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 screen

검색결과 528건 처리시간 0.024초

N-스크린 환경을 위한 CoAP 기반 디지털 캐로절 시스템 (A Digital Carousel System based on CoAP for N-Screen Environment)

  • 고응남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59-6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N 스크린 서버와 클라이언트 시스템 환경을 통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모델에 대해서 기술한다. 디지털 캐로절은 사용자들에게 미디어 동기화 메카니즘을 통하여 미디어 객체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본 시스템은 공동 작업에 참여한 사용자들이 다른 참여자들에게 같은 뷰로써 공유된 미디어 객체들을 참조할 수 있도록 N 스크린 환경을 위한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기반 디지털 캐로절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에 의해서 응용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N 스크린의 기술과 CoAP 기반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에서 실행되는 기능에 대한 시스템의 기능 비교도 하였다.

지상파 방송사의 채널 이미지와 N-스크린 서비스 운영 전략 (Operation strategy of terrestrial broadcasting system on channel image and N-screen service)

  • 김형준;하규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6호
    • /
    • pp.43-55
    • /
    • 2013
  • 본 글은 지상파 방송사의 채널 이미지와 N-스크린 전략 서비스 경영전략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에 방송사의 기존 채널이미지가 다매체, 다채널 서비스로 대변되는 N-스크린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지상파 방송사의 N-스크린 운영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현재 지상파 방송 사업자들은 인터넷 기반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N-스크린 서비스를 실현하고 있다. 고정형 TV- PC-스마트폰-태블릿PC로 연결되는 N-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용자들이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기준은 분석하기 매우 어렵다. 다만, 기존 지상파 방송사의 채널 이미지가 그대로 N-스크린 서비스에 전이되며, 이에 따라 지상파 방송사의 경쟁 도구로 활용된다. 따라서 향후 N-스크린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프로그램 선택 유인, 오리지널 콘텐츠 확보, 새로운 플랫폼 및 서비스 개발 등을 통해서 스마트 미디어 시대를 대비해야 할 것이다.

N-스크린 환경에서 소셜 러닝을 위한 개인 위치정보 지원 커뮤니케이션 매니저 설계 및 구현 (Communication Manager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dividual Location Information for Social Learning in N-Screen)

  • 김경록;변재희;문남미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8권3호
    • /
    • pp.27-35
    • /
    • 2011
  • 사용자간 상호작용과 협업 기능을 바탕으로 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발달에 따라 이를 교수-학습에 활용하면서 개인 체험 중심의 구성주의와 접목되어 소셜 러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를 보다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N-Screen웹, 스마트폰, IPTV)을 지원하는 커뮤니케이션 모델이 필요하다. 커뮤니케이션 모델은 학습자-교수자-시스템간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웹기반 이러닝 시스템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셜 러닝을 위한 서비스 환경을 N-Screen으로 확대하고, 끊김 없는 서비스를 위해 개인의 위치정보를 학습 활동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매니저를 설계하고 구현하고자 한다. 커뮤니케이션 매니저는 N-Screen 서비스를 위한 학습자의 유스케이스 도출 및 요구 기능을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설계한다. 또한, 단말 각각의 서비스 특성을 고려하여, 개인화 위치정보를 반영 할 수 있도록 한다.

N-Screen Service를 위한 HTML5 기반의 Application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pplication based on HTML5 of N-Screen Service)

  • 김정재;서주현;최현우;이준호;김준수;조국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71-674
    • /
    • 2012
  • 최근 스마트 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가정 내에서 사용자의 편의성 추구를 위하여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다양한 서비스들의 발달로 사용자들의 요구가 다변화 되며 요구의 정도 또한 전보다 한층 명확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들의 N-Screen에 대한 요구도 다양하게 변모 되고 있으며, 그 흐름 또한 점차 진화해 나가는 실정이다. 기존의 N-Screen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버로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모두 업로드 하여 비디오 스트리밍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재생반응속도가 느리며, 서버의 성능에 따라 사용자수가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기존의 N-Screen 서비스는 웹 형태의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때문에 단방향 통신으로 수반되는 높은 지연과 오버 헤드 등의 여러 가지 문제들이 야기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HTML5 기반의 Application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HTML5기반의 비디오 태그 (Video tag)와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 (Progressive Download)를 지원하여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반응속도를 개선한다. 이는 비디오 스트리밍 방식에서 오는 고질적인 문제인 콘텐츠 재생반응속도와 비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콘텐츠 인코딩에서 오는 대규모 사용자의 접속제한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웹소켓을 통하여 기존의 N-Screen 시스템보다 낮은 지연과 양방향 소통으로 인하여 동적인 연결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Designing Coherent User Interfaces of N-Screen Services Reflecting Users' Task Knowledge

