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Search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6초

감정 인식을 통한 음악 검색 성능 분석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Music Retrieval Based on the Emotion Recognition)

  • 서진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47-255
    • /
    • 2015
  • 본 논문은 자동으로 분류된 음악 신호의 감정을 기반으로 하는 음악 검색 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음성, 영상 등의 다른 미디어 신호와 마찬가지로 음악은 인간에게 특정한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감정은 사람들이 음악을 검색할 때 중요한 고려요소가 될 수 있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음악의 감정을 직접 인식하여 음악 검색을 수행하고 성능을 검증한 경우는 거의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 감정을 표현하는 주요한 세 축인 유발성, 활성, 긴장 과 기본 5대 감정인 행복, 슬픔, 위안, 분노, 불안의 정도를 구하고, 그 값들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음악 검색을 수행하였다. 장르와 가수 데이터셋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제안된 감정 기반 음악 검색 성능은 기존의 특징 기반 방법의 성능에 대비해서 최대 75 % 수준의 검색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특징 기반 방법을 제안된 감정 기반 방법과 병합할 경우 최대 14 % 검색 성능 향상을 이룰 수 있었다.

The Meaning, Method and Tool to Build the Ewha Music Database (EMDB)

  • Kim, Eun-Ha;Chae, Hyun K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9권3호
    • /
    • pp.239-245
    • /
    • 2020
  • The Ewha Music Database (EMDB) is an online database comprised of primary source materials related to music education from East Asia during the modern era (1880 to 1945) when Korea, Japan, and China were geopolitically and culturally intertwined. We developed the incipit search in EMDB as an embedded tool. This is the first attempt in Korea to implement a unique search function of musical data using alphabets of musical notes. Unlike in traditional search system that uses general literature information search conditions, such as author, title, publisher, year, number of pages, etc., it offers a new way of searching a musical piece/work and sheet music. This study confirms that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y is an important methodology for research of music culture as a field of humanities.

Music Similarity Search Based on Music Emotion Classification

  • Kim, Hyoung-Gook;Kim, Jang-Heo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26권3E호
    • /
    • pp.69-73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 algorithm to retrieve similar music files from a large archive of digital music database. Users are able to navigate and discover new music files which sound similar to a given query music file by searching for the archive. Since most of the methods for finding similar music files from a large database requires on computing the distance between a given query music file and every music file in the database, they are very time-consuming procedures. By measuring the acoustic distance between the pre-classified music files with the same type of emotion, the proposed method significantly speeds up the search process and increases the precision in comparison with the brute-force method.

Feature Transformation based Music Retrieval System

  • Heo, Jung-Im;Yang, Jin-Mo;Kim, Dong-Hyun;Yoon, Kyoung-Ro;Kim, Won-Il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8권3호
    • /
    • pp.192-195
    • /
    • 2008
  • People have tendency of forgetting music title, though they easily remember particular part of music. If a music search system can find the title through a part of melody, this will provide very convenient interface to user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that enables this type of search using feature transformation function. The original music is transformed to new feature information with sequential melodies. When a melody that is a part of search music is given to the system, the music retrieval system searches the music similar to the feature information of the melody. Moreover, this transformation function can be easily extended to various music recognition systems.

자동차 환경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위한 음악 검색 알고리즘 (Music Search Algorithm for Automotive Infotainment System)

  • 김형국;조재만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81-87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 환경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위한 음악 검색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음악신호의 로그 스펙트럼기반의 정점을 이용하여 오디오지문을 추출하고, 추출된 음악 핑거프린트에 해시값을 적용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한다. 클라우드 서버에서는 사용자의 쿼리 음악과 클라우드 서버의 해시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지문을 비교함으로써 가장 유사한 음악이 검색된다. 제안된 음악 검색 알고리즘의 성능평가를 위해, 주행 중인 자동차 내부에서 녹음한 잡음에 노출된 다양한 쿼리 음악의 길이에 따른 검색 결과의 정확도를 측정하였고, 해시 테이블의 저장 곡수에 따른 검색 소요 시간을 측정하였다.

