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yzus persicae (Sulzer)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19초

주요 채소에서 발생하는 진딧물의 종류와 발생소장에 관한 연구 (Colonizing Aphid Species and Their Seasonal Fluctuations in Some Vegetable Crops)

  • 김석환;김인수;이문홍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29-132
    • /
    • 1986
  • 무우, 배추, 고추, 오이에 기생하는 진딧물의 종류와 주요종의 발생소장을 $1982{\sim}1984$의 3개년간 살충제 무살포 조건에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우와 배추의 기생진딧물은 복숭아혹진딧물, 무우테두리진딧물, 싸리수염진딧물, 목화진 디물의 4종으로 주요종은 복숭아혹진딧물과 무우테두리진딧물 2종이었다. 2. 고추의 기생진딧물은 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 싸리수염진딧물의 3종으로, 복숭아혹진 딧물과 목화진딧물 2종이 주요종이었고, 오이에서는목화진딧물, 싸리수염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이 기생하나 목화진딧물 1종이 우점종이었다. 3. 순별강우량이 200mm 이상일 때, 진딧물의 밀도는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4. 무우와 배추의 복숭아혹진딧물과 무우테두리진딧물, 고추의 복숭아혹진딧물과 목화진딧물은 두 종간의 상대밀도에 있어서 봄에 다발생한 종은 가을에 소발생하였다.

  • PDF

복숭아혹진딧물 유시충과 무시충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latae and Apterae of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Sulzer) (Homoptera : Aphididae), on Tobacco Plants)

  • 손준수;송유한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3-121
    • /
    • 1994
  • The green peach aphid was relatively the majority(36.9-72.3% ) among all alate aphids collected from tobacco plants. Density of glatae was relatively lower on varieties Tl 1112 and Br 21 than on Va 115 or Y S A among seven varieties tested. However, no considerable difference was observed in general biology of nymphs produced by alatae on the tobacco varieties. About 55% of alate green peach aphid collected from tobacco fields produced progency, and over 80% of the nymphs became adults on cut tobacco leaves in petri dish. Adult longevity of both alate and apteral green peach aphid was shorter, and numbers of nymphs produced by both types were lower in summer than in autumn. Apterae produced more nymphs than alatae, but the longevity of apterae was shorter.

  • PDF

커스타드애플(Annona reticulata L.)씨 추출물과 그 분획물의 살충활성 (Insecticidal activity of the crude extract and its fractions of Custard apple (Annona reticulata L.))

  • 신숙현;최근형;최달순;권오경;임건재;박재읍;최병렬;김태완;김진효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1호
    • /
    • pp.21-24
    • /
    • 2010
  • 커스타드애플(Annona reticulata L.)씨 추출물 및 그의 분획물을 활용하여 복숭아혹진딧물 및 벼멸구를 대상으로 살충활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아세톤/메탄올 조추출물 $3000\;{\mu}g/mL$에서 복숭아혹진딧물은 100%, 벼멸구에 대해서는 92%의 살충률을 나타내었다. 이들에 대한 $LD_{50}$는 각각 $446.3\;{\mu}g/mL$$1423.6\;{\mu}g/mL$로 복숭아혹진딧물이 추출물에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이들의 핵산, 클로로포름, 물 분획물에 대한 분리정제물의 경우 클로로포름 분획물이 조추출물 분획물보다 약 3배 높은 살충능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극성분배를 통해 살충성이 높은 물질군을 선별적으로 정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클로로포름 분획물에 대한 살충능의 경우 $137.2\;{\mu}g/mL$(복숭아혹진딧물), $1145.5\;{\mu}g/mL$(벼멸구)의 농도에서 $LD_{50}$가 관찰되었다.

복숭아혹진딧물, Myzus persicae (Sulzer)(Insecta: Hemoptera: Aphididae), 살진딧물 최적 in vitro 살충력 검정 방법 확립 (An Optimal Standardized in vitro Bioassay to Evaluate Susceptibility of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Sulzer)(Insecta: Hemoptera: Aphididae), to Aphicides)

