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CV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3초

상이한 정렬에 따른 N-phenylthionocarbamate 유도체들의 살균활성에 관한 비교 분자장 분석 (Comparative Molecular Field Analyses on the Fungicidal Activities of N-phenylthionocarbamate Derivatives based on Different Alignment Approaches)

  • 성낙도;성민규;유재원;장석찬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57-164
    • /
    • 2006
  • 새로운 N-phenylthionocarbamate 유도체들의 N-phenyl-치환기(X) 변화에 따른 벼잎집무늬마름병균(Rhizoctonia solani) 및 고추역병균(Phytophthora capsici)에 대한 살균활성과의 3D-QSARs 관계를 상이한 정렬에 따른 비교 분자장 분석(CoMFA)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그 결과, field fit 정렬 조건에서 유도된 CoMFA 모델들이 atom based fit 정렬 조건의 모델보다 양호하였다. 따라서 두 균주에 대한 살균활성을 가장 잘 설명하는 CoMFA 모델들은 field fit 정렬과 CoMFA장들의 조합 조건에서 유도된 CoMFA 모델(RS: RF2 및 PC: PF2)들이었다. 두 CoMFA 모델들은 통계적으로 높은 예측성($r^2_{cv.}$=RS: 0.557 및 PC: 0.676)과 상관성($r^2_{ncv.}$=RS: 0.954 및 PC:0.968)을 보였다. 그리고 두 균주에 사이의 선택적인 살균활성은 기질분자의 정전기장에 의존적이었으며 CoMFA 등고도는 두 균주에 대한 살균활성이 기질분자의 치환기(X) 변화로 개전 될 수 있을 것임을 나타내었다.

새로운 2-(4-chloro-5-(2-chloroallyloxy)-2-fluorophenyl)-3-thioalkoxy-2,3,4,5,6,7-hexahydroisoindol-1-one 유도체들의 제초활성에 관한 분자 홀로그램(H) QSAR (Holographic Quantitativ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HQSAR) Analyses for the Herbicidal Activities of New Novel 2-(4-chloro-5-(2-chloroallyloxy)-2-fluorophenyl)-3-thioalkoxy-2,3,4,5,6,7-hexahydroisoindol-1-one Derivatives)

  • 성낙도;송종환;강은규;정훈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99-204
    • /
    • 2005
  • 일련의 새로운 2-(4-chloro-5-(2-chloroallyloxy)-2-fluorophenyl)-3-thioalkoxy-2,3,4,5,6,7-hexahydroisoindol-1-one 유도체들의 hexahydroisoindol-1-one 고리상 C3 원자에 결합된 R-치환기 변화에 따른 논피(Echinochloa crus-galli)에 대한 제초 활성과의 관계를 분자 홀로그램(H) QSAR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제초활성에 관한 HQSAR 모델(I-2)은 양호한 예측성($r^2_{cv.}$ 또는 $q^2=0.714$)과 상관성($r^2_{ncv.}=0.922$)을 나타내었다. 모델(I-2)의 기여도로부터 논피에 대한 기질 분자의 제초활성은 hexahyoisoindol-1-one 고리의 C4-C6 위치와 3-tolylthio group의 ortho-위치 탄소원자 및 meta-methyl group이 활성에 기여하였다.

Phytoene Desaturase에 대한 O-(2-Phenoxy)ethyl-N-aralkylcarbamates 유도체의 제초성 평가를 위한 R-phenoxy 치환기들의 구조적인 요건 (Minimum Structural Requirements of R-phenoxy Substituents for Herbicidal Evaluation of O-(2-phenoxy)ethyl-N-aralkylcarbamate Analogues against Phytoene Desaturase)

