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hroom substrates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31초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nnanase-Producing Bacillus amyloliquefaciens YJ17 from Spent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Substrates

  • Kim, Hye Soo;Kim, Chul Hwan;Kwon, Hyun Sook;Cho, Soo Jeong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1-26
    • /
    • 2016
  • The mannanase-producing bacteria, designated YJ17, was isolated from spent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substrates. The isolate YJ17 was a facultative anaerobic and was grown at temperatures ranging from $20^{\circ}C$ to $50^{\circ}C$ with an optimal temperature of $40^{\circ}C$. The DNA G+C content of the YJ17 was 44 mol%. The major fatty acids were anteiso-15:0 (38.9%), 17:0 (7.6%), and iso-15:0 (36.5%). The 1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between the isolate YJ17 and other Bacillus strains was from 98% to 99%. In the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these sequences, the isolate YJ17 and Bacillus amyloliquefaciens clustered within a group together and separated from other species of Bacillus. Based on the physiological and molecular properties, the isolate YJ17 was classified within the genus Bacillus as B. amyloliquefaciens YJ17. The optimal pH and temperature for mannanase activity of B. amyloliquefaciens YJ17 were pH 7.0 and $50^{\circ}C$, respectively.

전처리 방법에 따른 느타리, 큰느타리 및 팽이버섯 수확후 배지의 당함량 비교분석 (Comparison of the saccharide content of spent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Pleurotus eryngii, and Flammulina velutipes) substrates under various pretreatment conditions)

  • 김정한;이윤혜;지정현;장명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0-7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버섯 수확후배지를 바이오매스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으며, 적정 전처리 조건을 구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버섯 수확후 배지의 전처리방법 중 알카리 처리가 리그닌 함량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키면서, 당전환율이 우수하였고 큰느타리 수확후 배지가 당전환율 80.7%로 가장 우수하였다. 큰느타리 수확후 배지에 1% NaOH를 이용한 알카리 처리시 전처리 온도별 성분분석 결과 $120^{\circ}C$처리시에 glucose 25.3%, xylose 14.8%로 유리당 함량이 가장 높고, 효소에 의한 당전환율도 66%로 무처리구 28.2%에 비해 2.3배 증가되었다. 촉매제 농도(NaOH 0.5~2.0%)에 따른 당분석결과 glucose 함량은 촉매제 농도와 관계가 적었으며, xylose와 arabinose는 촉매제 농도가 높을수록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당전환율은 NaOH 1% 처리시에 66%로 가장 높았다.

Determination of Mineral Components in the Cultivation Substrates of Edible Mushrooms and Their Uptake into Fruiting Bodies

  • Lee, Chang-Yun;Park, Jeong-Eun;Kim, Bo-Bae;Kim, Sun-Mi;Ro, Hyeon-Su
    • Mycobiology
    • /
    • 제37권2호
    • /
    • pp.109-113
    • /
    • 2009
  • The mineral contents of the cultivation substrates, fruiting bodies of the mushrooms, and the postharvest cultivation substrates were determined in cultivated edible mushrooms Pleurotus eryngii, Flammulina velutipes, and Hypsizigus marmoreus. The major mineral elements both in the cultivation substrates and in the fruiting bodies were K, Mg, Ca, and Na. Potassium was particularly abundant ranging 10${\sim}$13 g/kg in the cultivation substrates and 26${\sim}$30 g/kg in the fruiting bodies. On the contrary, the calcium content in the fruiting bodies was very low despite high concentrations in the cultivation substrates, indicating Ca in the cultivation substrates is in a less bio-available form or the mushrooms do not have efficient Ca uptake channels. Among the minor mineral elements determined in this experiment, Cu, Zn, and Ni showed high percentage of transfer from the cultivation substrates to the fruiting bodies. It is noteworthy that the mineral contents in the postharvest cultivation substrates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which implies that the spent cultivation substrates are nutritionally intact in terms of mineral contents and thus can be recycled as mineral sources and animal feeds.

