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olvement of Serine Phosphorylation of Spinal Cord NR-2B Subunit of the N-methyl-D-aspartate Receptor Following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전침자극이 척수 N-methy1-D-aspartate receptor외 NR-2B Subunit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

  • Kang, Byeol-Rim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Choi, Byung-Tae (Department of and Anatom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Yoon, Hyun-Min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Min, Young-Kwang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Ahn, Chang-Beohn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강별님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최병태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 윤현민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민영광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안창범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Published : 2007.04.20

Abstract

목적 : 저주파에 해당하는 2Hz 전침 자극이 척수 N-methyl-D-aspartate receptor (NMDAR)의 NR-2B subunit의 발현 및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법 : Sprague-Dawley계 흰쥐를 Storkson등의 방법에 의해 척수막의 지주막하강에 catheter를 삽입하는 수술을 행한 후 마비등의 척수 손상을 나타내지 않는 개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N-methyl-D-aspartate (NMDA) antagonist인 D-2-amino-5- phosphonopentanoic acid (AP-5)를 투여한 후 족삼리와 삼음교에 해당하는 부위에 30분간 전침 자극하였다. 무통각 여부는 hot plate test를 시행하였으며 NMDAR NR-2 subunit 발현과 인산화 여부는 Western blot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살펴보았다. 결과 : 전침 무통각은 전침 자극 후 180분 후까지 지속되었으며 NMDA antagonist인 AP-5를 투여하였을 때 전침 무통각이 저하되었으나 유의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Western blot 분석으로 보아 NMDAR NR-2B 및 인산화 NR-2B의 발현은 전침자극에 의해 미약한 증가를 보이나 AP-5투여에 의해 현저한 저해를 보였다. 면역조직화학에 의한 척수배각 구역별 발현을 보면 NMDAR NR-2B 및 인산화 NR-2B는 전 배각에 걸쳐 관찰되나 경부(층판 V-VI)에서 약한 반응을 보였다. 전침 자극에 의한 각 군별 NR-2B 발현은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지 않았으나 인산화 NR-2B는 천층(층판I-II) 및 고유핵 층판(III-IV)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전침 자극시 AP-5 투여는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으나 인산화 NR-2B 발현을 저해하였다. 결론: 저주파 2Hz 전침에 의한 무통각은 NMDA antagonist인 AP-5 투여에 의해 저해될 뿐 아니라 NMDAR NR-2B subunit의 인산화를 저해하는 것으로 보아 전침 무통각의 과정에 NMDAR 및 NMDAR NR-2B의 인산화가 관여함을 알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