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D(P)H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8초

칠성장어(Lampetra japnica) 간조직 젖산탈수소효소와 대구(Gadus macrocephalus) liver-Specific C4동위효소의 특성 및 진화적 관계 (Characterization and Evolutionary Relationship of Lactate Dehydrogenase in Liver of Lampetra japonica and Liver-specific C4 Isozyme in Gadus macrocephdus.)

  • 박선영;조성규;염정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708-715
    • /
    • 2004
  • 칠성장어(Lampetra japonica) 간조직 젖산탈수소효소(EC 1.1.1.27, lactate dehydrogenase, LDH) 동위효소는 affinity chromatography에서 buffer를 유입한 후 용출된 분획에서 정제되었다. 대구(Gadus macrocephalus)의 liver-specific $C_4$동위효소는 열처리한 후 affinity chromatography하여 NAD+ 를 함유한 buffer에서 용출되기 시작하여 buffer를 유입한 후 $B_4$ 동위효소와 함께 용출되어, DEAE-Sephacel chromatography에 의해 정제되었다. 대구 간조직에서 열에 대한 안정성은$C_4$$B_4$$A_4$ 동위효소의 순서로 나타났다. Chromate-focusing에 의해 정제한 칠성장어 간조직의 pH 7.45 분획의 LDH 동위효소는 정제된 간조직 LDH보다 피루브산에 의한 기질저해도가 컸다. 칠성장어 간조직 LDH의 최적 pH는 7.5, liver-specific $C_4$동위효소는 pH 8.5였다. 칠성장어 간조직 LDH는 항원-항체반응에서 꺽지 $A_4$ 항체와 liver-specific $C_4$ 항체의 순서로 반응하였고 eye-specific $C_4$ 항체와는 반응 정도가 낮았다. 따라서 칠성장어 간조직 LDH는 하부단위체 A와 liver-specific $C_4$의 구조와 유사하게 진화되었으며, 하부단위체 C 는 진화속도가 매우 빠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칠성장어 간조직의 LDH는 단일 동위효소가 아니라, 하부단위체 A, B 및 C로 구성된 동위효소들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장균으로 부터 생산된 L-lactate Dehydrogen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Thermostable L-Lactate Dehydrogenase Produced by Escherichia Coli)

  • Song, Jae-Young;Kim, Kyoug-Sook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64-972
    • /
    • 1994
  • The 4.3-kb gene coding for L-lactate dehydrogenase of Bacillus stearothermophilus has been subcloned and expressed in E. coli cells. The enzyme was purified 200-fold with 25% yield by heat treatment , DEAE-Sephadex, and NAD++ -Sepharose CL-4B affinity chromatography followed by gel filtration through Sephadex G-200 .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urfied enzyme was estimated to be about 35, 000 and 140, 000 on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gel filtration,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enzyme is composed of four identical subunits. THe enzyme for pyruvate reduction and lactate oxdiation was stable at 60 and 75$^{\circ}C$ for 30 min, and the optimal temperatures for both reactions were 60 and 7$0^{\circ}C$, respectively. The enzyme had an optimal pH at 5.5 and 8.5 in pyruvate reduction and lactate oxidation, respectively. The pH stability of enzyme of pyruvate reduction was table between pH 5 and 7. more than 90% of enzyme activity was lost at 1mM FeSO4 and p-chloromercuribonzoate. The maximal activation of the enzyme was obtained with 0.8mM fructose 1, 6-bisphosphate.

