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ycelial viability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초

장기 저장 후 느티만가닥버섯(Hypsizygus marmoreus) 균주의 균사 생존력과 재배 특성에 대한 연구 (Mycelial viability and cultivation characteristics of Hypsizygus marmoreus after long-term storage in different conditions)

  • 이혜정;노현수;김종국;이창윤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9-34
    • /
    • 2014
  • 본 연구는 다양한 조건에서 장기 보존한 느티만가닥버섯 균주의 균사 생존력과 재배성능 검증을 수행하였다. 균사 생존력은 장기 보존된 균주를 9, 21, 33, 45개월 단위로 해동하여 PDA 평판배지에 접종한 다음 1, 2, 3, 4, 5차 계대배양에 따른 균사 생장길이를 측정하여 검증하였다. 액체질소에 보존한 균사를 해동 직후 실시한 1차 계대배양에서는 동결보호제로써 Glycerol 10%를 단용으로 처리한 실험구에서 균사생장이 저조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5차 계대배양에서는 버섯 균사의 생장력이 다른 실험구와 동일한 수준으로 회복되어, 저장방법에 따른 균사의 생존력에는 큰 영향이 없는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느티만가닥버섯을 액체 질소에 장기간 보존하고자 할 때는 동결보호제로 사용되는 Glycerol 10%에 Trehalose 5%를 첨가하여 보존해야 균사의 생존력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장기 저장에 따른 느티만가닥버섯 균주의 재배 성능 시험에서는 $4^{\circ}C$ 사면배지에 보호제로써 mineral oil을 사용하는 것이 사면배지 자체로 보존하는 것에 비해 수확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므로 장기 저장시에 mineral oil을 사용하는 것은 지양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멸균 증류수를 사용한 담자균류 버섯 균주의 보존 (Preservation of Mushroom Cultures in Sterile Distilled Water)

  • 이동훈;김창진;신광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1호통권84호
    • /
    • pp.91-96
    • /
    • 1998
  • 국내에서 채집, 분리한 12종 버섯류의 균사를 대상으로 하여 멸균 증류수를 이용한 최적 보존 방법을 탐색하였다. 온도, cryoprotectant의 종류 및 농도 등의 조건을 달리하여 12개월간 보존 후 생존을 및 생장속도를 측정한 결과, 보존 온도는 상온과 $5^{\circ}C$가 최적으로 대상 균주 거의 모두가 생존하여 91.7%의 생존율을 보였다. 균사의 생장속도는 저온인 $-75^{\circ}C$에 보존하였을 때 가장 높았으며, 이 온도에서 보존시 polyethylene glycol를 cryoprotectant로 첨가하였을 때 최대의 생존율이 관찰되었다. 향기갈색깔대기버섯(H. ferrugineum)을 대상으로 하여 계대배양으로 보존한 균주와 $5^{\circ}C$에서 보존한 균주의 세포내 laccase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 효소의 활성양상이 동일하게 나타났다.

  • PDF

저온보존기간이 담자균류의 균사생장과 목질분해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servation Period at Low Temperature on the Mycelial Growth and the Lignocellulolytic Enzyme Activities of Basidiomycetes)

  • 정연석;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22-327
    • /
    • 2014
  • 계대배양은 균류의 보존을 위해 가장 일반적 방법이지만, 반복된 계대배양을 하는 동안 저절로 변이들이 축적된다는 단점이 있다. 계대배양의 횟수를 줄이기 위해, 사면배지에서 $4^{\circ}C$로 보존하는 것의 효과를 다양한 균주들의 균사생장과 목질 분해효소의 활성을 통해 조사해보았다. 갈색꽃구름버섯, 갈색먹물버섯, 구름버섯, 노란개암버섯, 복령, 산느타리, 자작나무버섯, 잔나비불로초를 포함한 버섯들은 2년 이상의 보존기간에도 영향을 받지 않아서, 이는 2년에 한번 계대배양을 하여도 유지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이외의 실험 균주들은 2년이 지났을 경우 활력과 효소의 활성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년에 한 번 계대배양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균사 생장력의 회복과 세포외 효소의 활성은 약간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존기간에 따른 균사활력 및 효소의 활성은 균류 보존의 횟수를 정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Artificial Cultivation Characteristics and Bioactive Effects of Novel Tropicoporus linteus (Syn. Phellinus linteus) Strains HN00K9 and HN6036 in Korea

