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methy-D-aspartat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전침자극이 척수 N-methy1-D-aspartate receptor외 NR-2B Subunit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 (Involvement of Serine Phosphorylation of Spinal Cord NR-2B Subunit of the N-methyl-D-aspartate Receptor Following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 강별님;최병태;윤현민;민영광;안창범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63-71
    • /
    • 2007
  • 목적 : 저주파에 해당하는 2Hz 전침 자극이 척수 N-methyl-D-aspartate receptor (NMDAR)의 NR-2B subunit의 발현 및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법 : Sprague-Dawley계 흰쥐를 Storkson등의 방법에 의해 척수막의 지주막하강에 catheter를 삽입하는 수술을 행한 후 마비등의 척수 손상을 나타내지 않는 개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N-methyl-D-aspartate (NMDA) antagonist인 D-2-amino-5- phosphonopentanoic acid (AP-5)를 투여한 후 족삼리와 삼음교에 해당하는 부위에 30분간 전침 자극하였다. 무통각 여부는 hot plate test를 시행하였으며 NMDAR NR-2 subunit 발현과 인산화 여부는 Western blot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살펴보았다. 결과 : 전침 무통각은 전침 자극 후 180분 후까지 지속되었으며 NMDA antagonist인 AP-5를 투여하였을 때 전침 무통각이 저하되었으나 유의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Western blot 분석으로 보아 NMDAR NR-2B 및 인산화 NR-2B의 발현은 전침자극에 의해 미약한 증가를 보이나 AP-5투여에 의해 현저한 저해를 보였다. 면역조직화학에 의한 척수배각 구역별 발현을 보면 NMDAR NR-2B 및 인산화 NR-2B는 전 배각에 걸쳐 관찰되나 경부(층판 V-VI)에서 약한 반응을 보였다. 전침 자극에 의한 각 군별 NR-2B 발현은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지 않았으나 인산화 NR-2B는 천층(층판I-II) 및 고유핵 층판(III-IV)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전침 자극시 AP-5 투여는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으나 인산화 NR-2B 발현을 저해하였다. 결론: 저주파 2Hz 전침에 의한 무통각은 NMDA antagonist인 AP-5 투여에 의해 저해될 뿐 아니라 NMDAR NR-2B subunit의 인산화를 저해하는 것으로 보아 전침 무통각의 과정에 NMDAR 및 NMDAR NR-2B의 인산화가 관여함을 알 수 있다.

  • PDF

Cardiovascular Responses and Nitric Oxide Production in Cerebral Ischemic Rats

  • Shinl, Chang-Yell;Lee, Nam-In;Je, Hyun-Dong;Kim, Jeong-Soo;Sung, Ji-Hyun;Kim, Dong-Seok;Lee, Doo-Won;Bae, Ki-Lyong;Sohn, Uy-Do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5호
    • /
    • pp.697-703
    • /
    • 2002
  • We investigated that the role of nitric oxide (NO) on ischemic rats in brain and heart. Ischemia was induced by both common carotid arteries (CCA) occlusion for 24h following reperfusion. Then tissue samples were removed and measured NOx. In brain, NOx was increased by about 40% vs. normal and it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aminoguanidine, selective iNOS inhibitor. This result showed that NOx concentration was increased by iNOS. We investigated the role of $Ca^{2+}$ during ischemia. Nimodipine, L-type calcium channel blocker, didn't inhibit the increases of NOx concentration during ischemia. It suggested that increased NOx was due to calcium-independent NOS. MK-801, which N-methyl-D-aspartate (NMDA) receptor antagonist, didn't significantly prevent the increases of NOx. In heart, ischemia caused NOx decrease and it is inconsistent with NOx increase in brain. Aminoguanidine and nimodipine didnt affect on NOx decrease. But MK-801 more lowered NOx concentration than those of ischemia control group. It seemed that $Ca^{2+}$ influx in heart partially occurred via NMDA receptor and inhibited by NMDA receptor antagonist. The mean arterial pressure (MAP) in ischemic rats after 24h of CCA occlusion was decreased when compared to normal value, whereas the heart rates (HR)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Aminoguanidine or MK801 had no effect on MAP or HR, but nimodipine reduced MAP. There was no difference the effects of aminoguanidine, nimodipine, or MK-801, on MAP and HR between normal rats and ischemic rats. In summary, ischemic model caused an increase of NOx concentration, suggesting that this may be produced via iNOS, which is calcium independent in brain. However in heart, ischemia decreased NOx concentration and NMDA receptor was partially involved. The basal MAP was decreased in ischemic rats but HR was not different from normal control, suggesting that increased NOx in brain of ischemic rat may result in the hypotension.

신생 백서의 저산소 허혈 뇌손상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투여에 따른 Nitric Oxide Synthase 이성체와 N-methyl-D-aspartate 수용체 아단위의 발현 (Expression of nitric oxide synthase isoforms and N-methyl-D-aspartate receptor subunits according to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administration after hypoxic-ischemic brain injury in neonatal rats)

