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yoti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5초

애기박쥐과에 속하는 한국산 박쥐류 6종에 대한 핵형학적 연구 (A Karvotvpic Studv on Six Korean Vespertilionid Bats)

  • 유동호;윤명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89-496
    • /
    • 1992
  • The karyotypes of 4 Korean Myotis species (M. mystucinus gracilis, M. jormous tsuensis, M. duubentonii ussuriensis and M. macrodoctvlusp and 2 Pipistrelfus species (p. coreensis and p. abramusl belonging to the Vespertilionidae were examined. The 4 Mvotis species had the karyotypes of 2n : 44 with FN : 50 (M. m. gracilis and M. f. tsuensisl or 52 (M. d. ussuriensis and M. mncrodactylus). Furthermore the karyotype of R obrumus (2n : 26, FN : 441 seemed advanced compared with that of U coreensis (2n : 44, FN : 501 which is similar to the original karyotype of Mvotis species (2n : 44, FN : 50).

  • PDF

박쥐의(Chiroptera) 휴식지로서 교량 이용에 관한 연구 (Use of Bridges as Roosting Site by Bats(Chiroptera))

  • 정철운;한상훈;이정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94-301
    • /
    • 2009
  • 주야간 휴식장소로써 박쥐가 교량(Bridge)을 이용하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7년 7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경상북도 남동부 지역의 수계에 조성된 81개 교량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교량을 휴식장소로 이용하고 있는 종은 관박쥐 Rhinolophus ferrumequinum, 집박쥐 Pipistrellus abramus, 검은집박쥐 Hypsu해 alaschanicus, 우수리박쥐 Myotis petax, 쇠큰수염박쥐 Myotis ikonnikov, 문둥이박쥐 Eptesicus seotinus 등 6종이 확인되었다. 총 7개 유형의 교량 가운데 거더(girder)가 조성되어 있는 3개 유형의 교량에서만 박쥐의 이용이 확인되어 교량에 있어 박쥐의 휴식장소 이용은 교량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적 특징을 제외한 환경요인으로는 교량의 주변 산림, 경작지, 교량 하부의 차량통행 여부 등의 요인이 박쥐의 교량내 휴식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긴꼬리윗수염박쥐(Myotis frater)의 재포획 및 형태적 특징에 관한 연구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ong-tailed Whiskered Bat Myotis frater)

  • 정철운;김성철;전영신;한상훈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29-533
    • /
    • 2017
  • Sightings of long-tailed bats have only been recorded twice in Korea, and their morphology and ecology are virtually unknown. We captured a female long-tailed bat in May 2016, in Gangwon Province, and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has been done for the first time in approximately 30 years. The captured bat had a very small craniofacial area and the length of its tibia was > 19 mm. The wing membrane penetrated the distal portion of the metatarsus of its first toe. The fur of the bat had a lusterless yellowish-brown color and its terminal tail vertebra was free beyond the posterior edge of the uropatagium. It had an obvious lambdoid crest on the lateral side. The anterior and central premolars were located inward with respect to the tooth row. In the mandible, the central premolar was located slightly inward and was nearly 80% of the anterior premolar in height.

한국산 물윗수염박쥐(Myotis daubentonii ussuriensis)의 정자변태 (Spermiogenesis in the Korean Daubenton's Bat(Myotis daubentonii ussuriensis))

  • 손성원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권1호
    • /
    • pp.9-24
    • /
    • 1997
  •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spermiogenesis of the Korean eastern Daubenton's bat, Myotis daubentonii ussuriensis, the testis obtained from mature male bats was studi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were based on the variety and diagnostic characters of cell organell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differentiation of the cell organells, the spermiogenesis of the Korean eastern Daubenton's bat, M. d. ussuriensis, was divided into Golg, cap, acrosome, maturation and spermiation phases. Besides, these Golgi, cap, acrosome, and maturation phase were subdivided into the steps of early and late phases repectively and matruation phase was subdivided into step of early, mid and late phases. Therfore, the spermiogenesisof M. d. ussuriensis has been divided into a total of 11 phases. The chromatin granules began to condense at the early cap phase, regularized at the acrosome phase, and a perfect nucleus of sperm was formed at the maturation phase. The chromatoid body was occurred in the upper cytoplasm of nucleus at the early Golgi phase, and it was accurred the posterior cytoplasm of the nucleus at the early maturatio phase. The formation of sperm tail began to be develop in the early golgi phase, and completed at the spermiation phase. The fiber structure of middle piece was consisted of nine outer doublets and two central singlet microtubules and Nos. 1, 5, 6 and 9 in the outer dense were larger than the others(2, 3, 4, 7, 8).