  • Min, Gyeong-Jin;Kang, Hee-Wan
    • Mycobiology
    • /
    • 제49권2호
    • /
    • pp.161-172
    • /
    • 2021
  • Phellinus strains were collected from different areas in Korea. Of them, the fast mycelial growing strains were artificially cultivated on the oak logs to produce fruiting body. The varieties, Phellinus linteus ASI26099 (Korea Sanghwang) and P. baumii PBJS (Jangsoo Sanghwang) were grown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controls. Their cultivating characteristics including mycelial colonization, pinhead formation, and fruiting body formation rate were investigated on the logs. Basidiocarps of Phellinus strains HN00K9, HN6036, and ASI26099 were concentrically zonate and shallowly sulcate, and dark chestnut showing typical characteristics of Tropicoporus linteus (synonyum: P. linteus, Inonotus linteus, polyporus linteus), which is distinguishably different to PBJS. HN00K9 showed the highest yield of fruiting body among the mushroom strains. The β-glucan content in fruiting bodies of HN00K9 was 20% higher than those of other strains. Bioactive effects of polysaccharide samples from fruiting bodies of Phellinus strains, HN00K9, HN6036, ASI26099, and PBJS were assessed on cell viability and cytokine (IL-6 and TNF-α) inhibition and finally on anticancer to different human cancer cells.

파드득나물 균핵병균(Sclerotinia sclerotiorum)의 균핵 헝성 및 생존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Sclerotia Formation and Viability of Sclerotinia sclerotiorum Causing Sclerotiorum Rot of Cryptotaenia japonica)

  • 장석원;이한범;김성기
    • 식물병연구
    • /
    • 제9권1호
    • /
    • pp.47-51
    • /
    • 2003
  • 남양주, 양주, 양평에서 파드득나물 균핵병의 발생생태를 조사한 결과, 균핵병은 늦가을부터 초봄까지 주로 동계기간에 발생했으며, 지역별로는 양평에서 발생이 심했다. 포장에서 분리한 파드득나물 균핵병균은 기보고된 Sclerotinia sclerotiorum의 균학적 특성과 일치하였고, 균사생장은 5~3$0^{\circ}C$에서 이루어졌으며, 15~3$0^{\circ}C$에서 활발하게 생장하였다 균핵형성은 20~$25^{\circ}C$에서 많이 형성되었으며, 낮은 온도에서 형성된 균핵의 크기가 큰 경향이었다. 균핵생존율은 균핵크기가 작을수록(~2 mm > 3~4 mm > 5 mm~) 높았으며, 치상온도에서의 정치시간이 길수록 높게 나타났다.

Carbon Source Affects Synthesis, Structures, and Activities of Mycelial Polysaccharides from Medicinal Fungus Inonotus obliquus

  • He, Huihui;Li, Yingying;Fang, Mingyue;Li, Tiantian;Liang, Yunxiang;Mei, Yuxi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6호
    • /
    • pp.855-866
    • /
    • 2021
  • The effects of various carbon sources on mycelial growth and polysaccharide synthesis of the medicinal fungus Inonotus obliquus in liquid fermentation were investigated. After 12-d fermentation, mycelial biomass, polysaccharide yield, and polysaccharide cont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lc+Lac group (glucose and lactose used as combined carbon source) than in other groups. Crude polysaccharides (CIOPs) and the derivative neutral polysaccharides (NIOPs) were obtained from mycelia fermented using Glc, fructose (Fru), Lac, or Glc+Lac as carbon source. Molecular weights of four NIOPs (termed as NIOPG, NIOPF, NIOPL, and NIOPGL) were respectively 780.90, 1105.00, 25.32, and 10.28 kDa. Monosaccharide composition analyses revealed that NIOPs were composed of Glc, Man, and Gal at different molar ratios. The NIOPs were classified as α-type heteropolysaccharides with 1→2, 1→3, 1→4, 1→6 linkages in differing proportions. In in vitro cell proliferation assays, viability of RAW264.7 macrophages was more strongly enhanced by NIOPL or NIOPGL than by NIOPG or NIOPF, and proliferation of HeLa or S180 tumor cells was more strongly inhibited by NIOPG or NIOPGL than by NIOPF or NIOPL, indicating that immune-enhancing and anti-tumor activities of NIOPs were substantially affected by carbon source. qRT-PCR analysis revealed that expression levels of phosphoglucose isomerase (PGI) and UDP-Glc 4-epimerase (UGE), two key genes involved in polysaccharide synthesis, varied depending on carbon source. Our findings, taken together, clearly demonstrate that carbon source plays an essential role in determining structure and activities of I. obliquus polysaccharides by regulating expression of key genes in polysaccharide biosynthetic pathway.

