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CI-H460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41초

Dual Inhibition of PI3K/Akt/mTOR Pathway and Role of Autophagy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 Jeong, Eun-Hui;Choi, Hyeong-Sim;Lee, Tae-Gul;Kim, Hye-Ryoun;Kim, Cheol-Hyeo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2권4호
    • /
    • pp.343-351
    • /
    • 2012
  • Background: The phosphoinositide 3-kinase (PI3K)/Akt/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 signaling axis has emerged as a novel target for cancer therapy. Agents that inhibit this pathway are currently under development for lung cancer treatment.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tested whether dual inhibition of PI3K/Akt/mTOR signaling can lead to enahnced antitumor effects. We have also examined the role of autophagy during this process. Methods: We analyzed the combination effect of the mTOR inhibitor, temsirolimus, and the Akt inhibitor, GSK690693, on the survival of NCI-H460 and A549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Cell proliferation was determined by MTT assay and apoptosis induction was evaluated by flow cytometry and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UTP nick end labeling assay. Autophagy induction was also evaluated by acridine orange staining. Changes of apoptosis or autophagy-related proteins were evaluat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Combination treatment with temsirolimus and GSK690693 caused synergistically increased cell death in NCI-H460 and A549 cells. This was attributable to increased induction of apoptosis. Caspase 3 activation and poly(ADP-ribose) polymerase cleavage accompanied these findings. Autophagy also increased and inhibition of autophagy resulted in increased cell death, suggesting its cytoprotective role during this process. Conclusion: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temsirolimus and GSK690693 could be a novel strategy for lung cancer therapy. Inhibition of autophagy could also be a promising method of enhancing the combination effect of these drugs.

A5E promotes Cell growth Arrest and Apoptosis in Non Small Cell Lung Cancer

  • Bak, Ye Sol;Ham, Sun Young;O, Baatartsogt;Jung, Seung Hyun;Choi, Kang Duk;Han, Tae Young;Han, Il Young;Yoon, Do-You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2호
    • /
    • pp.113-122
    • /
    • 2014
  • A5E is complex of several medicinal herb ethanol extracts. The aim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anticancer effect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The antitumor effects of A5E on NCI-H460 were examined by regulation of cell proliferation, apoptosis, cell cycle arrest,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Delta}{\Psi}_m$), and apoptosis-related protein. Cell proliferation was measured by MTS assay. Apoptosis induced by A5E was confirmed by Annexin V-fluorescein isothiocyanate (FITC)/Propidium Iodide (PI) staining, and cell cycle arrest was measured by PI staining. NF-${\kappa}B$ translocation was detected by immunofluorescence and MMP (${\Delta}{\Psi}_m$) was measured by JC-1 staining. The expression of extrinsic pathway molecules such as FasL and FADD were elevated, and procaspase-8 was processed by A5E. In addition, intrinsic pathway related molecules were altered. The Bcl-2 and Bcl-xl levels decreased, Bax increased, and cytochrome C was released. In addition, the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collapsed, and caspase-3 and poly-(ADP-ribose) polymerase were processed by A5E. Moreover, A5E affected the cellular survival pathway involving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PI3K)/Akt and NF-${\kappa}B$. PI3K and Akt were downregulated, also NF-${\kappa}B$ expression was decreased, and nuclear translocalization was inhibited by A5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5E delays proliferation, inhibit cell cycle progression and induce apoptosis in human lung cancer cell. We conclude that A5E is a potential anticancer agent for human lung carcinoma.

폐암세포주에서 Heme Oxygenase-1의 역할 (The Role of Heme Oxygenase-1 in Lung Cancer Cells)