  • PDF

Acinetobacter sp.1의 일산화탄소 산화효소의 특성 (Carbon Monoxide Dehydrogenase in Cell Extracts of an Acinetobacter Isolate)

  • 조진원;김영민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3-140
    • /
    • 1986
  • 일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자가영양적으로 성장한 Acinetobacter sp. 1 의 세포추출액은 혐 기성 실험조건하에서 thionin, methylene blue, 2,6-dichlorophenol-indophenol둥올 일산화탄소의 산회를 위한 전자수용체로 사용할 수 있었으나 NAD, NADP, FAD, 또는 FMN등은 천자수용체로 이용하지 못하였다. 이 세균에 존재하는 일산화탄소 산화효소는 유도효소로 밝혀졌고, pH 7.5와 $60^{\circ}C$에서 최대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효소의 활성화에너지는 6.1kcal/mol (25.5 kJ/mol)이며 일산화탄소에 대한 Km값은 $154{\mu}M$로 밝혀졌다. 그리고 잘 알려진 몇가지 금속 chelat tIng agent와 2가의 양이온들은 이 효소의 활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Cu^{2+}$ 이온만은 이 효소의 활성을 완전히 억제시켰다. 또한 이 효소는 포도당과 숙신산에 의해 활성이 저해되었으며, hydrogenase의 활성도 나타내었다. 그리고 Acinetobacter sp. 1의 일산화탄소 산화효소는 Pseudomonas carboxydohydrogena의 일산화탄소 산화효소와 연역학적인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solation and Properties of Cytoplasmic α-Glycerol 3-Phosphate Dehydrogenase from the Pectoral Muscle of the Fruit Bat, Eidolon helvum

  • Agboola, Femi Kayode;Thomson, Alan;Afolayan, Adeyinka
    • BMB Reports
    • /
    • 제36권2호
    • /
    • pp.159-166
    • /
    • 2003
  • Cytoplasmic $\alpha$-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from fruit-bat-breast muscle was purified by ion-exchange and affinity chromatography. The specific activity of the purified enzyme was approximately 120 units/mg of protein. The apparent molecular weight of the native enzyme, as determined by gel filtration on Sephadex G-100 was $59,500{\pm}650$ daltons; its subunit size was estimated to be $35,700{\pm}140$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true Michaelis-Menten constants for all substrates at pH 7.5 were $3.9{\pm}0.7\;mM$, $0.65{\pm}0.05\;mM$, $0.26{\pm}0.06\;mM$, and $0.005{\pm}0.0004\;mM$ for L-glycerol-3-phosphate, $NAD^+$, DHAP, and NADH, respectively. The true Michaelis-Menten constants at pH 10.0 were $2.30{\pm}0.21\;mM$ and $0.20{\pm}0.01\;mM$ for L-glycerol-3-phosphate and $NAD^+$, respectively. The turnover number, $k_{cat}$, of the forward reaction was $1.9{\pm}0.2{\times}10^4\;s^{-1}$. The treatment of the enzyme with 5,5'-dithiobis-2-nitrobenzoic acid (DTNB) under denaturing conditions indicated that there were a total of eight cysteine residues, while only two of these residues were reactive towards DTNB in the native enzyme. The overall results of the in vitro experiments suggest that $\alpha$-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of the fruit bat preferentially catalyses the reduction of dihydroxyacetone phosphate to glycerol-3-phosphate.

The NAD(P)H: Quinine Oxidoreductase 1 (NQO1) Gene 609 C>T Polymorphism is Associated with Gastric Cancer Risk: Evidence from a Case-control Study and a Meta-analysis

  • Hu, Wei-Guo;Hu, Jia-Jia;Cai, Wei;Zheng, Min-Hua;Zang, Lu;Wang, Zheng-Ting;Zhu, Zheng-G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5호
    • /
    • pp.2363-2367
    • /
    • 2014
  •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AD(P)H:quinone oxidoreductase 1 (NQO1) gene C609T polymorphism (rs1800566) and gastric cancer has been widely evaluated, but a definitive answer is so far lacking. We first conducted a case-control study to assess this association in a large Han Chinese population, and then performed a meta-analysis to further address this issue. Although our case-control association study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notype and allele distributions of C609T polymorphism between gastric cancer patients and controls, in the meta analysis involving 4,000 subjects, comparison of alleles 609T and 609C indicated a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46%) for gastric cancer (95% confidence interval (95%CI) for odds ratio (OR)=1.20-1.79) in individuals with the T allele. The tendency was similar to the homozygote (OR=1.81, 95%CI: 1.16-2.84), dominant models (OR=1.41, 95%CI: 1.12-1.79), as well as recessive model (OR=1.58, 95%CI: 1.06-2.35). Stratified analysis by study design demonstrated stronger associations in population-based than in hospital-based studies. And ethnicity-based analysis demonstrated a significant association in Asians. We conclude that the NQO1 gene C609T polymorphism increases the risk for gastric cancer, especially in Asian populations.