영지버섯 균주별 균사체 추출물의 항염,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능 비교 분석 (Comparison of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anti-allergic effects of Ganoderma species mycelial extracts)

  • 박영진;남재영;윤대은;권오철;김홍일;유영복;공원식;이창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1-115
    • /
    • 2013
  • 본 연구는 다양한 영지버섯 균주의 균사체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능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G. species ASI-7150 (흑영지), G. lucidum ATCC46755 (Canada), G. species ASI-7151 (흑룡), G. lucidum ATCC64251(Taiwan), G. neo-japonicum ASI-7032, 및 G. lucidum ASI-7071 (영지2호)의 균사체 추출물 항산화 효과를 분석한 결과 G. species ASI-7150 (흑영지) 의 균사체추출물에서 DPPH radical scavenging 활성이 가장 높았다. 항염활성 분석에서는 G. lucidum ATCC64251 (Taiwan)의 균사체 추출물을 처리하였때 NO 생성 저해능이 가장 좋았다. 또한 G. lucidum ATCC64251 (Taiwan)의 균사체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beta}$-hexosaminidase 생성억제율이 가장 좋았다. MTT assay를 통하여 각 영지버섯 균사체 추출물은 세포 생존율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러한 선행 연구결과는 추후에 국내 및 국외 품종 등 다양한 영지버섯 균사체의 약리효과 분석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enomyl-Resistant Mutants in an Entomopathogenic Fungus, Metarhizium anisopliae

  • Kim Soon Kee;Shim Hee Jin;Roh Jong Yul;Jin Byung Rae;Boo Kyung Saeng;Je Yeon H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0권2호
    • /
    • pp.119-123
    • /
    • 2005
  • Benomyl-resistant mutants of entomopathogenic fungus, Metarhizium anisopliae were isolated and their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These militants were obtained spontaneously or by UV irradiation in benomyl-treated media. Four spontaneous (S-2, S-11, S-18, S-19) and four UV-induced (UV-4, UV-5, UV-19, UV-24) mutants, which grow stably and normally were selec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idia or hyphal shape, conidia viability, mycelial biomass, or virulent to the diamondback moth were observed between the wild type and their mutants. But differently from the mycelial growth of other benomyl-resistant mutants which was slower than that of the wild type on a modified Czapek-Dox, SDAY, $4\%$ chitin, or $1\%$ skim milk medium, that in the spontaneous mutants, S-18 and S-19, did not show any difference from the wild type. Especially, S-18 and S-19 grew well at benomyl concentrations up to 50 times or higher than that which inhibits wild type prolifera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18 and S-19 could potentially be used with the fungicide, benomyl.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on Postharvest Fungal Pathogens

  • Jeong, Rae-Dong;Shin, Eun-Jung;Chu, Eun-Hee;Park, Hae-J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1권2호
    • /
    • pp.176-180
    • /
    • 2015
  • Postharvest diseases cause losses in a wide variety of crops around the world. Irradiation, a useful nonchemical approach, has been used as an alternative treatment for fungicide to control plant fungal pathogens. For a preliminary study, ionizing radiations (gamma, X-ray, or e-beam irradiation)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fungal activity against Botrytis cinerea, Penicillium expansum, and Rhizopus stolonifer through mycelial growth, spore germination, and morphological analysis under various conditions. Different fungi exhibited different radiosensitivity. The inhibition of fungal growth showed in a dose-dependent manner. Three fungal pathogens have greater sensitivity to the e-beam treatment compared to gamma or X-ray irradiations. The inactivation of individual fungal-viability to different irradiations can be considered between 3-4 kGy for B. cinerea and 1-2 kGy for P. expansum and R. stolonifer based on the radiosensitive and radio-resistant species, respectively. These preliminary data will provide critical information to control postharvest diseases through radiation.

목련(Magnolia kobus DC.)에서 분리한 흰비단병균(Sclerotium rolfsii Sacc.)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clerotium rolfsii Sacc. isolated from Magnolia kobus DC. in Korea)