  • 정종훈;김학렬;김은정;황기은;김소영;박정현;김휘정;양세훈;정은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3호
    • /
    • pp.304-313
    • /
    • 2006
  • 연구배경 : Heme oxygenase-1 (HO-1)은 heme의 분해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유도성 효소로 heme을 분해하여 biliverdin, free iron, 및 일산화탄소 등을 생성시킨다. HO-1의 발현은 다양한 스트레스성 자극에 반응하여 생체방어 기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세포성장이나 세포사 특히 세포고사를 조절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현재 신장암, 전립선암, 간암, 육종 등의 고형암에서 발현됨이 알려져 있고, 실제 HO-1 억제제를 투여했을 때 암성장이 억제됨이 보고되었다. 저자들은 폐암세포주들에서 HO-1의 발현유무와 그 역할을 규명하고 나아가 HO-1 억제제의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비소세포폐암세포주인 A549, H23, NCI-H157, NCI-H460을 이용하였다. 세포독성은 MTT 방법으로 구하였고, HO-1의 발현은 Western blotting으로 확인하였다. HO의 효소활성은 시간당 세포단백질의 mg당 형성된 빌리루빈의 양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H_2O_2$의 생성은 horse radish peroxidase(HRP)와 형광물질인 2',7'-dichlorofluorescein(DCF)를 이용한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였다. A549세포에 HO-1 small interfering RNA(siRNA)을 주입하여 유식세포 분석과 caspase-3에 대한 Western blotting을 통하여 세포고사유무를 확인하였다. 결 과 : 비처리 상태에서 다른 세포주에 비해 A549세포의 HO-1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HO-1 활성억제제인 ZnPP를 처리하였을 때 생존율의 의미 있는 감소를 보였다. 이러한 소견과 일치하여 ZnPP는 용량의존적으로 HO 의 효소활성 감소와 세포 내 $H_2O_2$ 생성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또한 HO-1 siRNA로 주입된 A549세포는 세포고사를 유도하였다. 결 론 : HO-1은 폐암의 치료에 있어서 새로운 분자생물학적 기전의 가능성을 제시하여 HO-1에 대한 표적치료의 가능성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An Information-Intensive Approach to the Molecular Pharmacology of Cancer

  • John N. Weinstein;Timothy G. Myers;Patrick M. O′Connor;Stephen H. Friend;Albert J. Fornace Jr;Kurt W. Kohn;Tito Fojo;Susan E. Bates;Lawrence V. Rubinstein;N. Leigh Anderson;John K. Buolamwini;Wiliam W. van Osdol;Anne P. Monks;Dominic A. Scudiero;Edward A. Sausville;Daniel W. Zaharevitz;Barry Bunow;Vellarkda N. Viswanadhan;Georage S. Johnson;Robert E. Wittes;Kennety D. Paull
    • 한국생물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정보시스템생물학회 2001년도 제2회 생물정보학 국제심포지엄
    • /
    • pp.139-149
    • /
    • 2001
  • Since 1990,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NCI) has screened more than 60.000 compounds against a panel of 60 human cancer cell lines. The 50-percent growth-inhibitory concentration (GI$_{50}$) values encode unexpectedly rich, detailed information on mechanisms of drug action and drug resistance. Each compound's pattern is like a fingerprint, essentially unique among the many billions of distinguishable possibilities. These activity patterns are being used in conjunction with molecular structural features of the tested agents to explore the NCI's database of more than 460, 000 compounds, and they are providing insight into potential target molecules and modulators of activity in the 60 cell lines. For example, the information is being used to search for candidate anticancer drugs that are not dependent on intact p53 suppressor gene function for their activity. It remains to be seen how effective this information-intensive strategy will be at generating new clinically active agents.s.

  • PDF

마늘죽 첨가 고추장의 항산화 및 항암효과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Traditional Kochujang Added with Garlic Porridge)