  • Park, Hwan-Su;Lee, Dong-Seok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1-48
    • /
    • 2012
  • Objective: Companies want to expand their business by providing their services at other devices and new services based upon existing services. Therefore, they look for building brand identity by providing same experience throughout devices and services. Background: Many services are available to use at multiple devices including mobile phones, tablet, personal computers, and televisions, thanks to proliferation of n-screen and cloud technology. Method: It was discussed that consistency, which emphasizes the regularity and has been one of essential aspects of user interface design, seems not effective to be applied to n-screen services, owing to different screen size, input and output peripherals, usage environment and users' attitude. Results: A new definition of same experience among different devices and services, called coherence, was introduced and abstraction levels of user interfaces were proposed as the denominator of defining coherence. Then types of users' task knowledge at each abstraction level were discussed with examples. Conclusion: This paper concluded by discussing design requirements for designing coherent user interfaces among devices and services.

선박 및 실내 N-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WPAN 프로토콜 (A WPAN Protocol for N-Screen Services in Indoor and Ship Area Networks)

  • 허경;이성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6호
    • /
    • pp.1185-1192
    • /
    • 2015
  • 센서장비에 장착되는 무선통신 모듈은 선내 통합유무선 네트워크와의 원활한 연결을 위하여 무선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브릿지(bridge)를 통한 데이터 전송방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 및 실내 Seamless N-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무선 통신 MAC 구조로서, WPAN 프로토콜을 적용하고, P2P 스트리밍이 가능한 OSMU(One Source Multi Use) N-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그리드 기반 WPAN 네트워킹 기술을 제안하고 성능을 분석하였다. 제안한 그리드 기반 WPAN 네트워킹 기술은 다중 경로 및 신속한 경로 설정이 가능한 N-스크린 통신을 지원한다. 제안한 방식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그리드 기반 WPAN 네트워킹 기술은 IEEE 802.15.4 기반망 보다 전송지연시간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선박 및 실내 N-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동적 Threshold 기반 멀티캐스트 기술 (Dynamic Threshold-Based Multicast Scheme for N-Screen Services in Indoor and Ship Area Networks)

  • 허경;이성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7호
    • /
    • pp.1369-1376
    • /
    • 2015
  • 센서장비에 장착되는 무선통신 모듈은 선내 통합유무선 네트워크와의 원활한 연결을 위하여 무선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Bridge(브릿지)를 통한 데이터 전송방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 및 실내 끊김없는 N-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무선 통신 MAC 구조로서, WiMedia Distributed-MAC(D-MAC) 프로토콜을 적용하고, 끊김없는 D-MAC 프로토콜에서 P2P(Point to point) 스트리밍이 가능한 OSMU(One Source Multi Use) N-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동적 Threshold 기반 멀티캐스트 기술을 제안하고 성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새로운 Hard/Soft Vertical Region(HVR-SVR) 기반 타임 슬롯 할당 기술과 Multicast 자원 예약기술을 결합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동적 Threshold 기반 멀티캐스트 기술은 다양한 서비스 시간 간격 요구를 갖는 실시간 N-스크린 데이터 전송에 있어, 멀티캐스트 및 유니캐스트 전송 DRP 예약 구간을 확장하고 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클라우드 기반의 N-Screen 에뮬레이터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N-Screen Emulator Based on Cloud)

  • 이원주;이정표;윤용익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1-1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기반 N-Screen 에뮬레이터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클라우드 기반 N-Screen 에뮬레이터 설계 방법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이 방법은 서버에서 에뮬레이터의 실체 없이 웹 서비스를 이용하여 브라우저로 에뮬레이터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개인용 컴퓨터 또는 모바일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동일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다양한 디바이스의 각기 다른 웹 브라우저 엔진을 따로 에뮬레이팅 하기 위해 WebKit 엔진을 각 디바이스의 특성에 맞게 수정하고 관리한다. 그리고 기존의 설계 방법에서는 한 화면에 보여줄 수 있는 에뮬레이터 수가 2, 3개로 제한적 이지만, 새로운 설계 방법은 한 서버 당 100개 이상의 에뮬레이터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성능을 향상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