  • 조가희;김효정;김영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139-147
    • /
    • 2023
  • 진딧물 방제제 개발을 위해 In vitro 경엽살포 검정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신소재 진딧물 방제 제형은 종합방제와 화학농약의 대안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경엽살포 검정방법은 환경이 조절되는 실내에서도 진딧물의 증식과 살충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담배를 기주로 하여 솜과 한천방법을 이용하여 진딧물 방제제 검정을 위한 최적 경엽살포 확립하고자 하였다. 진딧물 검정 챔버에 솜과 한천을 넣은 후 담배 잎과 진딧물 3-4령 약충을 접종하였다. Water-sensitive paper를 이용하여 경엽살포 시에 가장 표면 피복이 높은 최적 경엽살포 거리와 살포량을 확립하였다. 대조구로 물을 처리한 구에서 한천 방법이 솜 방법에 비해 살충율이 낮고, 증식율이 높았다. 솜 검정 방법에는 곤충 검정 챔버의 상대습도를 60% 이상 유지시켰을 때 가장 최적 조건이었지만, 한천 검정 방법에서는 한천의 농도에 상대습도 차이가 없었다. 최적화된 조건하에서 대조화학 농약, Sulfoxaflor, 경엽살포 시 솜 방법에서 살충율이 한천방법보다 빨랐지만, 최종 살충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살진딧물 물질을 검정 시 재현성과 활용성이 가능한 최적화된 증식율과 살충율 검정 조건을 제시하였다.

Bt 양배추가 복숭아혹진딧물의 발육과 기주선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t Cabbage (Brassica oleracea) on the Host Preference and Performance of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Sulzer (Hemiptera: Aphididae))

  • 남기정;김영중;문두범;남경희;백인순;박정호;정순천;한지학;김창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93-197
    • /
    • 2014
  • 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 작물은 대상 해충에 대한 방제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지만, 생태계 내의 다른 비표적 생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 또한 있기 때문에 상업적인 재배에 앞서 이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추좀나방내성 유전자변형 Bt (Cry1Ac1)양배추가 비표적 곤충인 복숭아혹진딧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적인 실험으로서 기주선택실험 및 성장실험을 실시하였다. 기주선택실험에서, 두 개체씩의 Bt 양배추와 모본 양배추에 각각 10마리의 유시 성충(alate virginoparae)을 접종하고, 사흘간 생식(reproduction) 기회를 제공한 후 생산한 약충의 마리수를 측정한 결과, Bt 양배추와 모본 양배추에 낳은 약충의 수가 각각 $21.9{\pm}1.8$$22.5{\pm}2.2$로 비슷하였다. 성장실험에서, 갓 태어난 무시 약충(apterous virginoparae)을 Bt 양배추 및 모본 양배추를 기주로 하여 키웠을 때, 성충이 될 때까지 걸린 시간은 Bt 양배추와 모본 양배추에서 각각 $5.8{\pm}0.2$, $5.9{\pm}0.1$ 일(day)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개체군 생장률(rm) 또한 $0.7{\pm}0.1$, $0.8{\pm}0.1$로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때 Bt 양배추가 복숭아혹진딧물에 미치는 영향이 없거나 미미함을 알 수 있으나, 다양한 관점에서의 보완 연구가 더 필요하다.

인공사료를 이용한 칠성풀잠자리붙이의 사육 (Rearing of a Green Lacewing, Chrysopa pallens Ramber, on Artificial Diets)

  • 최만영;이종진;이건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5-39
    • /
    • 1999
  • 진딧물류의 천적인 칠성풀잠자리붙이(Chrysopa pallens Ramber)를 계란의 난황, 효모가 수분해물, 맥주효모 또는 Vanderzant의 비타민 혼합물, 설탕과 벌꿀 또는 설탕, 카세인가수분해물, 콜레스테롤로 구성된 인공사료를 이용하여 사육하였다. 인공사료의 조성에 따라 1령유충부터 사육한 결과 20~70%가 정상적인 성충으로 자랐으며, 사육성적이 가장 뛰어났던 인공사료를 성충에 먹였을 때 230개의 수정란을 36일간에 걸쳐 산란하였다. 복숭아진딧물의 비지질성분이 지질성분보다 칠성풀잠자리붙이의 발육에 영양원면에서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담배(Burley 21) 포장에서 mineral oil 처리에 의한 감자바이러스Y(PVY-VN) 방제 (Control of Potato Virus Y (PVY-VN) with Mineral Oil Treatment in Tobacco Burley 21 Fields)

  • 채순용;김상석;김영호;박은경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5-122
    • /
    • 2001
  • The effect of mineral oil treatment in Burley 21 tobacco field on the control of potato virus Y(PVY-VN) mostly transmitted by green peach apid(Myzus persicae Sulzer) in nature was studied and the virus infection in some plants including potato, pepper, bramble, radish, etc near the tobacco fields as a virus infection source was tested by capillary tube precipitatioin test with PVY-antibody and bioassay in Xanthi-nc tobacco. The main source of PVY-VN infection in tobacco field in korea was potato(ca. 40% of test plants infected). Pepper and bramble were also infected by PVY-VN. The control level of PVY-VN infection by treatment of 0.75% liquid mineral oil with 3 % nonionic emulsifier to the plants was 84.8 % in case of the artificial transfection with a infected apterous aphid in laboratory. However, the reduction of PVY-VN disease severity in tobacco fields treated with mineral oil at late June was only 35.5%.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neral oil treatment is not so effective for the protection of aphid-born virus(PVY - VN) infection in tobacco fields.