새송이버섯 수확 후 배지로부터 surfactin 생성 Bacillus amyloliquefaciens YJ07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urfactin-producing Bacillus amyloliquefaciens YJ07 from Spent Mushroom (Pleurotus eryngii) Substrates)

  • 신평균;유영복;조용운;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80-185
    • /
    • 2011
  • 버섯 생산 후 발생되는 부산물인 새송이버섯 수확 후 배지로부터 surfactin을 생성하는 4종의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이 중 곰팡이 독소를 생성하는 A. flavus와 A. ochraceous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최종 선발하여 YJ07로 명명하였다. Bacillus ID kit와 VITEK 2 system를 이용하여 분리균 YJ07의 생리적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분리균은 B. subtilis, B. amyloliquefaciens와 유사한 생리적 생화학적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계통학적 유연관계에서도 B. amyloliquefaciens와 99.5%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분리균 YJ07은 B. amyloliquefaciens YJ07로 동정되었으며 분리균 YJ07이 생성하는 항균물질은 TLC와 HPLC 분석에서 reference 물질로 사용한 srfactin과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환경조건이 표고톱밥배지의 갈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 to the mycelial browning of Lentinula edodes (Berkeley) Sing. during sawdust bag cultivation)

  • 김영호;전창성;박수철;유창현;성재모;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15-121
    • /
    • 2009
  • 표고 톱밥배지의 갈변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광을 조사한 결과 100Lux 이상의 광처리에서 원하는 수량을 얻을 수 있었으며 암상태에서의 자실체의 발생은 기형버섯율이 높았으며 수량도 저조하였다. 그러나 갈변은 200 Lux이상의 광에서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가장 빨리 갈변이 되기 시작하였다. 온도별 처리에서는 $25^{\circ}C$의 배양온도를 유지하여 배양한 것이 갈변시작일도 가장 빨랐고 갈변도 가장 많이 진행되었으며 수량과 개체중량도 가장 높았으며 정상적인 수량을 나타낸 처리 중 기형버섯의 발생량도 가장 적었다. 배지내에 통기성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솜마개의 크기를 달리하여 처리한 결과 마개의 크기가 클수록 균사의 생장량도 빨랐으며 갈변이 이루어지는 시기도 빨랐다. 그러나 자실체의 수량은 솜마개의 직경이 16mm일 때 가장 높았으며 마개가 클수록 배지내의 $CO_2$함량은 낮았으며 배양기간 중 갈변이 진행되는 8주에서 14주 사이에서 $CO_2$함량이 가장 높았다. 배양기간 중 $C_2H_4$함량은 8mm의 솜마개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12, 16, 20, 0, 4mm의 솜마개으로 발생하였다. $C_2H_4$함량도 $CO_2$함량과 같이 8주에서 14주사이의 배양기간에서 가장 높았다. 침수시간에 따른 자실체의 발생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침수시간별로 자실체의 수량과 효소들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침수를 하지 않은 배지는 수량이 침수를 한 배지에 비하여 약 40%가 감소하였다. 침수시간은 4시간과 15시간 침수한 것이 각각 165g/1000ml, 175g/1000ml 이었다. 침수시 cellulose분해효소는 침수에 따른 변화가 없으나 lignin 분해효소인 laccase는 침수시간에 따라 약 4 배정도까지 효소의 활력이 증가되었다.

  • PDF

Effects of Supplementing Microbially-fermented Spent Mushroom Substrates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a Field Study)

  • Kim, Y.I.;Lee, Y.H.;Kim, K.H.;Oh, Y.K.;Moon, Y.H.;Kwak, Wan-Su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11호
    • /
    • pp.1575-1581
    • /
    • 2012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microbially-fermented spent mushroom substrates (MFSMS) on weight gai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efficiency of Hanwoo steers. Highly cellulolytic bacteria (Enterobacter spp. and Bacillus spp.) isolated from spent mushroom substrates (SMS) stacks were inoculated (1% v/v) into the SMS, which was anaerobically fermented and fed to the steers for 12.6 months during the growing and fattening periods. Growing Hanwoo steer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without supplementation of Microbially-fermented SMS (MFSMS), to a treatment group with 50% of MFSMS (1/2 of the ad libitum group), and to a treatment group with ad libitum access to SMS (the ad libitum group). All the groups were fed the formulated feed and rice straw. The voluntary intake (DM basis) of MFSMS was 1.6 kg/d during the growing period and 1.4 kg/d during the fattening period. The voluntary rice straw intake decreased by 6 to 11%, but the total voluntary DMI increased by 7 to 15% with MFSMS fed. The increased DMI with MFSMS supplementation resulted in a tendency of increased (p = 0.055) live weight gain by 8 to 12%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t slaughtering, the supplementation of MFSMS increased (p<0.05) the ribeye area by an average of 10 cm2. In conclusion, feeding MFSMS improved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traits of Hanwoo steers and could successfully replace a part of conventional roughage such as rice straw commonly used in Asian countries.

