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ycobacterium

검색결과 640건 처리시간 0.034초

Differentiation of four Mycobacterium Species using DNA-DNA Hybridization Method using Specific Probes

  • Kweon, Tae-Dong;Bai, Sun-Joon;Hong, Seong-Karp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12-1014
    • /
    • 2013
  • DNA-DNA hybridization method with four oligonucleotide-specific probes was used simultaneously for differentiation and identification of four Mycobacterium species (Mycobacterium tuberculosis, M. avium, M. intracellulare, and M. kansasii). This DNA-DNA hybridization method with 4 oligonucleotide-specific probes, which targets in the rpoB region of 4 Mycobacteria species, respectively, was tested on 322 clinical isolates. Using DNA-DNA hybridization method, we detected M. tuberculosis (282 strains), M. avim (7 strains), M. intracellulare (9 strains), and M. kansasii (3 strain) from 322 clinical isolates. This result w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biochemical test and rpoB DNA sequence analysis of this clinical isolates. We confirmed identifica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M. avium, M. intracellulare, and M. kansasii with high sensitivity (100 %) and specificity (100 %). This DNA-DNA hybridization method could be performed within 4 hours at least. Therefore, we suggest that DNA- DNA hybridization method using 4 rpoB DNA probes of Mycobacteria could be used for accurate, rapid, convenient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M. avium, M. intracellulare, and M. kansasii in clinical samples.

  • PDF

Mixed Infection of Mycobacterium abscessus subsp. abscessus and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 the Lung

  • Sohn, Sungmin;Wang, Sungho;Shi, Hyejin;Park, Sungrock;Lee, Sangki;Park, Kyoung Taek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0권1호
    • /
    • pp.50-53
    • /
    • 2017
  • A mixed infection of Mycobacterium abscessus subsp. abscessus (Mab) and 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 in the lung is an unusual clinical manifestation and has not yet been reported. A 61-year-old woman had been treated for Mab lung disease and concomitant pneumonia, and was diagnosed with pulmonary tuberculosis (PTB). Despite both anti-PTB and anti-Mab therapy, her entire left lung was destroyed and collapsed. She underwent left pneumonectomy and received medical therapy. We were able to successfully treat her mixed infection by pneumonectomy followed by inhaled amikacin therapy.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us far, this is the first description of a mixed Mab and MTB lung infection.

폐결핵환자에서 비정형항산균의 분리, 동정 및 약제감수성에 관하여 (Studies on Identification and Drug Resistance of Atypical Mycobacteria isolated from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 정동현;김성광;김주덕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권1호
    • /
    • pp.49-58
    • /
    • 1984
  • 폐결핵 환자의 객담으로 부터 비정형항산균의 배균여부를 규명하기 위하여 세균학적 시험 및 임상적 조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객담 334예에서 항산균 103주 (30.8%)를 분리 배양하였다. 2. 분리배양된 항산균주에서 비정형항산균으로 감별된 균주는 10주(9.7%)이며 인형결핵균주는 93주(90.3%)이였다. 3. 감별된 비저형항산균주는 Runyon군별로는 암착색균군, 광비발색균군이 각각 3주 (30.0%)씩이며 신속발육균군이 4주(40.0%)였으며 광발색균군은 분리되지 않았다. 4. 생물학석 성상 및 생화학적 특성시험 양상에 의해 암착색균군 3주 중 2주는 Mycobacterium scrofulaceum, 1주는 Mycobacterium szulgai로, 광비발색균 3주 중 2주는 Mycobacterium avium complex, 1주는 Mycobacterium terrae로 동정되였으며, 신속발육균주 4주중 3주는 Mycobacterium fortuitum, 1주는 Mycobacterium chelonei로 등정되었다. 5. 항결핵제에 대한 시험관내 약제감수성검사에서 INH, SM에서는 10주가 전부 내성을 나타내었으며, EB, TH, 및 CS의 저농도인 10mcg, 50mcg, 및 40mcg에서 완전내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EB, TH, 및 RFP의 고농도인 20mcg, 및 100mcg,에서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6. 비정형항산균이 배균된 환자의 X-선소견 및 임상적 소견 조사에서는 인형결핵균 감성으로 인한 폐결핵 환자의 증상에 비해 경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장기간 항결핵제의 투여치로 되어 왔으나 대부분 호전되지 않았다.