  • PDF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based on mitochondrial DNA analysis of Ikonnikov's whiskered bat (Myotis ikonnikovi-Chiroptera: Vespertilionidae) from Korea

  • Park, Soyeon;Noh, Pureum;Choi, Yu-Seong;Joo, Sungbae;Jeong, Gilsang;Kim, Sun-So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3권4호
    • /
    • pp.454-461
    • /
    • 2019
  • Background: Ikonnikov's whiskered bat (Myotis ikonnikovi) is found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in Kazakhstan, Russia, Mongolia, China, and Japan. It is small-sized and primarily inhabits old-growth forests. The decrease and fragmentation of habitats due to increased human activity may influence the genetic structure of bat population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lucidate the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M. ikonnikovi using mitochondrial genes (cytochrome oxidase I and cytochrome b).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M. ikonnikovi populations from Korea have high genetic diversity. Although genetic differentiation was not detected for the COI gene, strong genetic differentiation of the Cytb gene between Mt. Jeombong and Mt. Jiri populations was observed. Moreov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ene flow of the maternal lineage may be limited. Conclusions: This study is the first to identify the genetic population structure of M. ikonnikovi. We suggest that conservation of local populations is important for sustaining the genetic diversity of the bat, and comprehensive studies on factors causing habitat fragmentation are required.

큰발웃수염박쥐 (Myotis macrodactylus)의 정상피세포의 분화와 미세구조 (Cell Differentiation and Ultrastructure of the Seminiferous Epithelium in Myotis macrodactylus)

  • 이정훈
    • Applied Microscopy
    • /
    • 제33권1호
    • /
    • pp.25-39
    • /
    • 2003
  • 큰발웃수염박쥐 (Myotis macrodactylus)의 세정관 정상피의 분화과정과 미세구조적 특징들은 알아보기 위하여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정자형성 과정은 4월부터 9월까지로 나타났다. 정자형성세포의 미세 구조적 특징에 있어서, A형 (Ad, Ap)의 정원세포는 기저막 위에 위치하며, Sertoli cell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고, 대부분의 세포는 타원형이다. Ad형은 Ap형 보다 핵과 세포질의 전자밀도가 높은 것이 특징적인 반면에, B형의 정원세포는 구형의 세포로서 A형 정원세포 보다 세포가 크며, Ap형과 마찬가지로 세포질이 밝고, 거의 핵소체가 핵막에 인접되어 있다. 정모세포는 크고 구형이지만, 제 1 정모세포가 제 2 정모세포보다 다소 크다. 정자변태는 골지, 두모, 첨체, 성숙 및 이탈기로 구분하였고, 세포구조물의 특징들에 의해 각각 전 후기로 다시 세분하여 전과정을 9 (기)로 나누었다. 핵질의 변화는 골지후기부터 서서히 응축하기 시작하여, 이탈기에서 완전한 핵을 형성하였다. 정자꼬리의 형성시기는 골지전기에서 형성하기 시작하여 이탈기에서 완성되었다. 동면직전 10월부터 동면기 (11월, 12월, 이듬해 1, 2, 3월)까지는 정자형성 세포의 퇴화과정이 일어났다. 즉 미분화 정자형성 세포들은 세르톨리 세포의 식작용에 의해 포식되어졌는데 이는 동면을 위한 에너지 효율적 이용과 번식조절을 위한 적응 메카니즘이라 여겨진다.

제주도에서 박쥐류의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Bats (Chiroptera) in Jeju Island, Korea)

  • 박수곤;김유경;김태욱;박준호;;김가람;박선미;이준원;한상현;오홍식
    • 환경생물
    • /
    • 제33권4호
    • /
    • pp.394-402
    • /
    • 2015
  • 본 연구는 제주도에 분포하는 박쥐류상 (Chiroptera)을 밝히기 위해 2006년 7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용암동굴, 해식동굴, 진지동굴, 생태통로 등으로 지역을 구분하여 조사되었다. 또한 제주도 내 박물관에 소장된 박쥐류 표본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3과 6속 8종의 박쥐류의 서식이 확인되었는데, 이 결과는 1928년부터 보고된 사전 문헌기록들과는 다소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용암동굴과 진지동굴에서는 관박쥐, 흰배윗수염박쥐, 붉은박쥐, 큰발윗수염박쥐, 긴가락박쥐가 공통적으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해식동굴에서는 1개 지역에서만 관박쥐가 확인되었고, 생태통로에서는 관코박쥐와 집박쥐를 비롯한 5종이 확인되었다. 지역 내 박물관에 소장된 표본조사 결과 큰귀박쥐의 표본도 확인되었다. 연구를 통해 확인된 8종 외에 큰집박쥐, 작은긴가락박쥐, 윗수염박쥐, 쇠큰수염박쥐, M. branditii, 물윗수염박쥐, 작은집박쥐 등 7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흥미로운 점은 멸종위기종으로 알려진 붉은박쥐와 한반도에서는 드물게 발견되는 흰배윗수염박쥐가 제주도에서 서식하는 것이 확인된 것과, 관코박쥐도 조사과정에서 처음으로 발견되는 등 다양한 장소에서 박쥐류가 서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제주도에서 박쥐류의 보전을 위한 생물다양성 연구나 생태학적 연구를 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판단된다.

