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 Sample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6초

디자인씽킹 기반 어플리케이션 적용 음악수업 활동과 이에 대한 효과성 탐색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Music Class Based on Design Thinking and Using Applications)

  • 김수연;오유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33-244
    • /
    • 2020
  • 본 연구는 디자인씽킹에 기반한 어플리케이션 적용 음악 수업 활동과 이에 대한 효과성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의 '디자인씽킹 기반 어플리케이션 활용 음악 수업 프로그램 개발'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효과성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P 중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두 반을 실험집단(29명)과 통제집단(29명)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은 일반적인 음악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수업이 학생들의 창의성, 공감능력, 협동심,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검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수업을 7주간 실시하고, 프로그램 사전-사후 설문검사를 실시, 대응 표본 t 검정을 사용해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은 창의성, 공감능력, 협동심, 문제해결력 부분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반면, 일반적인 음악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문제 상황 속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이 향상되고 협동심을 통한 빠른 문제 해결과 성취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창의적 아이디어를 창출하며 창의역량 증진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본 음악수업 활동이 새롭고 창의적이며 다양한 수업 모델을 필요로 하는 현장에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High Frequency Enhancement of Sound Using Wavelet Transform

  • Yoon Won-Jung;Lee Kang-Kyu;Park Kyu-Sik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도 ICEIC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s Informations and Communications
    • /
    • pp.233-236
    • /
    • 2004
  • This paper proposes new method for the enhancement of nonexistent high frequency spectral contents from low sample rate audio signal. For example, Due to the protocol constraint, the audio bandwidth of MP3 is restricted to 16Khz. Although band-restricted MP3 audio provide savings of storage space and network bandwidth, it suffers a major problem of a loss in high frequency fidelity such as localization, ambient information, and bright nature of audio. This paper provides a new mathematical analysis for the adaptive estimation of the high frequency contents based on the nature of the input low sample rate audio. Proposed method can be worked globally to any kind of audio such as speech and music that are restricted by sampling rate and bandwidth.

  • PDF

근사 공분산 행렬을 이용한 빠른 입사각 추정 알고리듬 (Fast DOA Estimation Algorithm using Pseudo Covariance Matrix)

  • 김정태;문성훈;한동석;조명제;김정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0권1호
    • /
    • pp.15-23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입사 신호의 근사 공분산 행렬을 이용하여 신호의 입사각을 빠르게 추정하는 입사각 추정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MUSIC(MUltiple Signal Classification) 알고리듬과 같은 기존의 부분공간 입사각 추정 알고리듬은 입력 공분산 행렬을 구하기 위해서 다수의 표본 신호를 필요로 하며, 입력 공분산 행렬을 획득하기 위한 표본 신호의 수신시간 동안 입사각 추정이 수행될 수 없으므로 빠른 신호처리가 불가능하다. 또한 코히어런트 신호가 입사하는 경우에 코히어런트 신호간의 간섭으로 신호의 입사각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없다. 제안한 입사각 추정 알고리듬은 빔 형성기를 이용하여 매 표본 신호의 공간적인 빔 형성을 먼저 수행하여 신호간의 간섭을 제거한 후에 센서의 출력 값을 이용하여 방위각 응답(bearing response)과 방향 스펙트럼(directional spectrum)을 구한다. 방위각 응답으로 대략적인 신호의 입사각을 추정한 후에 방향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정착하게 신호의 입사각을 추정한다. 제안 입사각 추정 알고리듬은 공분산 행렬을 구하기 위하여 그 순간의 각 어레이 소자에 입사되는 표본 신호만을 사용하고 방위각 응답을 구하기 위해서 몇 순간 동안의 표본 신호만 필요로 하므로 기존 입사각 추정 알고리듬에 비하여 크게 향상된 입사각 추정 속도를 갖는다.

시험방법에 따른 흡음률 비교 (Comparison of Absorp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est Methods)

  • 이재원;구진회;박형규;강대준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373-378
    • /
    • 2007
  • Today, the use of the sound absorptive material is increasing to improve the room acoustics in the auditorium and music hall, etc. Usually, the sound absorption materials have been used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a noise barrier and improve the room acoustics in construction site. Generally, the sound absorbtion coefficient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reflecting the sound absorbtion performance. There are two methods to measure the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The first one is the reverberation room method, and the second is the impedance tube method. In this study, we measure the sound absorbtion coefficients using these two methods, and then we compared the results of the sound absorbtion coefficients to look into the difference of results between reverberation room method and impedance tube method. Also we compared the results of the sound absorbtion coefficients with respect to the size of sample and the volume of reverberation room. From the experiment, we could see that the sound absorbtion coefficients are measured equally for different sample size. But the sound absorbtion coefficients are meas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est methods and test conditions.

제안된 최적전파 도래방향각 예측기법 실현을 위한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Highly Effective Proposed Direction Finding Method)

  • 이일근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4권1E호
    • /
    • pp.88-97
    • /
    • 1995
  •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주위 환경의 영향등으로 인하여 신호대잡음비(S/N)가 저하된 상황, 다중신호원들이 근접하여 위치한 상황등의 특수한 상황들에서도 고해상도를 지니는 도래방향각 예측방법의 개념적 S/N의 향상도를 이론적으로 증명하고 기존의 도래방향각 예측방법과 비교하므로서 제안된 방법의 실용화를 위한 이론적 타당성을 입증하는데 있다.

