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al Production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2초

라이선스 뮤지컬 연출방법 연구 -2009년 <드림걸즈> 한국 프로덕션을 중심으로- (A Study of Directorial Ways to Licensed Musical -Focused on Korean Production in 2009-)

  • 조준희
    • 공연문화연구
    • /
    • 제25호
    • /
    • pp.211-251
    • /
    • 2012
  • 필자는 현재 국내에서 제작되는 뮤지컬 공연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라이선스 뮤지컬의 연출방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어떻게 국내 관객들에게 오리지널 뮤지컬 프로덕션 그대로를 전달할 수 있는가에 대한 해답과, 문화적 언어적 차이로 인해 전달이 불가능한 부분을 국내 환경에 맞게 어떻게 새롭게 창작할 수 있는가의 가능성, 그를 통해 오리지널 공연을 진정한 한국적 프로덕션으로 정착시키는 것이 라이선스 공연의 본질임을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필자가 한국연출을 맡았던 2009년 <드림걸즈> 한국 프로덕션(2009년 3월 ~ 8월, 샤롯데 씨어터)을 중심사례로 다루고자 한다. <드림걸즈>를 주된 예로 사용하고자 하는 이유는, 30년 만에 새롭게 재창작되는 라이선스 뮤지컬 프로덕션으로서 다양한 연출적 시도를 생생한 사례를 통해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세밀하고 정확한 오리지널 프로덕션의 분석을 통한 재창작과 연기에 대한 코칭, 라이선스 뮤지컬에 담겨있는 서구 문화의 한국화, 언어적 뉘앙스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라이선스 뮤지컬 연출에 중요한 방법론으로 판단되며, 라이선스 뮤지컬 연출가에게 제작사와 오리지널 크리에이티브 팀과의 협업은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임을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창작뮤지컬 '이것의 나의 운명인 것을…'의 무대의상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Stage Costume of Creative Musical 'This is my destiny…')

  • 임정미;이종훈;범서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93-199
    • /
    • 2009
  • Now, the proportion of musical was strength in the stage art part to the past considerably as called musical boom. After 1990's, as if it was rise as rise of musical exclusive theater, it was development seriously in Korean musical. But presently, the examined musical product state as the ratio of import musical and creative musical is about 6 to 4 or 7 to 3, it was a inferiority of creative musical in a flood of import musical. So, this study researched for example Kim Kyun Hyoung' writing and Yu Min Suck' production, creative musical 'This is my destiny...' - played by Dept. of multimedia and film, Honam University in september 2007 - this researcher should give much theoretical and substantial assistance to stage costume producer by studying about producing costume of a aria story, a mental state. As I have studied sofar, in designing a stage costume for musical, the overall comprehension of the musical actor's bodies have to be considered. Though performing the manufacture of the really performance work. It is a field that needs various professional knowledge, and only when a musical is produced based on such theories, it will be possible to deliver the theme of the me of the play more effectively, becomes help in the efficiently theatrical costume manufacture realistically and express the various symbolical meanings.

국내 무대의상 제작시스템 방법론 정립에 관한 연구 - 뮤지컬 '시카고'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duction System of Korean Stage Costume - Focused on the Musical 'Chicago' -)

  • 김영삼
    • 복식
    • /
    • 제62권4호
    • /
    • pp.1-14
    • /
    • 2012
  • Ever since the year 2000, Korea's musical markets has invited famous overseas license performances and have therefore cooperated with staffs working overseas in regards to stage costume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methodology of the stage costume mak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advanced production system of Korea's musical market.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n the stage costume making work of 'Chicago' as a costume supervisor. It took place at the Opera House of Seongnam Art Center from January 10, 2010 to February 28, 2010. Furthermore, there was significance in reinforcing academic values and implementing practical making process of stage-costumes based on the actual field work. The method of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a theoretical research and a case study that focused on empirical research. As for the research scope, it was limited to the actual stage-costumes that the researcher fully engaged with as a costume supervisor of the musical 'Chicag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tage costume making process of the musical 'Chicago'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production system in the performance. For pre-production, it was divid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actor and the analysis of the bible. Rehearsal period was divided according to the product clothes and fitting. Production week & preview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changeover of clothes and the arrangement of dressers. The Run was divided according to the inspection of the situation concerning clothes in general during the performance. Post-Production Period was divided according to the collection of clothes and the implemented database. This study eventually suggested appropriate stage-costume making processes for the costumes mak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overseas license musical market. However, it has a limitation of the research scope to the musical 'Chicago.' The creative performances of the domestic version are planned in diverse forms and come to abroad animate by the Korean Wave. Therefore, the field of stage-costume is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practical schemes of the system and copyright in accordance with the environment.