큰발윗수염박쥐(Myotis macrodactylus)의 혀 유두의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y on the Dorsal Lingual Papillae of Myotis macrodactylus)

  • 황현숙;이정훈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3호
    • /
    • pp.147-156
    • /
    • 2007
  • 본 연구는 큰발윗수염박쥐(M. macrodactylus)의 혀유두의 형태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큰발윗수염박쥐의 혀 유두는 3가지 유형으로 관찰되었다. 사상유두는 혀의 전역에 걸쳐 분포하고 있었으며, 유두의 크기와 모양 및 돌기 수에 따라 5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어졌다. 유형 1은 혀의 전단부의 앞쪽에 위치하며 $10{\sim}15$개 정도의 침상돌기를 갖는 왕관형의 모양을 취하고 있었다. 유형 2는 혀 전단부의 뒤쪽에 위치하며, 유형 1보다 폭이 좁고 길이가 짧은 $8{\sim}10$개 정도의 가시모양의 침상돌기를 가지고 있었다. 유형 3은 혀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5개 정도의 비늘모양의 침상돌기를 가지고 있었다. 유형 4는 혀 후단부의 중앙부위의 양 측면에 위치하며, 침상돌기가 없는 작은 원뿔형이었다. 유형 5는 혀 후단부의 양 측면에 위치하며 침상돌기가 없는 큰 원뿔형이었다. 융상유두는 대부분 혀의 양 측면과 혀 후단부의 중앙부위에 위치하며, 약 $40{\sim}45$개 정도로서 원형 또는 타원형의 유두였다. 혀 전단부의 끝에는 소형(직경 $65{\mu}m$), 혀의 양 측면에는 중형(직경 $75{\mu}m$) 그리고 혀 후단부의 중앙에는 대형(직경 $120{\mu}m$)의 융상유두가 존재하고 있었다. 유곽유두는 타원형의 형태로서, 혀 후단부의 중앙부위에 2개가 존재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혀 유두의 형태는 Myotis 종 사이에서 종의 관계를 결정하는데 유용하여, 이러한 다양한 유형의 혀 유두와 수적인 차이는 식이습성에 따른 차이라고 여겨진다.에서 얻은 시험 결과가 굴착 중 지중연속벽의 변형을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AFM)과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을 통해 관찰한 GST 다층박막시료의 고온 열처리 전후 표면미시거칠기 변화도 PRAM 기록기를 사용할 때에는 in-situ 타원계를 사용할 때보다 1/10 정도의 크기를 보여주어 PRAM 기록기와 분광타원계를 사용하여 결정한 GST의 고온광학물성의 신뢰성을 확인하여 주었다.>, 여자 $179.1{\pm}37.2%$이었다. 평균필요량에 비해 가장 낮은 양을 섭취한 영양소는 엽산으로서 남자 $60.1{\pm}10.8%$, 여자 $54.6{\pm}9.9%$로 조사되었다. 칼슘의 섭취량은 평균필요량에 비해 전체 $74.9{\pm}31.9%$로 나타났다. 에너지 섭취량에 있어서 남자 노인들은 모두가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을 섭취하고 있었고 여자 노인의 경우에도 97%가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을 섭취하여 에너지 섭취량이 매우 낮았다 반면에 단백질 섭취량에 있어서는 남자 노인의 경우 100%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였고, 여자 노인의 경우에는 91%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여 대조적이었다. 비타민 A와 E는 각각 평균필요량과 충분섭취량의 125%를 초과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에 비타민 $B_2$는 특히 남자 노인에서 평균필요량의 75%미만을 섭취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엽산 섭취량에 있어서는 평균필요량의 75% 미만을 섭취한 비율이 전체 96%로 나타나 심각한 부족상태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철의 섭취량은 남녀 모두 100%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여 섭취한

한국 박쥐의 한타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혈청면역학적 연구 (A Seroimmunologic Study of Bats Infected with Hantavirus in Korea ($1989{\sim}1995$))

  • 박은병;조규봉;박철희;이연태
    • 대한바이러스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1-99
    • /
    • 1996
  • To understand whether the bats inhabiting in Korea play role as hosts harboring Hantavirus that cause acute febrile diseases, a total number of 802 bats of 9 species were collected from seven provinces in Korea from 1989 to 1995 and tested for the presence of antibodies to Hantavirus by means of immunofluorescent antibody (IFA) techniqu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1. Total 802 captured bats were classified into 9 different species with the following distribution. They were Rhinolophus ferrumequinum, Eptesicus serotinus, Miniopterus sehreibersii, Vespertilio superans, Myotis mystatinus, Murina leucogaster, Myotis formosus, Myotis macrodactylus and Plecotus auritus with numbers and rates of 423 (52.74%), 291 (36.28%), 47 (5.86%), 28 (3.49%), 8 (1.00%), 1 (0.12%) and 1 (0.12%), respectively. The predominant species of the bats was Rhinolophus ferrumequinum with 52.74% of the captured. 2. Among 9 species of bats, species of Rhinolophus ferrumequinum and Eptesicus serotinus were positive with Hantavirus antibody of strain numbers 76-118. The rate of antibody positive was 3.78%. 3. The seasonal differences of Hantavirus antibody in 802 bats tested were 5.83%, 4.17%, 3.67% and 0.64% in winter, spring, summer and autumn, respectively. Again the highest viral antibody prevalence was detected in winter. It could be concluded through the study that certain species of bats inhabiting in Korea play a definite role as the host animals of certain species of Hantaviru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