  • 김기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05-133
    • /
    • 1974
  • 본 연구는 목련에서 분리한 흰비단병균 Sclerotimu rolfsii Sacc.의 분화형을 밝히고 균계생장 및 균핵형성에 대한 영양생리를 구명코저 vitamin, 질소원, 탄소원의 효과를 검토했으며 또 본 균과 Penicillium sp.와의 생태적 관계를 해명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본 균의 균계생장 및 균핵형성에 대한 Penicillium 배양여액의 촉진효과와 그 요인을 밝히려고 시도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서 적요하면 다음과 같다. 1. 목연에서 분리한 흰비단병균 제1형, 축2형은 배지상의 성상이나 생리적 성질 펄 병원성이 상이하였다. 특히 목연 아카시아에 대한 병원성은 양자 동일하나 콩이나 오이에 대해서는 제2형균이 제1형균보다 더 강하였다. 2. 공시된 14종의 질소원중 $KNO_2$와 glycine을 제외하고는 모두 thiamine hydrochloride 10r/l가 첨가되었을 때 비로소 공시균의 균계생장 및 균핵형성에 이용되었다. 질소의 형태별로 보면 균계생장에 있어서는 $NO_3-N$보다는 $NH_4-N$이 훨씬 더 효과적이며 organic N은 화합물에 따라 상이하였다. 그러나 균핵형성에 있어서는 이와 반대로 $NO_3-N$이 효과적이었다. $NO_2-N$은 균계생장이나, 균핵형성에 전혀 효과가 없었다. 3. 공시 탄소원 7종도 대체적으로 thiamine이 존재하지 않는 한 균계생장이나 균핵형성에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 thiamine이 첨가될 경우 균계생장에 있어서 glucose와 saccharose가 가장 효과적이고 maltose와 soluble starch는 효과가 적었으며 xylose, lactose, glyceline은 전혀 효과가 없었다. 균핵형성에 있어서는 loctose를 제외하고는 전구에서 균핵형성을 보였으며 모두 비슷한 효과를 나타냈다. 4. 배지중의 질소원이 동일수준이면 탄소원이 증가함에 따라 균계생장량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질소원의 량에는 한도가 있는 것으로 질소 0.5g/l이상에서는 오히려 균계생장이 억제되었다. 그러나 균핵형성에 있어서는 탄소원의 증가에 따라 균핵형성량이 저하하였다. 5. 공시균은 thiamine 결핍균으로서 균계생장 최적 thiamine 농도는 20r/l이고 이 농도를 초과하면 오히려 균계생장이 억제되는데 150r/l에서는 무첨가구와 거의 같은 정도로 억제되었다. 6. 공시균의 생장에 있어서 thiamine의 첨가에 따른 질소원리용도는 $NH_4NO_3>(NH_4)_2SO_4>asparagine>KNO_3$의 순위이며 질소원별 thiamine 최적요구량은 $KNO_3$인 경우 12r/l, asparagine인 경우 16r/l 정도였다. 균핵형성량에 있어서는 $KNO_3>NH_4NO_3>asparagine>(NH_4)_2SO_4$의 순위로서 thiamine 최적량은 $KNO_3,\;NH_4NO_3$인 경우 8r/l에서 전균핵생산량의 대부분이 형성되나 asparagine인 경우에는 16r/l 정도였다. 7. 배양액의 pH는 공시균이 생장을 개시하자마자 3.5정도로 급격히 떨어지나 그 이후부터는 생장량이 증가함에 따라 완만하게 떨어졌다. 그러나 pH2.2 이하로는 더 내려가지 않았다. 8. 공시균의 균계생장에 대한 각종 vitamin의 상호효과는 thiamine, biotin, pyridoxine, inositol의 4가지 조합에 있어서도 thiamine이 첨가되지 않은 곳에서는 거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thiamine+pyridoxine, thiamine+inosital, thiamine+biotin+pyridoxine, thiamine+pyridoxine+inositol구에 있어서는 thiamine 단독 첨가구와 동등 혹은 그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지만 thiamine+biotin과 thiamine+biotin+inosital구는 오히려 떨어졌다. 균핵형성에 있어서는 thiamine 단독구에 비하여 각구 모두 약간씩 증가하였다. 9. Penicillium 배양여액중에는 공시균의 균계생장을 촉진하는 물질이 존재하며 배양여액 6-15ml/50ml 배양액의 농도에서 거의 최고균계생장량에 달하였다. 10. 질소원으로서 첨가한 $NH_4NO_3$ 혹은 asparagine은 균계생장에 있어서 배양여액농도 여가에 관계없이 $NH_4NO_3$가 더 유효하였다. 11. 배양여액에 대한 일련의 처리에 있어서 휘발성물질분획, 비휘발성물질분획, 휘발산분획, ether 가용성유기산분획, ether 불용성물질분획, cation 흡착물질분획, cation 비흡착물질분획, anion 흡착물질분획 및 비흡착물질분획의 9분획중 비휘발성물질분획, ether 불용물질분획, cation 흡착물질분획 및 anion 비흡착물질분획에서만 균계가 잘 자랐다. 그러나 균핵은 오직 cation 흡착물질분획에서만 형성되었다. 12. 