뮤지컬 보컬 코치의 기능과 역할 (Functions and Roles of Musical Vocal Coach)

  • 임지현;민경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642-650
    • /
    • 2018
  • 뮤지컬은 제작부터 연출, 작가, 작곡가, 작사가를 비롯하여 안무가, 음악감독, 배우 등 많은 전문가들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처럼 하나의 뮤지컬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그 모든 분야의 사람들이 다 함께 창의력을 발휘해야 한다. 라이센스 뮤지컬이 아닌 이상 먼저 작가, 작곡가, 작사가를 통해 한 작품의 기초 틀이 만들어진다. 이들을 크리에이티브 팀(Creative Team)이라 하고 연출가, 안무가, 배우, 스텝 등을 프로덕션 팀(Production Team)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두 팀을 합쳐서 크리에이티브 스텝(Creative Staff)이라고 한다. 이후 제작 규모에 따라 2차 크리에이티브 스텝들이 참여하게 되고 실제 연습에 들어가게 되는데 음악감독, 무대 디자이너, 음향 디자이너 등 각 팀의 세부 구성을 이루게 된다. 뮤지컬 크리에이티브 팀에서의 음악 관련 스텝들은 사실 작품의 음악적 색깔과 장르를 결정하는 음악 슈퍼바이저로부터 시작되어 세분화되고 분업화 된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작곡가 또는 음악감독이 그 역할을 모두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해외 뮤지컬 제작 과정 시스템의 사례를 분석하여 작업 공정의 세분화에 따른 보컬 코치의 역할과 개념을 정립하고, 국내 뮤지컬산업에서 보컬 코치의 역할과 필요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일반적인 보이스 티쳐들과 뮤지컬 보컬 코치의 역할과 기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인터뷰를 통한 국내 뮤지컬 보컬코치 사례를 함께 알아보았다. 그와 더불어 국내 뮤지컬 음악 크리에이티브팀 시스템에 관해 고찰해 보았다.

문화콘텐츠로서 뮤지컬의 선택 및 만족요인 (Choice & Satisfaction Factors of Musical as Culture Contents)

  • 최태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05-214
    • /
    • 2011
  • 본 연구는 뮤지컬의 선택요인 및 만족요인을 규명하고, 이 두 요인 간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뮤지컬 <김종욱 찾기>의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선택요인과 만족요인에 대한 요인분석 및 선택요인이 만족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뮤지컬 선택 요인으로는 가격 및 시설, 제작연출, 마케팅, 작품성, OSMU 등 다섯 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뮤지컬 만족 요인으로는 제작사 및 광고신뢰, 예술적 표현, 출연진의 조화, 주연배우의 수준 등 네 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뮤지컬 선택요인이 만족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관람객은 공연 가격 및 시설수준이 적합하다고 생각할수록 해당 공연에 대한 높은 만족을 기대한다는 점이 밝혀졌다. 그리고 제작연출 및 작품성을 기준으로 공연을 선택한 관객일수록 예술적 표현을 중요한 만족요인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연의 품질에 비해 과장된 마케팅은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뮤지컬 공연의 기획 및 제작, 마케팅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점이 무엇인지를 시사한다고 하겠다.

뮤지컬 의상 제작의 실제와 의상 디자이너의 역할 - 국내 중소형 창작 뮤지컬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The Practice of Musical Stage Costume Production and the Role of the Stage Costume Designer - Focused on Case Studies of Domestic Small- and Medium-Sized Original Musical Productions -)

  • 박내리;이금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20권1호
    • /
    • pp.18-3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a holistic description of the role demanded of costume designers to provid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ostume designs for small- and medium-sized musicals. The study accomplishes thi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y and costume design in musicals and also by examining the process and environments in which costumes of small-sized theater companies' original musicals are produced. The methods of study are empirical research of literature related to dress, stage art, and culture & arts from both domestic and foreign publications; research of visual materials related to plays; and production and analysis of theatrical performances in which the researcher has participated as a costume design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fessionalism of the play and visual perfection of the work may be enhanced by costume designers actively participating in meetings with staff from each field of the play. Second, by taking advantage of the unique aspects of the work environment of small-sized theater companies' small- and medium-sized original musicals, such as harsh situations of regular and periodical meetings with all staff member, the designer may consider the director's intentions and concepts of the play, but should display more creative and autonomous design abilities. Third, because the costume designers of small- and medium-sized original musical plays are given a small budget and short production periods, the ability to systematically manage budget and production periods and the ability to flexibly handle unexpected incidents during the play is essential.