  • PDF

피아노 연주 평가 프로그램을 위한 타격 시간 검출 (Detection of Attack Time in Developing the Scoring Program for Piano Music)

  • 이준수;한기영;백성준;성굉모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0권 2호
    • /
    • pp.175-178
    • /
    • 2001
  • 실제 피아노 연주 녹음에서 연주된 음표를 검출하는 과정은 녹음된 데이터만으로 원래의 악보를 복원하거나 같은 악보로 연주한 서로 다른 연주를 비교 평가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과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피아노 연주 평가프로그램에 적용될 알고리듬 구상의 첫 단계로서 타격 시간을 찾는 알고리듬을 제안하고, 실제의 연주 sample을 이용한 analysis와 기존의 다른 방법과의 비교를 통하여 그 성능과 효용성을 점검하였다 또한, 이 알고리듬을 실제 연주 평가 프로그램에 적용시켜 완성된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간략히 소개하였다

  • PDF

성악 전공 학생의 가칭 시 음성의 SPR(Singing Power Ratio)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PR (Singing Power Ratio) on the Singing Voice in Singing Students)

  • 조성미;정옥란;이상욱
    • 음성과학
    • /
    • 제11권4호
    • /
    • pp.121-127
    • /
    • 2004
  •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a spectrum analysis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singing voice quality of singing students rather tha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inger's formant. Th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ringing quality, SPR, and SPP of singing voice of college student subjects majoring in music. This study measured singing. power ratio (SPR) in 41 singing students. Digital audio recordings were made in sung vowels for acoustic analyses. Each sample was judged by 1 experienced singing teacher and 4 voice pathologists on one semantic bipolar 7-point scales (ringing-dul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PR and SPP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ringing quality. The SPR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ringing quality on singing voice in singing students. The SPR can be an important quantitative measurement for evaluating singing voice quality.

  • PDF

청각 및 전정 자극이 스트레스 호르몬에 미치는 효과 - 미숙아를 대상으로 - (The Effects of Auditory and Vestibular Stimulation on Stress Hormones in Preterm Infants)

  • 유경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03-212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whether providing auditory and vestibular stimulation to preform infants would have an effect on stress hormones. Methods: The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otest-posttest design in a quasi-experimental study Seventy-nine preform infants were assigned either one of two experimental groups or to a control group: 27 in the auditory stimulation group, 25 in the vestibular stimulation group and 27 in the control group. The criteria for inclusion in this study were 1) gestational age of less than 37 weeks, 2) birth weight of less than 2,500g, 3) the absence of congenital anomalies or specific diseases, 4) recovering physiological weight loss, and 5) weaned from ventilatory assistance or oxyge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002 to May 2003. The auditory stimulation, a music audiotape, was provided 20 minutes twice a day for 10 days and the vestibular stimulation, an infant waterbed, was provided for 10 days. On day 1 and day 10 of the study, 24 hour urine sample was collected for norepinephrine, epinephrine, and cortisol assays. In the data analysis SPSSWIN 10.0 program was utili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t-test. Result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us three groups were found to be homogenous. The 24 hour urine cortisol for the auditory (t=3.489, p=.001) and for the vestibular (t=2.638, p=.013) stimula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10 day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auditory and vestibular stimulation can be used to reduce 24 hour urine cortisol in preform infants. Therefore, music audiotapes and waterbeds provided in incubator are be recommended for reduction of the stress in preform infants who are hospitalized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 PDF

부인과 수술환자의 통증조절을 위한 비약물성 요법의 인식수준 및 통증변화 양상 (Perception of Non-pharmacological Therapy for Pain Control and Pattern of Postoperative Pain in Gynecological Surgery Patients)

  • 안숙희;김미옥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8-135
    • /
    • 2004
  • Purpose: Women who undergo gynecological surgery have moderate and severe sensation and distress of pain despite the advent of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scribe perception of non-pharmacological therapy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and examine changes of pain sensation and distress in women who had gynecological surgery. Method: The sample consisted of 52 women who were having gynecological surgery. Subjec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asked for their opinion about non-pharmacological approaches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using a structured study questionnaire. Pain sensation and distress were assessed by VAS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for 2 days following the surgery. Result: About 50% of the subjects thought that non-pharmacological methods such as relaxation, music, massage, or meditation would be helpful for their postoperative pain control. If both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al therapy were given for pain control, 96% of subjects reported it would be effective. Nurses can apply techniques of relaxation, deep breathing, meditation, and music therapy to surgical patients along with PCA. Expected sensation and distress of pain was high, but pain levels gradually decreased over time. However, subjects experienced moderate levels of pain postoperatively although they used PCA. Conclusion: The effect of a combined method of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al approach needs to be tested if postoperative pain is to be decreased more.

  • PDF

컴뮤트 타임 기반의 다양체 임베딩을 이용한 파형 신호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Waveforms Using Manifold Embedding Based on Commute Time)

  • 한희일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2호
    • /
    • pp.148-155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파형 신호에서 패치를 추출하고 이를 패치 그래프로 구성한 다음, 이로부터 대표적인 다양체 임베딩 방식인 컴뮤트 타임 임베딩 기법을 구현하고, 이의 특성을 분석한다. 특히 음성 신호나 악기 음 등, 시간에 따라 스펙트럼이 가변적인 신호를 임베딩하면 스펙트럼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그 신호 고유의 기하 구조를 생섬함을 실험으로 확인한다. 다양체 임베딩은 비선형 공간에 놓여 있는 고차원 데이터를 저차원 공간으로의 효율적인 맵을 가능하게 하지만 그래프 구성에 이용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만 알 수 있고 그렇지 않은 데이터(out-of-sample data)에 대해서는 정보를 얻기 어렵다. 따라서 다양체 임베딩은 데이터 클러스터링에 적절히 적용 가능하지만, 훈련 과정을 통해 얻은 정보를 기초로 유추 기능이 요구되는 인식 등에는 응용하기 어려운 제약이 따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양체 임베딩이 인식 분야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악기 음 분류 실험을 통하여 그 특성을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