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hexane

검색결과 1,205건 처리시간 0.03초

포도씨 기름의 수율증진을 위한 추출 방법 개선 (Improved Method for Increasing of the Oil Yields in Grape Seed)

  • 강명화;정혜경;송은승;박원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931-934
    • /
    • 2002
  • 폐기화 되고 있는 포도씨를 대체 식용유지 자원으로 개발하고자 포도씨에 함유되어 있는 기름의 최적 추출 방법을 확립하고자 실시하였다. Campbell early 포도씨의 일반 성분 분석 결과 압착 법으로 추출한 기름의 수율은 분쇄 후 볶아 증숙한 처리구, 분쇄 후 볶음 처리구, 분쇄 후 증숙 처리구순이었고 볶음 후 분쇄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용매 추출에 의한 수율은 정치 추출하였을 때 ether 처리구가 24시간 77.4%, 48시간 80.9%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methanol과 n-hexane으로 나타났다. 포도씨 기름의 추출수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 가지 처리를 조합하여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순으로 방법이 확립되었다. (1) 수분 $10{\sim}12%$의 포도씨를 $95{\sim}100^{\circ}C$에서 20분 정도 볶음 처리하고 30분간 실온으로 방냉한다. (2) 분쇄기로 1차 $1{\sim}2\;mm$ 정도 입자로 하여 2차 분쇄로 0.5 mm 이하 입자크기로 분쇄한다. (3) 분쇄된 씨를 steam boiler에서 $0.8{\sim}0.9\;kg{\cdot}f/cm^2$의 압력으로 10분 정도 증숙 시킨 후 열 교환 장치가 부착된 압착 추출기에 $6{\sim}\;8kg$ 정도 넣어 추출한다. (4) 이때의 압착력은 $400\;kg/cm^2$에서 $2{\sim}3$분, $550{\sim}600\;kg/cm^2$에서 10분 그리고 $700\;kg/cm^2$에서 기름 흔적이 없어 질 때까지 추출한다. 추출 방법을 달리하여 추출한다. 추출 방법을 달리하여 추출한 포도씨 기름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최적조건으로 추출한 기름이 맛, 향기 및 색깔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이 분쇄 후 볶아 추출한 기름이 좋게 나타났으며 분쇄 후 볶아 증숙하여 압착한 기름순으로 나타났다.

홍경천 추출물의 항산화성, 항돌연변이성 및 세포독성 효과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Rhodiola sachalinensis Extract)

  • 최승필;이득식;함승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1-216
    • /
    • 2003
  • 홍경천 뿌리의 에탄을 추출물과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14.3 $\mu\textrm{g}$/DL의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직접 변이원인 MNNG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에서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 대해 홍경천 뿌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2000g/p1ale)에서 다른 분획물보다 높은 89.1%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4NQO에서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S. typhimurium TA98 균주와 TA100균주에 대해서 동일 시료농도에서 각각 89.7%와 91.5% 로 다른 분획물보다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B( u )P에 대한 억 제효과에서는 TA98, TA100 두 균주에 대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각각 94.2%와 95.7%로 다른 분획물 보다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Tn-P-1에 대해서 는 두 균주가 각각 92.3%와 93.8%로 다른 분획물 보다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암세포 성장억 제 효과를 검토한 실험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시료농도의 증가와 함께 억제활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시료농도 1 mg/CL에서 A549가 90.5%, HepG2가 81.5%, AGS가 92..2% 그리고 MCF-7이 82.6%의 암세포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고체상 정제 및 HPLC/PDA에 의한 영유아식 중 나이아신의 분석 (Determination of Niacin in Infant Formula by Solid-phase Clean-up and HPLC with Photodiode Array Detector)

