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D

검색결과 10,491건 처리시간 0.034초

뉴캣슬병백신 접종계군에 있어서 면역상태와 ND 발생시 닭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A Survey on the Immune Status and Productivity of Vaccinated Poultry Flocks against Newcastle Disease in the Epizootic Area)

  • 박근식;김선중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9-64
    • /
    • 1984
  • 1978년부터 1919년까지의 ND 대류행기간중계 군관리 기록이 확실하고 ND발생전후 ND 항체주사가 가능했던 5개 농장을 대상으로 ND에 대한 역학사항, 면역정도 및 피해상황을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생독 또는 사독 ND백신을 4회이상 접종한 20주령 이상된 계군에서는 비록 ND HI 역가가 3 log$_2$이하일지라도 ND로 인한 폐사율은 대체로 주간 1%미만으로 피해가 크지 않았다. 2. 이러한 계군에서의 산란율의 감소는 최종백신접종일로 부터 DN발생시까지 경과한 기간에 따라서 4주이내에 발병되었을 때는 뚜렷한 변동이 없었으나 6주이상 경과한 경우에는 산란율의 감소를 보였으며 그 정도는 경과한 기간에 비례하는 양상을 보여 주었다. 3. 사독백신만을 접종한 계군에서는 ND가 발생되었을 때 비록 산란감소가 없을지라도 호흡기증상은 심하게 나타났다. 4. 6i주령 이하의 어린 계군에서 ND로 인한 폐사를 방지할 수 있는 HI 역가는 3.0 log$_2$이상인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비록 생독백신을 3회나 접종하였을지라도 이러한 정도의 면역이 형성되지 못한 계군에서는 약40%의 폐사율을 보일 정도로 피해가 컸다. 5. ND에 걸린후 내과회복한 계군의 HI 역가는 발병당시 임상증상 및 산란율의 멸소 또는 폐사율이 높은 계군일수록 높았으며 대부분 8 log$_2$ 이상이었다. 6. ND가 발생된 농장일지라도 계사조건(무창계사)과 관리상황(교통통제)에 따라서는 ND 무감염으로 경과하는 계군도 있었으며 유창계사조건일지라도 계군간의 전파기간이 1주 이상인 경우도 허다하였다.

  • PDF

LiCl 용융염에서 전해환원법을 통한 La0.5Nd0.5Ni5 합금 제조 (Preparation of La0.5Nd0.5Ni5 Alloy by an Electrochemical Reduction in Molten LiCl)

  • 임종길;정상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2호
    • /
    • pp.145-149
    • /
    • 2015
  • LiCl 용융염에서 희토류 금속을 포함한 $Nd_2O_3-La_2O_3-NiO$ 복합산화물의 전해환원을 통한 $La_{0.5}Nd_{0.5}Ni_5$ 합금제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Nd_2O_3-La_2O_3-NiO$ 복합산화물은 $1100^{\circ}C$에서 소결시에 $NiNd_2O_4$ (스피넬)과 $LaNiO_3$ (페로브스카이트) 구조가 생성되었다. 스피넬 및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는 복합산화물의 전해환원 반응속도를 증가시켰다. LiCl 용융염에서 전해환원 반응 동안 $Nd_2O_3-La_2O_3-NiO$ 복합산화물은 Ni, $NiLa_2O_4$ 등의 다양한 중간생성물을 거쳐 $La_{0.5}Nd_{0.5}Ni_5$ 합금으로 환원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XRD 분석결과를 통해 최종 생성물인 $La_{0.5}Nd_{0.5}Ni_5$의 생성 메카니즘을 제시하였다.

급냉응고된 분말로부터 CAPA법으로 제조한 NdFeB 영구자석의 자기적 특성 (Magnetic Properties of NdFeB Permanent Magnets Fabricated by CAPA Process with Melt-spun Powder)

  • 김윤배;김형태;전우용;김학신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250-255
    • /
    • 2001
  • 급냉응고법으로 제조된 NdFeB 분말로부터 Current applied(CA)-press 및 Current applied(CA)-deformation 공정에 의해 등방성 및 이방성 NdFeB 영구자석을 제조하고, 이로부터 자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등방성 NdFeB 영구자석의 보자력은 시료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크게 다르며,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에서 보자력이 크게 나타났다. 반면 잔류자화는 시료에 가해졌던 압력 및 전류의 변화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였다. 등방성 시편인 경우 대체로 최대자기에너지적이 15MGOe이상이며, CA-deformation에 의해 40MGOe이상의 이방성 NdFeB 영구자석이 얻어졌다. 이방성 시편의 가공도가 클수록 B$_{r}$의 증가로 인하여 최대자기에너지적이 증가하였으며, 시편의 가공도가 81%일 때 44.2 MGOe의 고에너지적을 가지는 이방성 NdFeB영구자석이 얻어졌다.

