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 preference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1초

음악요법이 수술환자의 수술전 불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the Preoperative Anxiety of Surgical Patients)

  • 박성희;박경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654-665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the preoperative anxiety of surgerial patient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4 to March 17, 1999 at C-University hospital in Seoul. The subjects were sixty patients who had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and had undergone laparotomy. They were assigned to two groups, thirty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irty to the control group. They also did not have any complication, were alert enough to be interviewed and agreed willingly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tool of Trait Anxiety Inventory was used to measure trait-anxiety on all patients and the Visual Analogue Scale(VAS) was used to measure state-anxiety on all patients. And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pulse rate, and blood sugar levels were collected a the day before surgery and the preoperative period.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music therapy with self-selected music tapes after choosing from a Music Preference Questionnaire, while the control group didn't receive music therapy. Data were analyzed by ${\chi}^2$-test, t-test,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reoperative state anxie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markab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2. Decreasing rate in the vital signs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markab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3. The preoperative blood sugar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markab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se results, Music Therapy can be regard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hat relieves preoperative anxiety of surgical patients and helper stabilize vital signs.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can be made: 1. In order to decrease surgical patient's preoperative anxiety, I suggest the nursing intervention should go side by side with music therapy.

  • PDF

콘서트홀 음향 - 음악과 홀을 융합시키는 물리학, 생리학, 심리학 - (CONCERT HALL ACOUSTICS - Physics, Physiology and Psychology fusing Music and Hall -)

  • 안도요이찌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2년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제11권 1호
    • /
    • pp.3-8
    • /
    • 1992
  • The theory of subjective preference with temporal and spatial factors which include sound signals arriving at both ears is described. Then, auditory evoked potentials which may relate to a primitive subjective response namely subjective preference are discussed. According to such fundamental phenomena, a workable model of human auditory-brain system is proposed. For eample, important subjective attributes, such as loudness, coloration, threshold of preception of a reflection and echo distrubance as well as subjective preference in relation to the initial time delay gap between the direct sound and the first reflection, and the subsequent reverberation time are well described by the autocorrelation function of source signals. Speech clarity, subjective diffuseness as well as subjective preference are related to the magnitude of inter-aural crosscorrelation function (IACC). Even the caktail party effects may be eplained by spatialization of human brain, i.e., independence of temporal and spatial factors.

  • PDF

온라인 게임의 속성이 온라인 게이머들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인 연구 (Exploring Online Gamers′ Preference for Online Games)

  • 백승익;송영석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1-85
    • /
    • 2004
  • Many online content providers who use the Internet to distribute contents, such as news, music, games, books, and other types of information, have been experiencing an extremely competitive business environment. To survive in this environment, they have started charging a fee for the contents that they provide. However, there have been very few success stories in commercializing online contents. One of the biggest hurdles may be customers' psychological resistance against paying a fee for the contents that have been free of charge previously. Without examining customers' perceived prices for online contents, many online content providers have tended to decide their prices by themselves. Online games are not exceptional cases. Although many online game-related research works have focused on psychological and technical aspects, very few works have examined online garners' preference carefully. This study alms at exploring online garners' preference by measuring their WTP (willingness to pay) for online games.

다기준 의사결정 방법을 고려한 베이지안 네트워크 기반 음악 추천 시스템 (Bayesian network based Music Recommendation System considering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 김남국;이상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345-352
    • /
    • 2013
  • 최근 스마트 기기 사용자의 증가에 따라 모바일 음악에 대한 수요와 생산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중화된 음악의 폭이 넓어지면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에 대한 선택의 기준 또한 매우 다양해지고 복잡해지는 추세이다. 이러한 이유로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자 개인이 선호하는 음악을 정교하게 추천하기 위한 지능적 음악 추천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음악 추천시스템은 청취로그를 이용한 단순 추천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사용자의 선호도를 제대로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한 개인화된 적응형 음악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계층적 의사결정 도구인 AHP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개개인의 음악적 선호도를 반영한 음악 추천이 가능토록 하였으며, 베이지안 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피드백 통해 지속적인 사용자의 음악적 선호도를 반영하도록 하였다. 본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12명의 실험자를 각각 3명씩 4그룹으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 87.5%의 추천 만족도를 얻었다.

청취자 선호도를 반영한 콘서트홀 음향설계 (Room acoustic design of a concert hall with a reflection of listeners' preference)

  • 김지현;오양기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39-144
    • /
    • 2019
  • 콘서트홀의 소리품질을 나타내는 실내음향 지표들이 다수 개발되어 있으며, 청취자들이 기대하는 소리에 관한 경험적인 연구의 결과로 각 실내음향 지표들의 적정 범위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세월의 흐름에 따라 연주나 청취환경의 경향이 변하고 있고, 각 지표의 적정 범위에 대해 연구자들의 이견이 존재하는 등의 문제가 드러나고 있다. 콘서트홀의 음향환경에 대해 청취자들이 어떠한 선호개념을 갖고 있는지 조사하고 이를 콘서트홀의 음향설계에 반영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음악의 연주 및 청취에 전문적인 경험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의 청취자들을 대상으로 콘서트홀 음향효과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청취조건을 구현하는 콘서트홀의 음향설계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음악의 화음 전개 수준에 따른 감상자의 정서 지각 연구 (A Study on the Listener's Emotional Perception of Music According to Harmonic Progression Level)