Mouse hepatoma 세포를 이용한 농산부산물로부터 quinone reductase활성물질의 탐색 (Screening of Quinone Reductase Inducers from Agricultural Byproducts Using Mouse Hepatoma Cell Line)

  • 김정상;남영중;김주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72-977
    • /
    • 1995
  • Quinone reductase(QR)를 포함한 2상효소계를 활성화시키는 성분들은 많은 동물실험에서 발암물질의 세포내 작용을 억제함으로서 항종양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농산부산물로서 미강, 밀기울, 탈지대두박, 두유박, 참깨박, 들깨박등 6종의 시료에 대한 암예방효과를 갖는 물질의 존재여부를 탐색하기 위하여, mouse hepatoma cell line(Hepalclc7 cells) 을 이용하여, quinone reductase활성유도 여부를 측정하였다. 참깨박과 들깨박의 80%메탄올 추출물은 0.5mg/ml 농도에서 강력한 QR 유도활성을 나타냈으며, 같은 농도에서 다른 시료들은 거의 QR 효소활성을 증가시키지 않았다. 한편 QR효소활성을 유도하는 성분을 찾아내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TLC를 수행한 결과, 참깨박과 들깨박의 메탄올 추출물 가운데 사용한 전개용매(n-butanol : n-propanol : 2N ammonium hydroxide(10 : 60 : 30)에서 가장 빨리 이동하는 분획(Rf=0.70)이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현재 활성성분의 동정이 진행중에 있다.

  • PDF

Induction of Anticarcinogenic Enzymes by Dichloromethane-soluble Fraction of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Hort. in Mouse Hepatoma Cells

  • Seo, JiYeon;Kim, Hyo Jung;Kim, Jong-Sang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2권3호
    • /
    • pp.119-124
    • /
    • 2014
  •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Hort. is known as an insecticide and traditional remedy for liver related diseas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emopreventive effects of extracts and several solvent fractions (n-hexane, dichloromethane, n-butanol, water) of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Hort. First, their cytotoxicity and NQO1 activity were measured using an MTT assay, plus a quinone reductase [NAD(P)H dehydrogenase (quinone); NAD(P)H: (quinone acceptor) oxidoreductase, EC 1.6.99.2]-inducing activity assay was performed using cultured murine hepatoma cells (Hepa1c1c7) and its mutant cells(BpRc1). The reduction of electrophilic quinones by NQO1 is an important detoxification pathway and major mechanism of chemoprevention. When compared with the other solvent soluble fractions with different polarities, the dichloromethane fraction of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Hort. showed a higher NQO1-inducing activity that was also dose-dependent. Moreover, the dichloromethane fraction of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Hort. induced ARE-luciferase activities in HepG2-C8 cells that were generated by transfecting the ARE-luciferase gene construct, suggesting the Nrf2-ARE-mediated induction of anti-oxidative enzymes. In conclusion, the dichloromethane-soluble fraction of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Hort. showed a relatively strong induction of detoxifying enzymes, thereby meriting further study to identify the active components and evaluate their potential as cancer preventive agents.

