.5%, 과실류쥬스는 21.3∼96.8%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 PDF

명태의 건조중 N-nitrosamine의 생성 (The Formation of N-nitrosamine in Alaska Pollack during its Drying)

  • 성낙주;이수정;신정혜;김정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53-758
    • /
    • 1997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건제품중의 하나인 건조명태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져, 명태 건조중 건조방법이 발암성 N-nitrosamine 및 그 전구물질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명태의 생시료중 질산염 및 아질산염 질소는 각각 1.5,<1.0mg/kg이었으나 건제품에서는 각각 $3.0\~4.2,\;1.4\~2.7mg/kg$의 범위였으며, 대체로 열풍건제품에서 그 함량이 높았다. 명태 건조중 아민류의 함량변화를 보면 betaine은 건조중 별다른 양적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TMAO는 건조중 감소하는 반면에 TMA및 DMA는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검출된 NA는 N-nitrosodimethylamine (NDMA)뿐이었고, $10{\mu}/kg$의 N-nitrosodipropylamine (NDPA)을 시료에 첨가하여 회수율을 시험한 결과 $87.2\~107.4\%$였다. 명태의 생시료중 NDMA는 평균 $2.8{\mu}/kg$이었으나 건제품에서는 $8.7\~51.4{\mu}/kg$으로서 건조 방법에 따라 상당한 함량차를 보여 천일건제품은 생시료에 비해 평균 9.0배, 열풍건제품은 평균 15.5배 그리고 동결건제품은 평균 4.4배였다. 일반적으로 NDMA의 생성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동결건조법이 효과적이었다.

  • PDF

금귤이 N-nitrosodimethylami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umquat on N-nitrosodimethylamine Formation)

  • 이수정;신정혜;성낙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01-205
    • /
    • 2002
  • 대조구, 질산염급원, 아민급원 및 질산염-아민급원 함유식이에 인공타액과 위액을 첨가하여 인공소화시켰을 때 각 식이의 NDMA 함량은 각각 2.5$\pm$0.8$\mu\textrm{g}$/kg, 8.5$\pm$1.2$\mu\textrm{g}$/kg, 6.0$\pm$0.6$\mu\textrm{g}$/kg 및 8.0$\pm$1.5$\mu\textrm{g}$/kg 이었다. 이들 식이에 금귤쥬스 10m1를 첨가하여 인공소화시켰을 때 NDMA생성억제 효과는 아민급원 함유식이에서 69.4$\pm$2.4%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금귤쥬스로부터 HPLC를 이용하여 분취한 페놀 화합물의 모든 분획에서 NDMA 생성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fraction no. 4에서 66.5$\pm$2.0%로 가장 높았다.

유자 중 NDMA 생성억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의 검색 (Screening of Effective Factor to Inhibition of NDMA Formation in Yuza (Citrus junos))

  • 신정혜;이준열;조희숙;이수정;정경희;성낙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26-131
    • /
    • 2004
  • 유자추출물 및 유자주스와 유자주스의 유기산, ascorbate 및 phenolic 획분을 이용하여 nitrosamine(NA) 생성의 주요 전구물질인 아질산염의 소거능과 N-nitrosodimethylamine(NDMA)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pH 1.2와 4.2의 반응계에서 아질산염 소거능과 NDMA 생성억제능은 시료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계의 pH가 산성영역 일수록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유자 과육 및 과피추출물을 첨가한 경우 알질산염 소거능 및 NDMA 생성억제능은 과피추출물에서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다. 유자주스와 각 획분의 아질산염 소거느은 pH 1.2에서 주스를 첨가한 경우에 92.2${\pm}$3.2~98.2${\pm}$3.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유기산 획분, phenolic 획분 및 ascorbate 획분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자로부터 NDMA 생성억제에 주된 영향을 주는 물질은 유기산인 것으로 생각된다.