  • PDF

Population Dynamics Pattern of Green Peach Aphid (Homoptera: Aphididae) and Its Predator Complex in a Potato System

  • Ro, Tae-Ho;Garrell E. Lo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2호
    • /
    • pp.217-222
    • /
    • 1998
  •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Sulzer) (Homoptera: Aphididae), interacts with many predatory insects in potato fields during the summer. The concept of the predator complex associated with green peach aphids was applied to explai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aphid and its predators. The predator power of the predator complex was determined by two factors: the number of predators and the relative feeding capacity. The dynamics of the green peach aphid population was expressed by the number of individuals while the predator power was used to characterize the predator complex. Cumulative degree-days for green peach aphids were used as a time scale to analyze phonology and dynamics patterns of the aphid and its predator complex. The patterns of population changes in aphids were similar during the period of study(1993-1995) although the highest density of aphids fluctuated significantly from year to year. However, the predator power appeared more stable than the green peach aphid population over the three year perio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edator complex plays an important role to suppress the aphid populations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season and that the applications of control measures for green peach aphids in between the initiation and the peak timing of aphid populations are critical to minimize the damage on potatoes.

  • PDF

감자 품종별 해충 발생 양상 (Occurrence Pattern of Insect Pests on Several Varieties of Potato)

  • 권민;박천수;함영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5-149
    • /
    • 1997
  • 우리나라에서 감자의 장려품종으로 지정된 7개 품종(남작, 수미, 대지, 세풍, 조풍, 남서, 대서)에 대한 해충의 발생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6년 강릉과 대관령 포장에서 살충제를 처리하지 않고 재배기간동안 해충종류 및 밀도를 조사하였다. 흡즙성해충으로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과 감자수염진딧물(Marcrosiphum euphorbiae Thomas)이, 잎을 가해하는 해충으로는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 유충이, 땅속으로 괴경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 유충이, 땅속에서 괴경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 유충이 각각 우점종으로 밝혀졌다. 품종별 진딧물 밀도는 대지, 남작, 세풍 품종에서 50엽당 평균 22.7, 30. 7, 32.3 마리로 낮은 반면, 수미와 남서 품종은 46.3와 42.3마리로 높았다. 파밤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엽은 세풍과 조풍 품종이 시험구당 평균 11.0과 14.3엽으로 적었고, 대지와 남서 품종이 153.3과 134.7엽으로 많았다. 정동방아벌레 유충에 의한 괴경피해율은 남작, 수미, 대지, 조풍 품종이 8.1, 10.3, 13.9, 14.0%로 낮았으나, 남서와 세풍 품정은 50.5%, 46.8%로 매우 높았다.

  • PDF

심비디움에 발생하는 해충의 종류 (Pests occurring on Cymbidium)

  • 조명래;전성욱;강택준;김형환;안승준;양창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03-408
    • /
    • 2013
  • 수출용 심비디움에 발생하는 해충의 종류와 해충관리 현황을 알아보고자 국내 주요 재배단지 10개 지역 45농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농가에서 채집된 해충의 종류는 응애류(20농가), 깍지벌레류(6농가), 민달팽이류(6농가), 총채벌레류(8농가), 진딧물류(5농가) 노린재류(1농가) 등이었다. 채집한 해충은 현미경을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 대만총채벌레(Frankliniella intonsa Trybom), 난초핀깍지벌레(Pinnaspis aspidistrae Signoret), 민달팽이(Incilaria confusa Cockarel), 썩덩나무노린재(Halyomorpha brevis Walker),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Glover), 무화과깍지벌레(Coccus hesperidum Linnaeus)와 소형달팽이류 1종으로 나타났다. 총채벌레 산란피해로 의심되는 증상의 정확한 동정을 위해 rDNA의 ITS2 부위를 PCR-RFLP 한 결과 아까시총채벌레(Thrips flavus Schrank)와 파총채벌레(Thrips tabaci Lindeman)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수출 심비디움을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이러한 해충들에 대한 종합적인 방제대책을 수립하여 실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