  • 홍지은;김미란;천상희;채정영;박은령;문춘선;곽인신;김옥희;이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59-363
    • /
    • 2009
  • 영유아식 중 나이아신의 기기분석법을 개발하고 영 유아식 중의 나이아신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니코틴산 및 니코틴 아미드에 대해 액체 추출 및 고체상 정제과정을 통해 전처리 한 후 HPLC로 분석할 경우 $83{\sim}104%$ 범위의 회수율과 $1.5{\sim}3.5%$ 범위의 재현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260 nm의 파장에서 분석할 경우 $0.02{\sim}10$ mg/L 범위에서 검량선의 직선성이 1.0000 수준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영유아식 중의 검출 한계는 0.2 mg/kg 수준으로 나타났다. 총 50건의 영 유아식에 대해 나이아신 함량을 모니터링한 결과 $53.5{\sim}140.3$ mg/kg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3회 반복시험 시의 상대표준편차는 $0.6{\sim}5.5%$ 범위로 나타나 본 방법이 나이아신 분석에 유용한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Studies on the Analysis of Benzo(a)pyrene and Its Metabolites on Biological Samples by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Fluorescence Detection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Lee, Won;Shin, Hye-Seung;Hong, Jee-Eun;Pyo, Hee-Soo;Kim, Yun-J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4권5호
    • /
    • pp.559-565
    • /
    • 2003
  • An analytical method the determination of benzo(a)pyrene (BaP) and its hydroxylated metabolites, 1-hydroxybenzo(a)pyrene (1-OHBaP), 3-hydroxybenzo(a)pyrene (3-OHBaP), benzo(a)pyrene-4,5-dihydrodiol (4,5-diolBaP) and benzo(a)pyrene-7,8-dihydrodiol (7,8-diolBaP), in rat urine and plasma has been developed by HPLC/FLD and GC/MS. The derivatization with alkyl iodide was employed to improve the resolution and the detection of two mono hydroxylated metabolites, 1-OHBaP and 3-OHBaP, in LC and GC. BaP and its four metabolites in spiked urine were successfully separated by gradient elution on reverse phase ODS $C_{18}$ column (4.6 mm I.D., 100 mm length, particle size 5 ㎛) using a binary mixture of MeOH/H₂O (85/15, v/v) as mobile phase after ethylation at 90 ℃ for 10 min. The extraction recoveries of BaP and its metabolites in spiked samples with liquid-liquid extraction, which was better than solid phase extraction, were in the range of 90.3- 101.6% in n-hexane for urine and 95.7-106.3% in acetone for plasma, respectively. The calibration curves has shown good linearity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R²) varying from 0.992 to 1.000 for urine and from 0.996 to 1.000 for plasma, respectively. The detection limits of all analytes were obtained in the range of 0.01-0.1 ng/mL for urine and 0.1-0.4 ng/mL for plasma, respectively. The metabolites of BaP were excreted as mono hydroxy and dihydrodiol forms after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20 mg/kg of BaP to rats. The total amounts of BaP and four metabolites excreted in dosed rat urine were 3.79 ng over the 0-96 hr period from adminstration and the excretional recovery was less than 0.065% of the injection amounts of BaP. The proposed method was successfully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BaP and its hydroxylated metabolites in rat urine and plasma for the pharmacokinetic studies.

막걸리로부터 항산화 화합물의 단리.정제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s from Makgeolli)

  • 왕승진;이형재;조정용;박근형;문제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4-20
    • /
    • 2012
  • 막걸리는 우리의 전통 주류이며, 최근 그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함유된 성분들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그래서 막걸리에 함유된 항산화 활성화합물에 초점을 맞추어 column chromatography 및 HPLC를 행하여 화합물을 단리하고, 단리된 화합물들을 MS 및 NMR 분석을 행해 구조를 해석하였다. 그 결과 단리된 8종의 화합물을 4-hydroxybenzaldehyde(1), 2-(4-hydroxyphenyl)ethanol(2, tyrosol), trans-ferulic acid(3), cis-ferulic acid(4), 1H-indole-3-ethanol(5, tryptophol), dimethyl succinate(6), succinic acid(7), 그리고 mono-methyl succinate(8)로 동정하였다. 그리고 막걸리로부터 유기산들(화합물 6-8)의 존재가 보고된 바 있으나, 유기산 이외의 화합물 1-5는 본 연구에 의해 막걸리로부터 그 존재가 처음 밝혀졌다.