  • 송호수;김영목;이근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8호
    • /
    • pp.1140-114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항균작용, 항암작용, 항산화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마늘을 이용하여 소비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기능성 전통 고추장 개발을 목표로 마늘죽을 첨가한 고추장을 제조한 후 이에 대한 성분 분석, 항산화능력 및 항암 능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추장의 품질 기준으로 평가되는 아미노태 질소함량분석 결과, 마늘죽 첨가 고추장이 시판 고추장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련된 패널을 대상으로 관능 평가한 결과 생마늘 첨가 고추장이 색을 제외한 항목에 있어 마늘 특유의 향에 대한 거리감으로 인해 낮게 평가된 반면 마늘죽 형태로 첨가한 고추장의 경우 평가항목 모두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질량 분석기를 이용하여 마늘죽 첨가 고추장을 정성 분석한 결과 diallyl disulfide (C6H10S2)와 diallyl trisulfide (C6H10S3)와 같은 유효 기능성 성분인 설파이드계 화합물이 존재하는 곳으로 확인되었다. 항산화 능력은 마늘죽 첨가고추장이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에 있어서 모두 시판 고추장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MTT assay법으로 위암(MKN45), 대장암(HCT116), 폐암세포(NCI-H460)를 대상으로 항암효과를 조사한 결과 마늘죽 첨가 고추장의 경우 모든 암세포에 대해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위암(MKN45)세포에 대한 항암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마늘죽 첨가 고추장(마늘 함량 23%, w/w)이 시판 고추장 및 생마늘 첨가 고추장(마늘 함량 10%, w/w)보다 항산화 및 항암효과가 높은 이유는 마늘 함유량이 높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Olive (Olea europaea L.) Leaf Extracts

  • Ko, Ki-Wan;Kang, Ho-Jin;Lee, Boo-Y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818-821
    • /
    • 2009
  • Total phenol, total flavonoid, reducing powder, electron donating activity, ascorbic acid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antimicrobial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olive leaf extracts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total phenol and flavonoid were 257.48 and 92.33 mg in 100 g of olive leaf extract, respectively. The reducing power of the olive leaf extract increased with concentration increasing. Electron donating activity was high in 100 ${\mu}g/mL$ treated olive leaf extract as 95.20%. The ascorbic acid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of the olive leaf extract was 68.93 mg/g olive leaf extract. The olive leaf extracts showed relatively hig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Pseudomonas aeruginosa. All of the cancer cell lines including MKN45, HCT116, NCI-H460, and MCF7 have 70-81% as effective growth inhibition.

Cytotoxcity Effects of Triphlorethol-A on Various Cancer Cells

  • Kang Kyoung-Ah;Zhang Rui;Piao Mei Jing;Lee Nam-Ho;Park So-Yoon;Hyun Jin-Won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13-115
    • /
    • 2006
  • Ecklonia cava is a brown alga(Laminariaceae) that is abundant in the subtidal regions of Jeju island in Korea. Phlorotannins were identified to be responsible for the biological activities in Ecklonia species. In the present study, triphlorethol-A, a phlorotannin, was isolated from Ecklonia cava and its anticancer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riphlorethol-A was investigated whether it may show cytotoxicity effects against U937, HeLa, NCI-H460 and MCF-7 cancer cells by MTT test. As a result, triphlorethol-A did not show cytotoxic effects against tested four cell lines.

  • PDF

$I{\kappa}B{\alpha}$-SR 유전자이입이 Cisplatin, Paclitaxel에 대한 폐암세포주의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kappa}B{\alpha}$-SR Gene Transfer on the Sensitivity of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to Cisplatin and Paclitaxel)

  • 이석영;설자영;박경호;박근민;황용일;김철현;장승훈;권성연;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이춘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2호
    • /
    • pp.122-134
    • /
    • 2001
  • 연구배경 : 종양 세포들이 항암제에 대하여 저항을 나타내는 기전인 'apoptosis에 대한 저항'에 NF-${\kappa}B$의 활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생각되고 있다. 즉, NF-${\kappa}B$가 종양세포의 apoptosis를 억제하는 작용을 일으킴으로써 종양 세포의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음이 제시되 고 있다. 방 법 : 본 연구에서는 비소세포폐암에 대한 항암 치료의 내성에 대하여 외부 자극으로 분해되지 않는 $I{\kappa}B{\alpha}$-SR의 삽입으로 NF-${\kappa}B$의 활성을 억제시키고 이로 인해 항암제에 대한 폐암세포주의 감수성이 증가하는지 여부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결 과 : 비소세포폐암 세포주로 NCI H157, NCI H460 세포주를 이용하였고, Ad-$I{\kappa}B{\alpha}$-SR를 transduction 한 후 cisplatin을 처치한 군에서 NF-${\kappa}B$의 핵 내로의 이동이 억제되었으며 대조군과 비교시 $IC_{50}$이 2-3배 정도 유의하게 낮아짐을 관찰하였다. 또한 paclitaxel의 경우에도 Ad-$I{\kappa}B{\alpha}$-SR로 감염된 폐암세포주는 대조군과 비교시 IC50이 2배 정도 유의하게 낮아짐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항암제에 대한 감수성의 증가의 기전으로 cisplatin의 경우는 $I{\kappa}B{\alpha}$-SR의 이입이 NF-${\kappa}B$의 활성을 억제 함으로 인한 apoptosis의 증대 때문인 것으로보인다. 결 론 : 폐암세포주에서 Ad-$I{\kappa}B{\alpha}$-SR transduction은 Clsplatin, paclitaxel에 대한 폐암세포주의 감수성을 증가시킴으로 앞으로 폐암을 치료하는데 있어 새로운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비소세포 폐암세포에서 Uteroglobin의 이입에 의한 cPLA2와 COX-2 발현 및 ERK 활성의 변화 (The Effect of Uteroglobin on cPLA2, COX-2 Expression and ERK Activation in NSCLC Cells)