  • 최원석;이재황;황승우;성낙도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2-77
    • /
    • 2010
  • 3차원적 정량적인 구조-활성관계(3D-QSARs: CoMFA 및 CoMSIA)에 기초하여 phytoene desaturase (PDS)에 대한 O-(2-phenoxy)ethyl-N-aralkylcarbamate 유도체(1-15)의 제초성 평가를 위한 R-phenoxy 치환기들의 구조적인 요건들을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CoMFA 1 모델의 예측성 및 상관성($r^2_{cv.}=0.753$$r^2_{ncv.}=0.964$)이 나머지 모델들보다 높았다. 최적화된 CoMFA 1 모델로부터 PDS 저해활성은 O-(2-phenoxy)ethyl-N-aralkylcarbamate 유도체들의 입체장(44.0%), 정전기장(36.3%) 및 소수성장(19.6%)에 의존적이었다. CoMFA 등고도 분석결과, phenoxy 고리상 meta-와 para-위치에는 입체적으로 큰 치환기, meta-위치는 음하전, para-위치의 바깥 부분에는 양하전, ortho- 및 para- phenoxy 고리 중앙의 바깥 부분에는 친수성 치환기가 그리고 meta-위치에 소수성 R-치환기가 각각 도입될 경우에 PDS에 대한 저해활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흰쥐 모델에서 하이알루론산을 채운 정맥도관의 신경재생에 관한 연구 (Nerve Regeneration Using a Vein Graft Conduit filled with Hyaluronic Acid in a Rat Model)

  • 서보익;김상우;정호윤;김일환;양정덕;박재우;조병채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3호
    • /
    • pp.279-284
    • /
    • 2007
  • Purpose: The vein graft was considered as a useful conduit for nerve defect. But the problem is that it might be collapsed in long vein graft state. A new experimental model using vein graft filled with hyaluronic acid was considered. Methods: Thirty rat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al animal. In group I, one side of the femoral nerve was exposed and a segment was removed about 15mm. The neural gap was connected with nerve graft. In group II, the nerve gap was connected with vein graft only. In group III, the nerve gap was connected with vein graft filled with hyaluronic acid. A walking track analysis was made periodically for 2 months and NCV(nerve conduction velocity) was execut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And morphologic studies were also done for all groups Results: In a walking track analysis, the toe-spread was widen and the foot-length was lengthened. The recovery of the toe-spread and foot length was checked 2 weeks interval, periodically for two months. The SFI (sciatic function index) was $-52.5{\pm}8.2$ in group I, $-68.1{\pm}4$ in group II, $-55.3{\pm}7.9$ in group III. In electrophysiological study, NCV(nerve conduction velocity) was $26.71{\pm}3.11m/s$ in group I, $17.94{\pm}4.35m/s$ in group II, $25.69{\pm}2.81m/s$ in group III. The functional recovery in group I and III was superior to that the group II statistically(p < 0.05) Under electromicroscopic study, the number of the myelinated axons were $1419.1{\pm}240$ in group I, $921.7{\pm}176.8$ in group II, $1322.2{\pm}318$ in group III. The number of the myelinated axons were much more in group I and III than group II statistically (p<0.05).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vein graft filled with hyaluronic acid is more effective than vein graft only for the conduit of the nerve gap. It was thought that the technique could be used in clinical cases with nerve defects as an alternative method to classical nerve grafts.

생물학적 자극 통제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한 돼지 페로몬성 냄새 물질의 탐색: III. 2-(Cyclohexyloxy) Tetrahydrofurane 유도체와 Porcine Odorant Binding Protein 사이의 결합 친화력에 관한 비교 분자장 분석 (The Search of Pig Pheromonal Odorants for Biostimulation Control System Technologies: III. Comparative Molecular Field Analysis (CoMFA) on Binding Affinities between Ligands of 2-(Cyclohexyloxy) Tetrahydrofurane Derivatives and Porcine Odorant Binding Protein)

  • 성낙도;박창식;정훈성;성민규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0권1호
    • /
    • pp.13-19
    • /
    • 2006
  • 생물학적 자극통제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한 돼지 웅성 페르몬성 분자를 탐색하고자 일련의 냄새 분자로서 2-(cyclo-hexyloxy) tetrahydrofurane 유도체들의 정량적인 구조와 수용체인 porcine odorant binding protein (pOBP)간의 결합 친화력 상수$(p(Od)_{50})$에 대한 비교 분자장 분석(CoMFA)을 실행하였다. 가장 양호한 CoMFA 모델 AIV $(r^2_{cv}.(q^2)=0.886$$r^2_{ncv}.=0.984$)은 기질 분자 내 입체 중심(chiral center)의 절대 배열이 $C_1(R),C_2(S)$인 분자를 atom based fit 방법으로 배열하였을 경우의 standard field와 indicator field가 조합된 CoMFA장의 조건에서 유도되었다. 이 CoMFA 모델은 입체장 40.8% 정전기장 14.6%및 소수성장 44.6%가 결합 친화력 상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나타내었다. 등고도의 분석 결과로부터 효과적인 결합 친화력 냄새 분자를 수식하는 데 몇 가지 가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잿빛곰팡이균(Botrytis cinerea)에 대한 N-phenylbenzenesulfonamide 유도체들의 살균활성에 관한 CoMFA 분석 (CoMFA Analyses on the Fungicidal Activity with N-phenylbenzensulfonamide Analogues against Gray Mold (Botrytis cinerea))