우국생 탁주 주박의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 (Evaluation of in-vitro Anti-thrombosis and Anti-oxidation Activity of Lees of Takju (Wookukseng))

  • 김미선;이예슬;김종식;신우창;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25-432
    • /
    • 2015
  • 각각의 나라는 민족의 공감성과 문화성이 깃든 고유의 술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고유의 전통주 막걸리(탁주)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박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향장소재 개발을 목표로, 상업적 시설에서 대량생산된 우국생 주박의 ethanol 및 열수 추출물로부터 n-hexane, ethylacetate, butanol을 이용한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과 물 잔류물을 조제한 후, 이들의 혈액응고 저해활성,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 및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우국생 주박의 수분함량은 80.3%, pH 3.94, brix 13.0 및 알코올 함량은 약 1.8%이었으며, ethanol 추출의 경우 추출효율은 6.62%로 열수 추출의 2.1%보다 3.15배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총폴리페놀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결과 주박 ethanol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폴리페놀 함량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128 mg/g). 혈액응고 저해활성을 평가한 결과, ethanol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물에서는 5 mg/ml 농도에서 TT, PT, aPTT 모두 15배 이상의 연장된 응고시간을 나타내어 매우 강력한 thrombin, prothrombin 및 coagulation factor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혈소판 응집저해능 평가에서는 ethanol 추출물의 butanol 분획 및 물 잔류물에서 항혈전제로 사용되고 있는 aspirin 보다 우수한 응집저해능을 확인하였다. 상기 10종 시료들은 0.5 mg/ml 농도까지 적혈구 용혈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양호한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사료 및 비료로 활용되고 있는 우국생 주박의 활성분획물을 이용하는 경우 고부가가치 항혈전제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참모자반 메탄올 추출 분획물의 항산화 및 숙취해소능과 α-glucosidase 활성저해효과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s for Solvent Fractions from Methanol Extracts of Sargassum fulvellum and Its Antioxidant and Alcohol-Metabolizing Activities)

  • 강수희;조은경;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420-1427
    • /
    • 2012
  • 참모자반 분획물은 극성에 따라 핵산, 메탄올, 부탄올 및 수층 순으로 분획하여 4개의 분획층을 얻었으며, 각 분획층의 생리활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항산화 활성은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메탄올 분획 층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 실험에서는 부탄올 층이 pH 1.2에서 57.8%로 4개의 분획물중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냈다. 숙취 해소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ADH 활성과 ALDH 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조구로 사용한 흡광도 값을 100으로 하였을 때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hepos가 150~167%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4가지 분획층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특히 ALDH에서는 메탄올 분획층이 10 mg/ml 농도에서 167.4%의 활성을 나타내어 hepos와 비슷한 효과를 보였다. 참모자반 분획물의 혈당강하 효과는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 효과로 측정하였다.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 효과는 핵산 분획층에서 2 mg/ml의 농도에서 94.1%로 아주 높은 항당뇨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런데 부탄올층, 메탄올층 및 수층은 혈당강하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주름예방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행한 elastase 저해효과 실험에서 메탄올 분획층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주름개선효과가 나타났으며 2 mg/ml 농도에서 93.2%의 효과를 나타냈으며,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Vit. C (1 mg/ml) 보다 더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모자반 메탄올 추출물 중 특히 메탄올 분획층이 탁월한 주름개선 효과, 숙취 해소능과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핵산층은 혈당강하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자반 유기용매 분획물은 천연 기능성소재로서의 사용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초피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항균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Chopi(Zanthoxylum Pipperitum DC.) Solvent Extracts)