운동 시 대사적 산성화에 관한 고찰 (The Review of Metabolic Acidosis During Exercise)

  • 윤병곤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433-1441
    • /
    • 2018
  • 고강도 운동 시 산성화의 과정은 수소이온의 방출과 젖산 나트륨염을 형성하는 젖산의 생산 증가에 따른 것이라 설명되어져 왔다. 이 설명에 의하면, 젖산의 생산 비율이 세포내의 수소이온 완충능력을 초과하였을 때 세포의 수소이온 농도는 증가한다고 한다. 이러한 생화학적 과정을 젖산의 산성화라 한다. 이 이론에 따라 고강도 운동 시 젖산의 생산이 대사적 산성화와 피로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 왔다. 그러나, 본 고찰에서는 젖산의 생산이 산성화와 피로의 원인이라는 어떠한 생화학적 근거가 없음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다. 오히려 젖산의 생산은 해당과정에서 필요한 $NAD^+$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해 필수적이며 수소이온을 소비하는 대사과정이다. 젖산의 축적은 세포와 혈중의 수소이온 농도의 증가를 알려주는 좋은 지표가 될 수는 있지만 그것이 산성화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다.

사람 치은섬유모세포에서 NF-κB와 JNK 활성 억제를 통한 돌김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Porphyra yezoensis ethanol extract through the inhibited NF-κB and JNK activation in LPS-PG stimulated HGF-1 cells)

  • 박충무;윤현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81-88
    • /
    • 2018
  • 사람치은섬유모세포(human gingival fibroblast, HGF)는 치은조직에 존재하는 주요한 세포의 형태 중 하나로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다양한 염증대사물질을 생산한다. 본 연구에서는 돌김에탄올추출물(PYEE)이 Porphyromonas gingivalis로부터 분리한 lipopolysaccharide로 염증이 유도된 HGF-1 cell에서 항염 효과를 보이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LPS-PG에 의해 과발현된 iNOS와 COX-2는 PYEE의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이 감소되었고, nuclear factor $(NF)-{\kappa}B$ 또한 동일한 양상으로 활성이 억제되었다. 신호전달물질 중 c-Jun $NH_2$-terminal kinase (JNK)의 인산화만이 PYEE에 의해 억제되었다. 그리고 항염 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2상 효소 중 하나인 NAD(P)H:quinone dehydrogenase (NQO)-1도 분석하였고, 이 효소는 PYEE의 처리에 의해 강하게 발현이 유도가 되었다. 결론적으로 돌김에탄올추출물은 치주질환 에방과 치료를 위한 후보물질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핵환자에서 NAD Glycohydrolase Activity에 관한 연구 (NAD Glycohydrolase Activity in Patients of Tuberculosis)

  • 서재석;이용철;이양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5호
    • /
    • pp.489-493
    • /
    • 1994
  • 연구배경: NAD glycohydrolase(NADase)는 세포 표면에 위치하며 glycosylphatidylinositol(GPI)로 세포표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bacterial PI-specific phospholipase C(PI-PLC)에 의해 분리된다. 최근 결핵환자에서 NADase가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었으나 결핵균자체가 NADase가 높기 때문에 절대적인 NADase치가 증가했는 지는 확실치 않다. 따라서 저자들은 정상 대조군과 결핵환자의 적혈구에서 순수한 NADase activity를 측정하였다. 방법: 19명의 정상 건강 대조군과 16명의 과거 결핵의 진단 및 치료를 받지 않은 결핵환자를 대상으로하여 NADase activity를 측정하였고 결핵환자는 결핵치료 3개월후 재 검사하였다. NADase activity는 [carbonyl-$^3H$] nicotinamide 동위원소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건강 대조군에서 $2031{\pm}824.0pmol/min/10^6$ erythrocytes, 결핵 감염군에서 $3339{\pm}1568.0$, 그리고 isoniazide와 rifampin으로 치료한 3개월 후 $2238.6{\pm}1013.1$을 얻어 결핵 감염시 NADase activity가 유의한 차이를 가지고 증가하며(p<0.05), 치료전에 비하여 치료후 유의있게 감소하였다. 결론: 결핵감염시 NADase activity가 올라가고 결핵 치료시 NADase activity가 정상화 되어 NADase activity가 결핵감염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새로운 지표가 될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