커버곡 검색을 위한 크로마 n-gram 선택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f chroma n-gram selection for cover song search)

  • 서진수;김정현;박지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36-441
    • /
    • 2017
  • 음악 유사도 계산은 음악 검색 시스템 구현에 있어서 필수적인 구성 요소이다. 본 논문은 음악 검색 중에서 커버곡 검색에 대해서 다룬다. 크로마 n-gram을 이용한 커버곡 검색에 있어서 특징 DB 저장 공간을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t-tab n-gram을 제안하고, n-gram 선택 방법, n-gram 집합 간 비교 방법에 관해서 연구하였다. 공개되어 있는 커버곡 데이터셋에서 실험을 수행하여 제안된 방법이 저장 공간을 줄이면서 동시에 커버곡 검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선율을 이용한 음악정보 검색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sic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 지정규;오해석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11
    • /
    • 1998
  • 본 논문은 디지털 음악 도선관에서 음악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기 위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형적인 음악정보 검색 항목인 제목이나 작곡자 또는 주제 목록을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음악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자 하는 음악의 일부 선율을 마이크를 통해서 노래한다. 그러면 입력된 선율에 대한 음 신호를 처리하여 음표 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음정 곡선을 생성하여 이를 탐색 패턴으로 사용한다. 탐색 패턴을 가지고 제안한 음표열 탐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근사 탐색을 함으로써 사용자는 노래의 어느 마디를 부르더라도 쉽게 후보곡을 검색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 PDF

바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음악앨범 정보 검색 시스템 (Mobile Music Album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using Barcode)

  • 이경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30-137
    • /
    • 2010
  •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진화와 보급 확산에 따라 디지털 음원 보급이 용이해짐으로써 사용자는 디지털 음원 및 관련된 콘텐츠를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를 이용하여 검색 및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디지털 음악서비스 시장과는 대조적으로 CD로 제공되는 오프라인 음악서비스 시장은 점차적으로 침체되어 오프라인 음악서비스 시장 자체가 사장될 위기에 놓여있는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오프라인 음악서비스의 중심인 음악앨범에 부착된 1차원 바코드와 휴대폰 음악서비스를 결합하여 두 음악서비스 시장이 상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음악앨범 정보 검색 시스템은 실제의 음악앨범으로 부터 디지털 음원과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음악 CD에 부착된 1차원 바코드를 모바일 단말기에 입력하여 음원서버로부터 해당 앨범의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검색 결과에 사용자 선호도를 반영하기 위해 앨범별 검색 횟수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선택한 음악 장르의 앨범을 최근 선호하는 앨범순으로 검색하도록 하였다. 제안하는 모바일 음악앨범 검색 시스템은 WIPI를 기반으로 구현되어 시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뉴턴 반복을 이용한 AD-MUSIC 알고리즘 성능향상 (Performance Improvement of AD-MUSIC Algorithm Using Newton Iteration)

  • 백지웅;김종만;이준호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11호
    • /
    • pp.880-885
    • /
    • 2017
  • 기존에 제안된 AD-MUSIC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2차원 탐색 없이 1차원 탐색을 반복함으로써 DOD/DOA 추정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계산량을 더욱 감소하기 위해 1차원 탐색에 Newton 기반 기법을 적용한다. 본 논문은 바이스태틱 MIMO 레이다 시스템의 수신신호 모델링과 AD-MUSIC의 유도과정을 보이고, 뉴턴 반복 기법을 AD-MUSIC에 적용한다. 추정 시, 기존의 AD-MUSIC 알고리즘의 성능과 계산량이 탐색 간격에 영향을 받는 것에 반해, AD-MUSIC의 성능과 뉴턴기법을 적용하는 본 논문의 방법인 경우, 탐색 간격에 관계없이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계산량 또한 감소하는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인다.

부분 정보에 기반한 효과적인 음악 무드 분류 방법 (Effective Mood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Music Segments)

  • 박근한;박상용;강석중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391-400
    • /
    • 2007
  •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대용량의 음악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검색하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음악데이터들을 손쉽게 분류하고 검색하기 위한 방법론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는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내용기반의 음악 분류/검색에 대한 새로운 방법론을 제안한다. 기존의 분류화 (classification) 방법들이 음악파일 전체에 대해서 수행하는데 비해 음악파일의 부분만을 분석하여 비슷한 성능을 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고, 소리의 톤(tone) 표현에 기반한 새로운 피쳐를 제안하여 기존의 피쳐들에 비해 효과적으로 분류를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속도향상을 위한 여러가지 방법론들을 적용하여 실 제품 적용 시 보다 효과적인 방법론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제안한 방법론을 MuSE (Music Search/Classification Engine)엔진으로 구현함으로써 PC와 PDA상에서 잘 동작함을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