이 결과는 배양여액중에 균계생장물질, 균핵형성물질 및 균핵형성억제물질이 존재하며 이들 물질은 각각 별개의 물질로서 전2자는 비휘발성이고 ether 불용성이며 cation교환수지에는 흡착되지 않는 물질이며 후자는 비휘발성이고 ether 불용성이며 cation 및 anion 교환수지에 흡착되지 않는 물질임을 암시한다. 13. DNP-aminoacids paper chromatography에 의하여 cation 교환수지흡착분획중에서 aspartic acid, cystine, glycine, histidine, lycine, tyrosine 및 dinitroaniline 7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다. 14. S. rolfsii의 균계생장 및 균핵형성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cystine, histidine 및 glycine의 단독첨가나 혼합첨가에 의해서 촉진되지 않았고 다만 tyrosine에 의해서 약간 촉진되었다. 15. 균핵의 습열에 대한 저항성은 균핵의 수분함유량에 따라 다르며 수분함유량이 적은 것이 보다 더 강하였다. 배지에서 채취한 균핵은 제1,2형균 모두 $52^{\circ}C$에서 5분에 사멸하거나 155일간 $26{\circ}C$에서 건조시킨 것은 $52^{\circ}C$에 있어서 제1형균은 15분, 제2형균은 10분, $57^{\circ}C$에 있어서는 제1형균은 5분, 제2형균은 10분처리에 사멸하였다. 16. 배양균핵을 132일간 $26^{\circ}C$에서 건조시킨 것은 제1,2형균 모두 전부 발아하였고 기건상태에서 283일간 방치한 천연균핵도 제1,2균형 모두 발아하였으며 443일간처리한 것도 아직 제1형균 $20\%$, 제2형균 $16$의 발아율을 보지하고 있었다. 17. 저온에 대한 저항성은 균계, 균계괴, 균핵의 순으로 강하였는데 균계는 $-7--8^{\circ}C$ 1주간 처리에서 완전 사멸하였으나 균계괴는 $-17--20^{\circ}C$ 3주에서도 아직 사멸치 않은 것이 있었으며 균핵은 $-17--20^{\circ}C$ 3주에서 대부분 생존하였다. 18. 약제저항력은 승괴수 $0.05%$에 있어서 제1형균은 180분 제2형균은 240분, $0.1\%$에 있어서는 제1형균 60분, 제2형균 30분에 각각 사멸하였고, Uspulun 800배에 있어서는 제1형균은 120분에 사멸하나 제2형균은 180분에도 사멸치 않으며 500배에 있어서는 제1,2형균 모두 90분에 비로소 사멸하였다. 그러나 유산동 $5\%$ 240분, Ceresan 석탄, Mercuron 각 500배 80분처리에도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19. Benlate와 Tachigaren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균계생장 억제효과도 증가하였다. 처리 6째에는 Benlate 0.5ppm을 제외하고는 전농도에서 뚜렷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12일째에는 농도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나타냈다. Benlate 0.5ppm 처리는 대조구에 비하여 $66\%$, 2.0ppm은 $92\%$의 억제효과를, Tachigaren은 1ppm $54\%$, 1.5ppm과 2.0ppm은 $77\%$의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양자 모두 500ppm에서는 거의 완전히 균계생장을 억제시켰다. 균핵형성은 Benlate 500ppm과 Tachigaren 500ppm 및 1000ppm에서 $100\%$ 억제되었다. 20. 일반적으로 균계생장량이 증가함에 따라 배지중의 glucose나 $NH_4-N$의 소비량도 증가하였으나 Benlate나 Techigaren을 처리할 경우 그 농도의 증가에 따라 이들의 소비량이 억제되었다. 그러나 Benlate 저농도(0.5ppm 및 1ppm)에 있어서는 $NH_4-N$의 소비가 무처리구보다 많았다. 21. glucose와 $NH_4-N$의 흡수이용효과 즉 glucose나 $NH_4-N$ 1mg을 소비하여 생산된 균계량은 Benlate나 Techigaren의 처리로 말미암아 크게 저하되었다. 그 정도는 농도에 관계없이 처리 3일째에 가장 심했고 이후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높아졌다. Benlate 처리의 glucose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수이용효과가 저하되었다. 22. 토양배양에 있어서 $CO_2$ 배출량으로 측정한 균계생장은 어느 농도에서나 저지되지 않았고 다만 Tachigaren 100mg/g 토양에서만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균핵형성은 Benlate나 Tachigaren 10mg/g 토양에서 완전히 억제되었다. 23. Benlate와 Tachigaren 0.1, 1.0, 10, 100, 1000ppm에 10분 및 20분간 침지처리한 결과 균핵의 발아억제효과를 인정할 수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