  • 황태연;강규영;성낙도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1-117
    • /
    • 2008
  • 잿빛곰팡이균(Botrytis cinerea)에 대한 N-phenylbenzenesulfonamides 유도체(1-45)들의 살균활성에 관한 비교 분자장 분석(CoMFA)을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통계적으로 CoMFA 모델의 예측성과 상관성이 비교분자 유사성 지수분석(CoMSIA) 모델보다 월등히 좋았다. 최적화 된 CoMFA I 모델의 통계값은 예측성이 $r^2_{cv.}(or\;q^2)=0.457$ 그리고 상관성이 $r^2_{ncv.}=0.959$이었고 살균활성은 기질 분자들의 입체장(51.9%)과 정전기장(35.6%)에 의존적이었다. 또한 progressive scrambling 분석으로 얻어진 섭동에 대한 감도($d_q^{2'}/dr^2_{yy'}=0.898$)와 예측성($q^2=0.346$ 및 SDEP=0.614)에 의하여 최적의 CoMFA I 모델은 우연 상관성에 의존적이지 않음을 알았다. 그러므로 CoMFA I 모델의 등고도 분석 결과로부터, N-phenyl 고리상 $R_3$$R_4$-치환기는 입체적으로 크고 $R_1$-치환기로서 S-phenyl 고리상 para-치환기는 입체적으로 작은 치환체가 살균활성에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되었으며 최적화 된 CoMFA I 모델은 잿빛곰팡이균에 대한 살균활성을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생물학적 자극 통제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한 돼지 페로몬성 냄새 물질의 탐색: IV. 2-(Cyclohexyloxy)tetrahydrofurane 유도체와 Porcine Odorant Binding Protein 사이의 결합 친화력에 관한 비교분자 유사성 지수분석(CoMSIA) (The Search of Pig Pheromonal Ordorants for Biostimulation Control System Technology: IV. Comparative Molecular Similarity Indices Analyses (CoMSIA) on the Binding Affinities between Ligands of 2-(Cyclohexyloxy)-tetrahydrofurane Derivatives and Porcine Ordorant Binding Protein)

  • 성낙도;박창식;장석찬;최경섭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0권3호
    • /
    • pp.169-174
    • /
    • 2006
  • 돼지 페르몬성 분자를 탐색하기 위하여 일련의 green odorant로서 기질 분자인 2-(Cyclohexyloxy)tetrahydrofurane 유도체들의 정량적인 구조와 수용체인 porcine odorant binding protein(pOBP) 사이의 결합 친화력 상수($p(Od)_{50}$)에 대한 비교 분자 유사성 지수 분석(CoMSIA)을 실행하였다. 가장 양호한 CoMSIA 모델(I-AI)은 기질 분자내 입체 중심의 절대 배열이 $I:\;C_{1'}(R),\;C_2(S)$인 분자를 atom based fit 정렬하였을 경우의 입체장 조건에서 유도되었으며 PLS 분석 결과, 예측성이 ${r^2}_{cv.}(q^2)=0.856)$ 그리고 적합성이 ${r^2}_{ncv.}=0.964)$ 이었다. 모델의 CoMSIA 등고도 상, pOBP와 냄새 분자 사이의 상호작용으로부터 가장 높은 결합 친화력을 나타내는 분자의 구조적 특정들을 이해할 수 있었다.