  • PDF

시판 햄류, 소시지류, 건조저장육류 중 소르빈산 함량조사 (Sorbic Acid Contents Survey on Ham, Sausage and Dried Meat in Market)

  • 함희진;양윤모;윤은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0-32
    • /
    • 2003
  • 2002년 1-12월까지 시험 의뢰된 식육가공품에 대하여 소르빈산 함량을 시험, 조사한 결과, 14.9%(67/450)에서 소르빈산이 검출되었고, 유형별로는 건조저장육 65.6%(21/32), 베이컨 17.6%(3/17), 햄 11.7%(27/231), 소시지 11.7%(13/111), 기타식육가공품(통조림 둥) 11.5%(3/26) 순이었으며, 소르빈산 함량 범위는 ND-1.27 g/Kg, 평균 0.086g/Kg이었는데, 유형별로는 각각, 건조저장육 ND-1.21g/Kg, 0.34g/Kg, 베이컨 ND-0.84g/Kg, 0.12g/Kg, 햄 ND-1.27g/Kg, 0.074g/Kg, 소시지 ND-0.90g/Kg, 0.077g/Kg 그리고 기타식육가공품(통조림 등) ND-0.20g/Kg, 0.015 g/Kg 등으로 나타났다. 결국, 식품의 안전성과 위생적인 식품 보급을 위해서는 소르빈산 등 보존료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염산용액(鹽酸溶液)에서 단독(單獨) 및 혼합추출제(混合抽出劑)에 의한 네오디뮴의 용매추출(溶媒抽出) (Solvent Extraction of Nd from Chloride Solution with Individual and Mixed Extractants)

  • 반다 라쥬;전호석;이만승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0권5호
    • /
    • pp.46-51
    • /
    • 2011
  • PC88A, D2EHPA, Cyanex272, Versatic acid10, D2EHPA+Alamine-304-1, D2EHPA+Alamine-308, D2EHPA+TBP, D2EHPA+TOPO, PC88A+Alamine-336, PC88A+TBP와 같은 단독 및 혼합추출제를 사용하여 Nd의 용매추출실험을 수행했다. 수용액의 평형 pH와 추출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Nd의 추출율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D2EHPA와 TBP 혼합추출제로 추출시에는 추출제의 농도증가에 따라 Nd의 추출율이 감소하였다. PC88A에 TBP를 첨가하는 것은 Nd의 추출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Alamine336을 첨가하면 동일한 조건에서 추출율이 증가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단독 및 혼합추출제에 의한 Nd의 추출에 대해 고찰하였다.

강원도산 농산물 중 잔류농약 실태조사 (Survey on the Contents of Residual Pesticide in the Agricultural Products on Kangweon-Do)

  • 심태흠;이태준;김기철;유미정;정의호;이해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49-156
    • /
    • 1992
  • '90년 '91년 2개년에 걸쳐 강원도내에서 생산 또는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 35종에 대하여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국민보건위생의 위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유기염소제 및 유기인제 등을 ECD와 NPD가 부착된 gas chromatograph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농산물 157건 중 농약이 검출된 농산물은 76건으로서 48.4%이었고, 이중 2종류 이상의 농약이 검출된 농산물은 24건으로서 15.3%를 점하고 있다. 특히 Captan은 대산 농산물 81건 중 43건에서 검출되어 검출률이 53.1%이었다. 2. Endrin , Captafol. Parathion , Fenitrothion , Fenthion 및 EPN은 전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3. 각 농약의 잔류량은 DDT가 ND-0.138 ppm, BHC가 ND-0.142 ppm, Aldrin 및 Dieldrin이 ND-0.010 ppm, CAptan이 ND-1.067 ppm, Diazinon이 ND-0.060 ppm, malathion이 ND-0.075 ppm, Phenthoate가 ND-0.009 ppm, DDVP가 ND-0.040 ppm이었다. 단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농산물은 1건도 없었다.

  • PDF

$BaO-(Nd, Sm)_2O_3-TiO_2$계 세라믹스의 상관계 및 마이크로파 유전특성 (Phase Relation and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BaO-(Nd, Sm)_2O_3-TiO_2$ Ceramic System)

  • 김희도;김진호;조상희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995-1004
    • /
    • 1994
  • Phase relation and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the system BaO.(Nd1-xSmx)2O3.TiO2 (n=4, 5) were studied. With n=5 (1 : 1 : 5), Ba2Ti9O20 and TiO2 formed in case of X$\leq$0.7, and Ba2Ti9O20 and Sm2Ti2O7 formed at X=1.0 as the second phases dispersed in fine-grained orthorhombic matrix phase. With n=4 (1 : 1 : 4). on the contrary, only fine grains of an ortho-rhombic phase were observed irrespective of Nd/Sm ratio. The compositions of these two stable orthorombic phases having distinct lattic constants even with the same Nd/Sm ratio were estimated as 4BaO.5(Nd1-xSmx)2O3.18TiO2 and BaO.(Nd1-xSmx)2O3.4TiO2 with n=5 and n=4 in the system BaO.(Nd1-xSmx)2O3.TiO2, respectively. Consequently the composition BaO.(Nd1-xSmx)2O3.5TiO2 lies in the compatible triangle of 4BaO.5(Nd1-xSmx)2O3.18TiO2 and the second phases mentioned above. The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4 GHz) of BaO.(Nd1-xSmx)2O3.5TiO2 can be controlled effectively by adjusting Sm content : with increasing X from 0 to 0.7, both dielectric constant and the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onant frequency decreased monotonically from 82 to 65 and from 91 (ppm/$^{\circ}C$) to -19(ppm/$^{\circ}C$), respectively, while unloaded Q(Qo) remained constant at about 2,600.