SNS 활용여부에 따라 창작뮤지컬에 대한 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w the choice attributes of creative musical has the different impact on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use of SNS)

  • 구은자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33-43
    • /
    • 2015
  • 본 연구는 SNS를 활용하여 창작뮤지컬 공연을 관람하는 고객들의 창작뮤지컬 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공연기획 및 홍보마케팅 시 관람객들의 창작 뮤지컬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창작뮤지컬 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SNS를 활용하여 창작뮤지컬 공연을 선택하는 고객들의 경우에는 뮤지컬의 내용구성(1순위), 주연급 배우(2순위), 뮤지컬에 대한 평가(3순위), 뮤지컬의 연출(4순위)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무대구성, 직원들의 서비스, 공연장에 대한 만족도, 뮤지컬 관람비용의 경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SNS를 활용하지 않고 창작 뮤지컬 공연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뮤지컬의 내용구성(1순위), 뮤지컬에 대한 평가(2순위), 뮤지컬의 연출(3순위), 주연급 배우(4순위) 순으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직원들의 서비스, 무대구성, 뮤지컬 관람비용, 공연장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Digital Competence As A Component Of Professional And Information Culture Of A Teacher

  • Kharlamov, Mykhailo;Sinelnikov, Ivan;Lysenko, Vladyslav;Yakobenchuk, Nazar;Tkach, Anna;Honcharuk, Оle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7호
    • /
    • pp.169-172
    • /
    • 2021
  • Based on the scientific and pedagogical analysis of the theory and experience of teaching computer science disciplines, the didactic mechanism for ensuring the continuity of the average (full) general and higher professional education of economists for practical implementation innovative technology of personal experience foundation. The pedagogical conditions for the formation of information competence, including laboratory, design, research work, the use of active teaching methods for acquiring management skills in production and activities of the enterprise. An indispensable requirement for the condi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basic of educational programs is the assessment of competencies. With this the goal was to develop criteria and levels of formation information competence of future economists and carried out complex diagnostics.

문화자본과 확장된 '문화소비' -무엇을 소비하는가에서 어떻게 소비하는가로 (Cultural Capital and Expanded Musical Consumption -From What to How)

  • 김은미;권경은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9권
    • /
    • pp.111-138
    • /
    • 2015
  • 이 연구는 문화자본과 문화소비 행위의 연관성을 보았던 기존 연구에서의 '문화소비' 개념이 오늘날에도 타당한가 하는 문제의식으로 시작되었다. 디지털미디어가 등장한 후 문화소비자들은 단순히 '소비' 라고 지칭하기 어려운 다양한 행위들에 참여한다. 이렇게 다변화된 문화소비의 양상들을 다루기 위해서, 기존의 분석틀, 즉 무엇을 선호하거나 관람하였는가(노출되었는가)라는 문제 중심으로 구성된 '문화소비' 개념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우리는 문화소비에 있어 '무엇'보다는 '어떻게' 라는 측면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보기 위해, 공연관람뿐 아니라 공연 정보를 읽는 행위인 정보소비, 공연 후기를 쓰는 정보생산, 실기학습 및 참여행위인 아마추어 생산, 그리고 동호회 활동인 교류 등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문화자본인 학력과 청소년기 문화경험과 문예교육이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음악장르 소비에대한 설문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학력은 공연관람에서만 효과가 나타난 반면, 청소년기 문화경험과 문예 교육은 공연관람 뿐 아니라 문화소비 전반에 있어 영향력이 나타난다. 구체적으로, 청소년기 문화경험은 정보소비와 정보생산에서, 문예교육은 아마추어 생산에서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한편 소득은 공연 관람에서만 효과를 보인다. 연구의 결과, 청소년기 문화경험은 공연관람에서보다는 관련 읽기와 쓰기에서, 문예교육은 아마추어 생산에서 영향력이 보다 크게 나타나므로 문화자본에 따라 문화소비 취향이 구별되는 차원을 관련 커뮤니케이션 행위 및 아마추어 생산 활동까지도 포함하여 생각할 필요가 있다는 함의를 갖는다.

  • PDF

'미디어 어린이 영어뮤지컬 마술피리' 무대의상 디자인 (The Designs of Stage Costume for 'Media Children's English Musical, The Magic Flute')

  • 이지혜;김양희
    • 복식
    • /
    • 제64권7호
    • /
    • pp.114-127
    • /
    • 2014
  • Performing arts offer fun and knowledge and are directed for various purposes. Performing arts are also used as a means for education. Children's English media musical, 'The Magic Flute' is the performance reflecting all these. The author of this study took part in stage costume production, a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aiming at designing and producing stage costume in line with educational purpose and intention. This study consists of an analysis stage for the existing performances of 'The Magic Flute', and a stage costume design and production stage for children's English media musical, 'The Magic Flute', First, this study classified and analyzed the stage design and stage costume design of the existing 'The Magic Flute' by concept, and then, examined their features, respectively. and this study unfolded the stage costume concept, based on the analyses of existing performance's stage costume and the characters' personality and features described in the current study subject's script. As the last step of this study made each character's stage costume. A total of 69 costumes for stage costume were made for 7 types of characters. This study is considered to have huge significance in that the stage costume was developed for 'The Magic Fl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