  • 김우진;윤정민;이경희;한선진;신원혁;임재준;유철규;이춘택;한성구;심영수;김영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6권6호
    • /
    • pp.638-645
    • /
    • 2004
  • 연구배경 : Uteroglobin은 정상 폐상피세포에서 발현되는 단백질로 비소세포암 조직이나 세포주에서는 발현이 저하되어있다. 항염증작용을 하며 암세포에 과발현 시키면 암의 형질이 소실됨이 밝혀지고 있다. 역시 염증작용과 관련이 있는 cPLA2와 COX-2도 암과의 관련성이 밝혀지고 있고, 암억제나 MMP의 억제 등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나 이들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다. 또한, COX-2의 암과의 관련성을 설명하는 기전으로 ERK 활성화의 관련 가능성이 있으나, uteroglobin과 ERK의 관련성도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에 uteroglobin을 과발현시킨 후, cPLA2와 COX-2의 발현, 그리고 MMP-2, MMP-9, ERK의 활성화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실험하였다. 방 법 : 폐선암세포주인 A549와 NCI-H460 세포주에 adenovirus-uteroglobin, adenovirus-null을 각각 20,100,200 moi로 transduction 시킨 뒤, 48시간 배양한 후에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Uteroglobin의 발현을 확인한 후, cPLA2, COX-2, pERK, total ERK에 대해 Western blot을 시행하였고, 배양액으로 zymography를 시행하였다. 결 과 : A549 세포주와 NCI-H460 세포주에서 uteroglobin의 발현을 확인한 세포주에서 cPLA2와 COX-2의 발현이 감소함을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고, pERK가 증가함을 Western blot으로 보았고, ERK의 활성화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MMP-9은 활성이 저하되었고, MMP-2는 변화가 없었다. MEK inhibitor인 U0126을 이용하여 ERK의 활성화를 저해시킨 후, uteroglobin의 발현에는 영향이 없었고, MMP-9의 활성저하효과가 소실되었다. 결 론 : 폐암세포주에서 uteroglobin의 항암작용기전에 cPLA2 와 COX-2의 발현의 감소와 ERK의 활성화가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출용매별 귀리의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Oats under Different Solvent Extraction Conditions)

  • 함현미;우관식;박지영;이병원;최용환;이춘우;김욱한;이준수;이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918-92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귀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과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측정하고 각 추출용매에 따른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ABTS)와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제거능 및 환원력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은 대장암, 폐암 및 유방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ABTS 및 DPPH 라디칼 제거능, 환원력 모두 methanol 추출물이 각각 8.2 mg gallic acid equivalent/g residue, 12.1 mg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TEAC)/g residue, 4.4 mg TEAC/g residue 및 $A_{700}=0.39$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은 methanol 추출물이 대장암(HCT116), 폐암(NCI-H460) 및 유방암(MCF7) 세포에서 각각 69.5, 75.2 및 84.8%로 높은 증식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추출용매에 따라 귀리의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에 차이가 나타나며, 이는 추출용매의 극성에 따라 추출된 생리활성 물질, 특히 폴리페놀 화합물의 용해도 차이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는 점차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천연 항산화제 및 항암제로서 귀리에 관한 생리활성 연구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귀리의 소비 촉진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