  • PDF

$Nd_24$O_3$가 첨가된 $Pr_6$$O_{11}$계 ZnO 바리스터의 미세구조 및 전기적 성질 (Microstructure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Pr_6$$O_{11}$-Based ZnO Varistors Doped with $Nd_24$O_3$)

  • 남춘우;박춘현;윤한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06-213
    • /
    • 2000
  • The microstructure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Pr$_{6}$/O sub 11/-Based ZnO varistors with Nd$_2$O$_3$ was doped in the range of 0.0 to 2.0 mol% were investigated. Most of the added Nd$_2$O$_3$were segregated at the nodal points and grain boundaries and were found to form the Nd-rich phase. In addition the bulk intergranular layer at the grain boundaries and nodal points was consisted of Nd-rich phase and Pr-rich phase. the average grain size was decreased in the range of 7.8 to 5.6${\mu}{\textrm}{m}$ with increasing Nd$_{2}$/O sub 3/ additive content. The nonlinearity of ZnO varistors sintered at 130$0^{\circ}C$ was much more excellent than that at 135$0^{\circ}C$ ZnO varistors doped with 1.0mol% Nd$_{2}$/O sub 3/ exhibited the best nonlinearity. which is 65.2 in the nonlinear exponent and 4.5$\mu$A in the leakage current. Consequently. it is estimated that Pr$_{6}$/O sub 11/ -based ZnO varistors doped with 1.0 mol% Nd$_{2}$/O sub 3/ are to be sufficiently used as basic composition to fabricate good varistors in the future.ure.

  • PDF

Analysis of high-fat diet-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Rhbdf2 knockout mice

  • Kim, Sung-Jun;Nam, Ki-Hoan;Park, Seul-Gi;Byun, Young-Sub;Kim, Eun-Kyoung;Cho, Sang-Mi;Kim, Ha-rim;Kim, Hyoung-Chin;Lee, Hu-Jang;Lee, Beom Jun
    • Journal of Preventive Veterinary Medicine
    • /
    • 제42권4호
    • /
    • pp.133-142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obesity induced by a high-fat diet (HD) over 13 weeks in Rhbdf2 gene knockout (KO) mice. Forty 7-week-old Rhbdf2 wild and KO mice were used and the mice were divided into 4 groups: Wild-ND (n=10, Rhbdf2 wild mice, normal diet (ND)), Wild-HD (n=10, Rhbdf2 wild mice, HD), KO-ND (n=10, Rhbdf2 KO mice, ND) and KO-HD (n=10, Rhbdf2 KO mice, HD). The relative epididymal fat weight in KO-H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in KO-ND (P<0.01). The relative liver and spleen weights in KO-HD were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in Wild-HD (p < 0.05) and KO-ND (p < 0.01). The mRNA expression of SOD1 in KO-ND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that in Wild-ND (p < 0.05). In Wild-ND and HD, the mRNA expressions of $TNF-{\alpha}$ and IL-6 in epididymal fa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ose in KO-ND and HD (p < 0.01). A significant increase of $TNF-{\alpha}$ and IL-6 mRNA expression was observed in KO-HD compared with KO-ND (p < 0.01).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Rhbdf2 genes may regulate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damage by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roles in fat tissue of mice.

청색 $\textrm{Ca}\textrm({Al}_{0.97}\textrm{B}_{0.03})_2\textrm{O}_4$: $\textrm{Eu}^{+2},\;\textrm{Nd}^{+3}$ 형광체의 잔광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osphorescent Characteristics of Blue $\textrm{Ca}\textrm({Al}_{0.97}\textrm{B}_{0.03})_2\textrm{O}_4$: $\textrm{Eu}^{+2},\;\textrm{Nd}^{+3}$ Phosphor)

  • 김대수;이임렬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7
    • /
    • 1999
  • The change of phosphorescent property with chemical modification and co-doping of Nd as an auxiliary activator in CaAl$_2$$O_4$: Eu\ulcorner, Nd\ulcorner phosphor, employing Nd\ulcornerion(0.6%) and an co-activator maintained its afterglow for 4.5 hours. And also the initial persistent brightness and phosphorescent property were further improved both by substituting Al by B atoms and incorporation of Nd\ulcorner ion. It was found that the persistent time was 30 hours for&Ca(Al_{0.97}\;B_{0.03}) $_2$$O_4$:EU\ulcorner(0.3%), Nd\ulcorner(0.6%) phosph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