  • 고혜영;서억수;김우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5호
    • /
    • pp.594-602
    • /
    • 2009
  • 목 적 : $TGF-{\beta}1$는 흥분독성을 억제시키고 질소 산화물 생성 억제를 통한 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주산기저산소 허혈 뇌손상에서 그 기전은 아직도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신생 백서의 저산소 허혈 뇌손상에서 산화질소로 인한 신경독성 및 글루탐산염에 의한 흥분독성과 $TGF-{\beta}1$의 관계를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생체외 실험으로 재태 기간 19일된 태아 백서의 대뇌피질 세포를 배양하여 1% O2 배양기에서 저산소 상태로 뇌세포손상을 유도하여 저산소군(Hypoxia), 저산소 손상 30분 전 $TGF-{\beta}1$ (1, 5, 10 ng/mL) 투여군(H+$TGF-{\beta}1$)으로 나누어 정상 산소군 (Control)과 비교하였다. 생체 내 실험은 생후 7일된 백서의 좌측 총 경동맥을 결찰한 후 저산소 (7.5% O2) 상태로 2시간 노출시켜서, 저산소 허혈 뇌손상을 유발하였다.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은 정상 대조군(Control), 경동맥 노출 후 봉합 시술만 시행한 정상 Sham 수술군(Sham-OP), 손상 30분 전 생리식염수를 주입 후 경동맥 결찰과 저산소 노출을 시행한 저산소 허혈 대조군(HI+ Vehicle), 손상 30분 전 $TGF-{\beta}1$을 대뇌로 투여하고 경동맥 결찰과 저산소 노출을 시행한 저산소 허혈 $TGF-{\beta}1$ 투여군(HI+$TGF-{\beta}1$)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흥분독성과의 관련을 알아보기 위하여 NMDA 수용체 아단위를 이용하였고, 질소산화물과의 관련을 알아보기 위해 iNOS, eNOS 및 nNOS를 이용하여 western blotting과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하였다. 결 과 : 생체 외 실험에서 iNOS의 발현은 정상 산소군과 저산소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TGF-{\beta}1$ 투여군에서는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농도와는 상관성이 없었다. eNOS, nNOS의 발현은 1 ng/mL의 $TGF-{\beta}1$ 투여군에서 저산소군보다 감소하였다. 생체 내 실험에서는 iNOS와 iNOS mRNA의 발현은 $TGF-{\beta}1$ 투여한 후 저산소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 eNOS와 nNOS 발현은 정상 대조군 보다 저산소 대조군에서 감소하였고, eNOS의 발현은 $TGF-{\beta}1$ 투여군에서 증가하였지만 nNOS의 발현은 증가하지 않아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eNOS mRNA와 nNOS mRNA의 발현은 iNOS와 반대로 $TGF-{\beta}1$ 투여군에서 저산소 대조군보다 감소하였다. NMDA 수용체 아단위 mRNA의 발현은 정상 대조군과 Sham 수술군에 비해 저산소 대조군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나 $TGF-{\beta}1$ 투여군에서 NR2C를 제외한 나머지 아단위의 발현은 저산소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 결 론 : 신생백서의 저산소 허혈 뇌손상에서 $TGF-{\beta}1$ 치료군에서 저산소로 인하여 감소된 NMDA 수용체 아단위의 발현을 증가시켜 흥분독성 기전과 관련성을 보이며, 증가된 iNOS 발현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eNOS 발현을 증가시키는 질소 산화물 중재를 통한 뇌 보호 작용에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Glutamate에 의한 세포내 칼슘농도변화와 세포독성과의 관계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in the Glutamate-induced Cytotoxicity in PCl2 Cell)

  • 황인영;신임철;송연숙;성민제;박혜지;이윷모;박철범;이명구;오기완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8권4호
    • /
    • pp.355-362
    • /
    • 2002
  • Pathophysiological eleva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Ca^{2+}]_1$) in the neuron has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responsible factor in the neuronal cell damages. However the mechanism of increase of $[Ca^{2+}]_1$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2+}]_1$ level and cytotocixity have not been fully demonstrated. In the present study, real-time alteration of $[Ca^{2+}]_1$and cellular response (cell damages) in the pheochromocytoma cells (PC12) stimulated by glutamate were investigated. Glutamate dose dependently decreased cell viability determined propidium iodide fluorescence method and morphology change. Conversely related with cell damages, glutamate dose dependently increased the level of[Ca$^{2+}$$_{i}$ .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glutamate-induced increase of $[Ca^{2+}]_1$,$[Ca^{2+}]_1$, was first measured in the cell cultured in calcium free media and in the presence of dantrolene, an inhibitor of calcium release from ryanodine receptor located in endoplasmic reticulum (ER). Similar to the increase$[Ca^{2+}]_1$ in the calcium-containing media, glutamate dose dependently increased $[Ca^{2+}]_1$ in the cell cultured in free calcium media. However pretreatment (2 hr) with 20~50 $\mu\textrm{M}$ dantrolene substantial lowered glutamate-induced increase of $[Ca^{2+}]_1$, suggesting that release of calcium from ER may be major sourse of increase of $[Ca^{2+}]_1$ in PC12 cells. Dantrolene-induced inhibition of $[Ca^{2+}]_1$ resulted in recovery of cytotoxicity by glutamate. Relevance of N-methy-D-aspartate (NMDA) receptor, a type of glutamte receptor on glutamate-induced incense of $[Ca^{2+}]_1$,$[Ca^{2+}]_1$ was also determined in the cells pretreated (2 hr) with NMDA receptor antagonist MK-80l. Glutamate-induced increase of $[Ca^{2+}]_1$ was reduced by MK-801 dose dependently. Furthermore, glutamate-induced cytotoxicity was also prevented by MK-80l.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glutamte increase $[Ca^{2+}]_1$ dose dependently and thereby cause cytotoxicity. The increase of $[Ca^{2+}]_1$ may release from ER, especially through ryanodine receptor and/or through NMDA receptor Alteration of calcium homeostasis through disturbance of ER system and/or calcium influx through NMDA receptor could contribute glutamate-induced cell damag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