  • 유해인;최진희;정현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9권1호
    • /
    • pp.93-11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화음의 전개 수준에 따라 감상자가 지각하는 정서 차이를 비교하는 데 있다. 만 19세-29세 사이 음악 전공자 73명, 음악 비전공자 71명의 성인 144명을 대상으로, 조성(장조-단조)과 화음 전개 수준(낮음-높음)이 서로 다른 총 네 가지의 음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각 음악에 대해 정서적 역동감, 각성, 화음이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 선호도의 총 네 가지 항목을 리커트 7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화음 전개 수준과 조성에 따라 감상자가 지각하는 정서적 역동감, 각성, 화음이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 선호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전공 배경을 기준으로 하여 음악 전공자와 음악 비전공자로 그룹을 나누고 화음의 전개 수준 차이에 따른 그룹 간 정서 지각을 분석하였을 때, 정서적 역동감에서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각성,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 선호도에서의 그룹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조성, 감상자의 외생 변인을 통제하여 제공한 음악에서 화음의 전개 수준에 따른 감상자의 다양한 정서 반응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내담자의 필요에 따른 음악 선곡 시, 화음의 전개 수준을 다르게 제공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청취 순서 성향을 고려한 랜덤워크 음악 추천 기법과 실험 사례 (Experimental Study on Random Walk Music Recommendation Considering Users' Listening Preference Behaviors)

  • 최혜진;심준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75-85
    • /
    • 2017
  • 전자 상거래 산업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개인화 추천은 많은 분야에서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개인화 추천을 위해서는 개인 정보를 포함하여 아이템을 재 분류해야하는 추가 작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아이템을 재분류 하지 않는 추천 기법에 대해 제안한다. 음악 추천 영역으로 제한하여 실험하였으며, 실제 청취 이력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실험 분석을 통해 적은 데이터로도 유의미한 추천을 이끌어 낼 가능성을 살피고, 상황별 추천을 위한 아이템 수 분석과 추가 기법을 제안한다.

BTS의 선호요인이 팬덤 동일시욕구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및 동남아 팬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BTS Preference on Fandom Star & Fan Community Identification and Purchase Intention - Focused on Korean and Southeast Asian -)

  • 김윤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14
    • /
    • 2020
  • 본 연구는 싸이 이후 더 확대된 K-Pop 시장에서 BTS의 선호요인이 특징적으로 무엇인지를 밝혀보고자 하는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국내를 비롯해 BTS가 인기를 끌고 있는 대만, 태국, 베트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BTS 선호요인 전체에 대해 베트남과 태국이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장 높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BTS의 차별적 감각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가 동남아와 한국 팬들을 대상으로 하여 폭넓은 설문조사 대상자를 통한 확대된 연구이며, BTS 선호요인에 대한 새로운 시각에서의 규명이 가능했다는 의의에도 불구하고, 팬덤효과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지 못하고, 세계적으로 더 많은 팬을 확보하고 있는 미국, 유럽 지역 팬들에 대한 의식조사를 함께하지 못한 점이 본 연구의 한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모바일 환경에서 시간에 따른 가중치 부여를 이용한 개인화된 음악 추천 서비스 (Implementation of Personalized Music Recommendation System using Time-weighting in Mobile Environment)

  • 박원익;강상길
    • 정보화연구
    • /
    • 제10권2호
    • /
    • pp.251-261
    • /
    • 2013
  • 다양한 휴대 인터넷 환경의 출현은 기존 모바일 기기의 네트워크 접근을 보다 쉽게 해주고 있다. 또한 무선 환경을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 사용자는 혼자 사용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유선 환경보다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쉽게 구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의 특징은 개인화 서비스를 적용하기에 최적의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기 사용자를 위한 개인화된 모바일 음악 콘텐츠 추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는 사용자의 액세스 히스토리(access history) 정보를 활용하여 시간에 가중치 부여를 이용한 협업 필터링 방법을 제안한다. 액세스 히스토리 정보는 사용자의 관심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음악 장르의 선호도를 고려하고 시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음악을 추천해준다. 이 방법은 기존의 음악 추천 시스템의 문제점인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장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한다는 사실을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한류의 경제적 파급 효과 : 중국 대학생들의 한국 대중음악에 대한 만족도가 한국 문화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conomic Ripple Effect of Korean Wave(Hallyu) : Impacts of the Satisfaction of Korean Popular Music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on the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Culture Products)

  • 황인석;김봉;안성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40-150
    • /
    • 2008
  • 본 연구는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 관점에서 중국 대학생들의 한국 대중음악 만족도가 한국 문화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있다. 여기서 한국 문화상품이란 한국 대중음악과 직접 관련이 없는 한국 관광, 한국어, 한국 태권도를 의미한다. 결과에는 한국 대중음악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가 한국 대중음악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대중음악 선호도는 한류 호감도, 한국 호감도, 한국 문화상품 구매의도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류 호감도는 한국 호감도의 매개를 거쳐 한국 문화상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류 호감도가 한국 문화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직접 영향은 한계적으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