  • PDF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이용한 결핵의 진단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o the Diagnosis of Tuberculosis)

  • 김호중;김영환;한성구;심영수;김건열;한용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6호
    • /
    • pp.517-525
    • /
    • 1992
  • 연구배경 : 1985년 Saiki등에 의해, 특정한 DNA를 연속적으로 복제할 수 있는 방법인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이 개발된 이래, PCR은 검체내에 극미량으로 존재하고 있는 병원체의 진단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었다. 결핵균의 진단방법중, 도말염색 방법은 감수성이 낮아서 문제가 되고 있으며, 배양은 감수성은 높으나 기간이 오래 걸려서 임상적으로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저자들은 Mycobacterium tuberculosis의 특이 단백질인 65 kD mycobacterial antigen을 encoding하는 2520 base pair DNA중, 383 base pair DNA를 이용한 PCR과 IS6110 fragment의 일부인 123 base pair DNA를 이용한 PCR을 시행하여, 이의 감수성과 특이도를 알아보고 폐결핵 환자의 객담을 검체로한 결핵의 조기진단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 M. tuberculosis (H37Rv, H37Ra), M. avium, M. intracellulare, M. scrofulaceum 균주와 환자의 객담에서 DNA를 추출하여, 383 base pair DNA 양끝의 20 base pair DNA primer (TB-1, -2)와 IS6110 fragment 일부의 DNA 양끝의 20 base pair DNA primer (Sal I-1, -2) 로 PCR을 시행하였으며, 전기 영동후 자외선 발광으로 확인하였다. 결과 : 1) Ethidium bromide 염색후 발광경하에서, Mycobacterium tuberculosis (H37Rv, H37Ra)와 Mycobacterium bovis는 TB-1, -2 primer와 Sal I-1, -2 primer를 이용한 PCR에서 모두 양성을 보였고 Mycobacter intracellulare와 Mycobacterium scrofulaceum은 TB-1, -2 primer를 이용한 PCR에서만 양성을 보였다. 2) Southern Blot 분석에는 두쌍의 primer 모두에서 Mycobacterium tuberculosis (H37Rv, H37Ra)와 Mycobactgerium bovis만이 양성을 나타내었으며 Mycobacterium intracellulare 와 Mycobacterium scrofulaceum은 음성을 나타내었다. 3) Mycobacterium tuberculosis (H37Rv)를 순차적으로 희석하여 시행한 PCR에서 두쌍의 primer 모두에서 Mycobacterium 균 1개체에 해 당되는 1 fg DNA까지 양성을 나타내었다. 4) 임상적으로 진단받은 결핵환자의 시행한, Sal I-1, -2 primer를 이용한 PCR에서 도말 검경 양성군의 객담 29예중 28예인 96.6%에서 양성을 나타내었으며, 도말 정경 음성-배양 양성군에서는 5예중 4예(80.0%), 그리고 도말 검경 음성-배양 음성군에서는 26예중 6예(23.1%)가 양성을 나타내었고 음성 대조군 검체 16예에서 2예(12.5%)에서 양성을 나타내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PCR은 객담에서의 결핵균의 진단에 있어, 배양과 견줄 수 있는 특이도와 예민도를 보이고 있어, 특정한 경우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추후 방법의 개선을 위한 연구가 계속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ycobacteria에 적용 가능한 genetic tool로서의 새로운 vector system 개발 (Development of New Vector Systems as Genetic Tools Applicable to Mycobacteria)

  • 정지아;이하나;고인정;오정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90-298
    • /
    • 2013
  • Mycobacterium 속은 Mycobacterium tuberculosis, Mycobacterium leprae, Mycobacterium bovis와 같은 동물과 인체에 병원성을 나타내는 세균 종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 이들의 숙주에서의 생존과 병원성에 관한 유전학적 정보를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효과적인 유전학적 도구가 부족하였기 때문에 이들에 관한 연구가 미비하였다. 따라서 mycobacteria의 연구를 위한 분자생물학적 실험 도구로서 다양한 기능성 vector들이 고안되었고, 이러한 기능성 vector의 개발은 실질적으로 mycobacteria에서의 연구 효과를 증진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Mycobacterium smegmatis에 적용 가능하고 기존에 제시되었던 mycobacteria 연구에 있어서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기능성 vector인 temperature-sensitive replication origin (TSRO)과 counterselectable marker로 levansucrase를 암호화하는 sacB 유전자를 포함하는 suicide vector pKOTs, chromosomal DNA로 site-specific recombination을 통해 삽입되는 lacZ transcriptional fusion vector pMV306lacZ, 그리고 TSRO를 가지는 minitransposon vector pTnMod-OKmTs를 개발하였다. 이 vector들은 실질적으로 M. smegmatis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목적으로 하는 실험 결과 도출 가능성 또한 보여주었다. 따라서 이들 vector는 앞으로의 mycobacteria에 대한 효과적인 연구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마이코박테리움을 신속하게 배양할 수 있는 성장 인자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Growth Factors for Rapidly Cultivating Mycobacterium spp.)

  • 하성일;박강균;석현수;신정섭;신동필;권민오;박연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77-184
    • /
    • 2019
  • Mycobacterium은 느리게 성장한다. 따라서 고체배지는 8주, 액체배지는 6주 동안 사용하여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Mycobacterium을 빠르게 성장시킬 수 있는 성장 인자를 찾고, 신속한 동정을 위한 고체배지를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Difco^{TM}$ Mycobacteria 7H11 agar (Becton, Dickinson and Company)에 activated charcoal, defibrinated sheep blood, L-ascorbic acid를 첨가하여 10종의 Mycobacteria 가지고 Mycobacterium 성장 인자 3가지를 평가하였다. 집락의 검출 시간 및 판독 용이성을 현재의 방법과 비교하였다. 빠르게 성장하는 Mycobacterium 있어 새로운 배지와 기존의 배지에서 검출 시간의 차이는 새로운 배지가 더 빠르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M. kansasii와 M. intracelluare는 7H11 배지보다 7H11 C 배지에서 더 빠르게 자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TB는 7H11 C 배지에서 다른 배지보다 빠르게 성장하였다. 이 연구는 2 두 가지 성장 인자가 빠르게 성장하는 Mycobacteria과 느리게 성장하는 Mycobacteria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7H11 C 배지는 색상 대비로 인하여 10종의 모든 Mycobacterium에서 기존배지보다 더 뛰어난 판독 용이성을 보여 주었다. 특히, MTB가 성장했을 경우 집락의 크기가 다른 배지에서 보다 커서 시각화가 용이하였다.