새로운 2-(4-(6-chloro-2-benzoxazolyloxy)phenoxy)-N-phenyl-propionamide 유도체들의 제초활성에 관한 HQSAR 모델과 높은 활성 화합물의 예측 (Molecular Holographic QSAR Model on the Herbicidal Activities of New Novel 2-(4-(6-chloro-2-benzoxazolyloxy)phenoxy)-N-phenylpropionamide Derivatives and Prediction of Higher Activity Compounds)

  • 성낙도;김대황;정훈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79-286
    • /
    • 2005
  • 일련의 새로운 기질 분자로서 2-(4-(6-chloro-2-benzoxazolyloxy)phenoxy)-N-phenylpropionamide 유도체들의 구조 변화와 그에 따른 발아 전, 논피 (Echinochloa crus-galli)에 대한 제초활성과의 분자 홀로그래피적(H) QSAR 관계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로부터 높은 제초활성 화합물들이 유도된 HQSAR 모델에 의하여 예측되었다. 가장 양호한 HQSAR 모델은 분자조각 크기($7{\sim}10bin$) 조건에서 유도된 모델(VI-1)이었다. 제초활성에 관한 HQSAR 모델(VI-1)은 높은 예측성($r^2_{cv.}$ 또는 $q^2=0.646$)과 상관성($r^2_{ncv.}=0.917$)에 근거하여 양호한 통계값들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HQSAR 기여도로부터 가장 낮은 제초활성은 4-(6-chloro-2-benzoxazolyloxy)phenoxy 고리($pred.pI_{50}=-3.20$)에 의존적이었다. 특히, (X)-phenoxy-N-(R)-phenylpropionamide 유도체의 R=4-fluoro, X=isobutoxy 치환체인 4-isobutoxyphenoxy-N-(4-fluorophenyl)propionamide (P2)는 가장 높은 제초활성($pred.pI_{50}=9.12$)을 나타내는 화합물로 예측되었다.

Imidacloprid 유도체 중 imidazol 고리상 N-치환체들의 살충활성에 대한 3D-QSAR 분석 (3D-QSAR Analysis on the Insecticidal Activities of N-Substituents on Imidazol Ring in Imidacloprid Analogues)

  • 성민규;김세곤;성낙도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31-137
    • /
    • 2007
  • 상이한 정렬조건에서 imidaclopid 유도체 중, imidazol 고리상 N-치환체(X)들의 벼멸구(Nilaparvata lugens)에 대한 살충활성에 관하여 CoMFA 및 CoMSIA 모델을 유도하고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두 최적 모델의 예측성($q^2$ 또는 $r_{cv.}^2$)과 상관성($r_{ncv.}^2$)은 field fit (FF) 정렬보다 atom based fit (AF) 정렬조건의 모델이 좋았으며 CoMFA (A5) 모델보다 CoMSIA (A10) 모델이 더 좋았다. 최적의 CoMSIA (A10) 모델로부터 N-치환체(X)들에 의한 살충활성은 주로 정전기장과 수소결합 받게장에 의존적이었다. 그러므로 CoMSIA (A10) 모델의 등고도로부터 benzoyl 고리(X)상 ortho- 위치에는 양전하, carbonyl기의 산소원자 부분에는 음전하가 큰 작용기일수록 그리고 ortho- 및 meta- 위치의 수소결합 받게가 살충활성을 개선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새로운 5-benzofuryl-2-[1-(alkoxyimino)alkyl]-3-hydroxycyclohex-2-en-1-one 유도체들의 제초활성에 관한 비교 분자장 분석 (Comparative Molecular Field Analyses on the Herbicidal Activities of New 5-benzofuryl-2-[1-(alkoxyimino)alkyl]-3-hydroxycyclohex-2-en-1-one Derivatives)

  • 정기성;장석찬;최경섭;성낙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3호
    • /
    • pp.238-242
    • /
    • 2006
  • 기질 분자로서 새로운 5-benzofuryl-2-[1-(alkoxyimino)alkyl]-3-hydroxycyclohex-2-en-1-one 유도체들의 치환기 변화$(R_1-R_4)$에 따른 발아 전, 벼(Oryza sativa L.) 및 논피(Echinochloa crus-galli)에 대한 제초활성을 비교 분자장 분석(CoMFA)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최적화 된 CoMFA 모델(벼: A5 및 논피: B3)은 atom based fit 정렬과 CoMFA장들의 조합 조건에서 유도되었으며 두 초종에 대한 두 모델들의 예측성과 적합성($q^2>0.6$${r^2}_{ncv.}>0.94$)은 매우 양호하였다. HINT-CoMFA 등고도로부터 두 초종에 대한 선택성은 $R_2$$R_3$-치환기의 입체장과 소수성에 의존적이었다. 그러므로 입체적으로 작은 소수성 치환기의 도입으로 논피에 대한 제초활성을 개선할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