  • 안명수;김현정;한미남;원종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0-176
    • /
    • 2004
  • 천연첨가물검색의 일환으로 초피의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성과 항균성을 실험하고, 소비자의 수용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초피를 첨가한 육원전의 관능 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초피 용매 추출물들의 옥수수유에 대한 항산화 효과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합성항산화 제인 BHT과 같은 농도에서 BUex는 월등히 높았으며, MEex, EAex는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2. 초피의 용매 추출물의 중 CHex와 BUex가 Escher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Ps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및 Listeria monocytogenes 모두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보였다. 3. 초피 가루를 식품에 첨가하여 제조한 육완자전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도를 검사한 결과는 0.1%를 첨가한 경우는 초피를 첨가하지 않은 본래의 육완자전과 같은 수준의 기호도를 나타내므로써(P<0.05) 초피 가루에 의한 이미(異味)가 없어 육와자전 제조에 초피가루를 사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arbaryl과 Chlorothalonil의 공존이 Carassius auratus(goldfish)를 이용한 생물농축계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existence of Carbaryl and Chlorothalonil on the Short-term Bioconcentration Factor in Carassius auratus(goldfish))

  • 민경진;김근배;차춘근;박천만;강회양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6-24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existence of carbaryl and chlorothalonil on the short-term bioconcentration factor in Carassius auratus(goldfish). The fishes were exposed to the combined treatment of carbaryl and chlorothalonil(0.05 ppm+0.005 ppm, 0.05 ppm+0.010 ppm, 0.10 ppm+0.005 ppm) for 1, 3 and 5 days, respectively. Carbaryl and chlorothalonil in fish and in test water were extracted with n-hexane and acetonitrile. GC-ECD was used to detect and quantitate carbaryl and chlorothalonil. 1-day, 3-day and 5-day bioconcentration factors($BCF_1, BCF_3$ and $BCF_5$) of each pesticide were calculated from the quantitation results. The depuration rate of each pesticide from the whole body of fish was determined over the 72-h period after combined treat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BCF_1$ values of carbaryl were 3.521, 3.802 and 3.587, respectively,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aryl and chlorothalonil in combined treatment were 0.05+0.005, 0.05+0.010 and 0.10+0.005 ppm. BCF3 values of carbaryl were 4.825, 4.556 and 3.828, respectively, and $BCF_5$ values of carbaryl were 3.974, 3.921 and 4.186, respectively, under the conditions. While $BCF_1$ of chlorothalonil were 0.829, 0.829 and 1.540, respectively, under the same condition of pesticide concentrations $BCF_3$ of chlorothalonil were 2.040, 2.208 and 3.633, respectively, and $BCF_5$ of chlorothalonil were 6.222, 6.667 and 7.095, respectively, under the conditions. Depuration rate constants of carbaryl were 0.022, 0.022 and 0.152, respectively,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aryl and chlorothalonil in combined treatment were 0.05+0.005, 0.05+0.010 and 0.10+0.005 ppm. While depuration rate constants of chlorothalonil were 0.004, 0.004 and 0.006, respectively, under the same condition of pesticide concentrations. It was observed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carbaryl and chlorothalonil concentration in fish extracts, test water and $BCF_s$ of carbaryl and chlorothalonil between combined treatment and single treatment. It was considered that no appreciable interaction at experimental concentrations was due to low concentrations, 0.005~0.1 ppm. Co-existence of carbaryl and chlorothalonil had no effect on excretion of each pesticide and depuration rate of chlorothalonil was investigated 1/8 slower than that of carbaryl in combined treatment.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persistence of chlorothalonil in fish body would be higher than that of carbaryl.

  • PDF

Lipopolysaccharide로 유도한 대식세포의 염증반응에서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Oenanthe javanica 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 on LPS-Induced Inflammation Response)

  • 장지훈;조현우;이보영;유강열;윤지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595-160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 및 그 분획물의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LPS에 의해 염증반응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 대해 추출물이 미치는 항염증 효과를 살펴보았다.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은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켰고, 결과적으로 NO 생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의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그리고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을 처리했을 때 에틸아세테이트와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 전처리 실험군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O의 형성이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중 미나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량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을 현저히 감소시킴에 따라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 그 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염증을 완화시키는 유효성분이 많은 것을 규명하였고 향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어떠한 유효성분이 있는 지에 대해 추후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러한 항염증 효능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기능성 식품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