유산균에 의한 김치 중 N-Nitrosodimethylamine과 그 전구물질의 함량 감소 (Reduction in Concentrations of N-Nitrosodimethylamine and Its Precursors in Kimchi by Lactic Acid Bacteria)

  • 김상현;김성현;강경훈;김정균;성낙주;임희경;정미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37-243
    • /
    • 2017
  • 김치에 함유된 N-nitrosodimethylamine(NDMA) 및 그 전구물질들인 아질산염, dimethylamine(DMA), 질산염 그리고 biogenic amines 함량에 L. sakei, L. curvatus, L. brevis가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아민류(젓갈)와 아질산염($NaNO_2$ 첨가)이 풍부한 김치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20일 동안 저장하면서 NDMA와 그 전구물질의 함량 변화를 알아보았다. 유산균을 접종한 김치 중 NDMA, 아질산염, DMA, 질산염 함량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감소하였다. 더하여 biogenic amines도 L. sakei, L. curvatus, L. brevis를 접종한 김치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들 결과는 유산균을 김치에 접종하는 것이 NDMA 저감화 김치 생산을 위한 해결책이 될 수 있으리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마늘 추출물이 N-Nitrosodimethylami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rlic (Allium sativum L.) Extracts on Form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 최선영;김형식;이수정;손미예;신정혜;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77-682
    • /
    • 2006
  • 본 연구는 마늘 추출물 중의 총 페놀함량,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고 NDMA생성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였다 총 페놀함량은 ethyl acetate>hexane>butanol>chloroform>water 순으로 많았으며, 전자공여능은 추출물의 농도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ethyl acetate와 butanol 추출물을 10 mg/mL 첨가 시 각각 $88.0{\pm}1.53%,\;77.5{\pm}0.8%$의 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 및 NDMA 생성 억제효과는 10 mg/mL의 butanol 추출물 첨가 시 각각 $96.9{\pm}0.75%$$68.6{\pm}1.1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Butanol 추출물을 prep-LC로 5개의 획분으로 분획하여 아질산염 소거능 및 NDMA 생성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fraction III에서 효과가 가장 뛰어났으며, 이를 prep-LC로 재분획하여 얻은 3개의 subfractions(III-a, III-b 및 III-c)에서는 subfraction III-c의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마늘 부탄올 추출물은 NDMA 생성 억제에 효과적인 저해제인 것으로 판단된다.

호기/혐기 조건에서 Membrane을 이용한 NDMA(N-nitrosodimethylamine)제거 (NDMA(N-nitrosodimethylamine) Removal Uising Membrane at Aerobic and Anaerobic Conditions)

  • 김희주;정진욱;최창규;김문일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417-420
    • /
    • 2008
  • Recently, the interest in NDMA(N-nitrosodimethylamine) has increased due to its recognition as a pollutant by Ontario Ministry of Environment and Energy and California Department of Health Sciences. It is, in fact, one of the DBPs(Disinfection By-products) which appears due to chlorination and is reported to be fatal if exposed continuously to human body. Due to uncertainty in mechanism to remove it, its treatment is not yet carried out. In this experiment, treatment of biological NDMA is carried out by letting it adsorbed on Granular Sludge and then filtering the medium through MF(Microfiltration) and UF(Ultrafiltration) membranes. Granular Sludge is adapted to aerobic and anaerobic conditions for 7 days and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re MLSS of 8000mg/L, COD of 250mg/L, TN of 12.5mg/L, and TP of 2.5mg/L. Several batch tests were carried out and samples were collected with the interval of 1 hour. Samples were measured by LSC(Liquid scintillation counter) after filtering by MF and UF. In batch test with granular sludge the permeate concentrations(removal efficiencies) of NDMA by MF and UF were 71.7ng/L(32.0%) and 62.0ng/L(43.7%) at aerobic state, and 52.0ng/L(49.2%) and 47.6ng/L(58.9%) at anaerobic state, respectively. Hence, UF membrane showed about 10% more removal efficiency than MF and removal efficiency at anaerobic condition was 15% more than that at aerobic condi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