지속적외래복막투석 환자에서 발생한 $Mycobacterium$ $abscessus$에 의한 출구 감염 및 농양 1예 (A Case of Exit-Site Infection and Abscess by $Mycobacterium$ $abscessus$ in a CAPD Patient)

  • 정선영;나지훈;조규향;박종원;도준영;윤경우;송인욱;조정환;손창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6권2호
    • /
    • pp.137-142
    • /
    • 2009
  •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infections are a rare, but clinically important cause of infections in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CAPD) patients. This is typically suspected when a patient does not respond to treatment with the usual antibiotics. We describe here a case of $Mycobacterium$ $abscessus$ exit site infection with abdominal wall abscess formation that was associated with CAPD, which required peritoneal catheter removal, surgical debridement of the abscess and long term antibiotic therapy.

  • PDF

Non-Tuberculous Mycobacterium Induced Pseudoaneurysm of the Common Carotid Artery

  • Lee, Hae Young;Cho, Seong Ho;Kim, Hyun Su;Moon, Jeong Min;Lee, Sangho;Kim, Jong I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9권6호
    • /
    • pp.468-471
    • /
    • 2016
  • An 81-year-old male patient presented with complaint of a pulsating neck mass. The patient had a previous history of cervical lymphadenopathy by non-tuberculous mycobacterium infection. Rapid growth of the mass on admission and contrast enhanced computed tomography of the neck resulted in a diagnosis of non-tuberculous mycobacterium induced pseudoaneurysm. The patient underwent emergency open repair of the pseudoaneurysm. Pseudoaneurysm of the common carotid artery is regularly reported, but here we report a rare case of non-tuberculous mycobacterium induced pseudoaneurysm of the common carotid artery.

Inhibition of the DevSR Two-Component System by Overexpress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PknB in Mycobacterium smegmatis

  • Bae, Hyun-Jung;Lee, Ha-Na;Baek, Mi-Na;Park, Eun-Jin;Eom, Chi-Yong;Ko, In-Jeong;Kang, Ho-Young;Oh, Jeong-Il
    • Molecules and Cells
    • /
    • 제40권9호
    • /
    • pp.632-642
    • /
    • 2017
  • The DevSR (DosSR) two-component system, which is a major regulatory system involved in oxygen sensing in mycobacteria, plays an important role in hypoxic induction of many genes in mycobacteria. We demonstrated that overexpression of the kinase domai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 PknB inhibited transcriptional activity of the DevR response regulator in Mycobacterium smegmatis and that this inhibitory effect was exerted through phosphorylation of DevR on Thr180 within its DNA-binding domain. Moreover, the purified kinase domain of Mtb PknB significantly phosphorylated RegX3, NarL, KdpE, TrcR, DosR, and MtrA response regulators of Mtb that contain the Thr residues corresponding to Thr180 of DevR in their DNA-binding domains, implying that transcriptional activities of these response regulators might also be inhibited when the kinase domain of PknB is overexpressed.

An Unusual Case of Post-Operative Spondylitis Caused by $Mycobacterium$ $Intracellulare$ in an Immunosuppressed Patient

  • Kim, Sung-Hoon;Son, Dong-Wuk;Lee, Sang-Weon;Song, Geun-S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0권5호
    • /
    • pp.460-463
    • /
    • 2011
  • There are few reported cases of post-operative spondylitis caused by $Mycobacterium$ $Intracellulare$. A 75-year-old female presented to our hospital with low back pain and paraparesis after a fall. The radiologic examination revealed compression fractures of L1, L3 and L4 and an epidural hematoma compressing the spinal cord. The dark-red epidural hematoma was urgently evacuated. Four weeks post-operatively, neurologic deficits recurred with fever. On magnetic resonance image, an epidural abscess and osteomyelitis were detected in the previous operative site. Five weeks post-operatively, revision was performed with multiple biopsies. The specimen were positive for acid-fast bacilli and traditional anti-tuberculous medications were started. Because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non-tuberculous mycobacterium (NTM) was positive, the anti-tuberculous medications were changed to anti-NTM drugs. However, the neurologic deficits did not improve and persistent elevation of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C-reactive protein were noted. Eight weeks after the revision, $Mycobacterium$ $Intracellulare$ was detected in the specimen cultures. Despite supportive care with medication, the patient died due to multiple organ fail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