큰느타리 대체배지 종류에 따른 자실체 생육 특성 (Characteristics of fruiting body growth according to alternative substrates of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 박혜성;민경진;이은지;하태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74-278
    • /
    • 2022
  • 큰느타리 대체 재료를 선발하고 자실체 생육특성을 확인하여 안정생산기술 농가 보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처리별 배지재료를 달리하여 제조한 배지 성분분석 결과 총탄소함량은 관행(40.86%)대비 처리구에서 42.24~48.22%로 높았고, 총질소함량도 관행(1.39%)대비 처리구에서 1.7~2.29%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탄소질소비율은 관행배지에서 27.9%로 가장 높았고 처리구는 19.12~27.88%로 차이를 보였다. 처리별 균사생장은 28일간 배양하였을 때 배지-1과 배지-6에서 11.5 mm와 11.3 mm로 가장 빨랐고, 관행과 배지-3, 배지-11은 10.1~10.3 mm로 유사하였으며, 균사밀도는 처리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병당 수량은 관행배지(152.2 g/병)보다 배지-8(205.95 g/병), 배지-7(178.51 g/병), 배지-11(170.63 g/병)에서 많았다. 자실체 품질은 모든 처리에서 관행과 대등하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배지재료 가격 등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고 잔류농약, 유해미생물 등 안전성 연구를 수행하여 안전생산 및 안정생산 기술이 농가에 보급될 수 있도록 추후 면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느타리버섯 푸른곰팡이병에 대한 Thiabendazole의 방제효과 (Effects of Thiabendazole on Green Mold, Trichoderma spp. during Cultivation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spp.)

  • 전창성;유창현;차동열;김광포
    • 한국균학회지
    • /
    • 18권2호
    • /
    • pp.89-96
    • /
    • 1990
  • Thiabendazole이 느타리버섯 재배에서 발생하는 푸른곰광이병에 방제약제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한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한천배지상에서 원제농도가 50ppm 처리구에서는 ASI 2001, 2072, 2016, 100 ppm에서는 ASI 2018, 500 ppm에서는 ASI 2070호가 균사생장이 억제되었다. 2. 볏짚의 침수시 처리된 약제의 농도 중 0.2g/1000ml 이상의 처리구에서 느타리버섯 균사생장이 억제되기 시작하였다. 3. 공시약제의 모든 처리는 푸른곰광이 병원균의 처리구와 푸른곰팡이 병원균과 느타리버섯균의 혼합처리구에서도 컬럼의 하단부에 푸른곰장이병의 발생을 발견할 수 없었다. 4. 살균 전 균상표면에 약제를 농도별로 표면살포한 결과 방제효과는 $2g/m^2$$5g/m^2$의 처리구에서 병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수량성은 $5g/m^2$ 처리구에서 가장 수량이 높았다.

  • PDF

느타리 수확후배지로부터 분리된 고온성 Bacillus licheniformis YJ09의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rmophilic Bacillus licheniformis YJ09 from Spent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Substrates)

  • 김혜수;김철환;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44-248
    • /
    • 2016
  • CMCase와 xylanase 분비능이 우수한 고온성 세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진주 인근지역의 느타리 재배농장으로부터 수확후배지를 수집하였다. 느타리 수확후배지로부터 17종의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이 중 CMCase와 xylanase 활성이 큰 균주 YJ09를 선발하였다. Bacillus ID kit와 MicroLog system을 이용하여 분리균 YJ09의 생리적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분리균 YJ09은 B. licheniformis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었으며 16S r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에서도 B. licheniformis와 98.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분리균 YJ09은 B. licheniformis YJ09로 동정되었다. 분리균이 분비하는 CMCase와 xylanase 활성은 분리균이 증식함에 따라 대수증식기 중반부터 급격히 증가하였고 정지기에 진입하면 효소활성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xylanase 활성은 대수증식기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대수증식기 중반에 최대활성을 나타내었다.

미생물과 개미산 첨가가 팽이버섯 수확후배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crobes and Formic acid on Storage of Spent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Substrates)

  • 문여황;이성실;조용운;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44-248
    • /
    • 2012
  • 팽이버섯 수확후배지의 사료화에 가장 적합한 저장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미생물과 개미산을 처리한 팽이버섯 수확후배지를 퇴적, 뒤집기, 비닐피복 등의 방법으로 저장한 다음 미생물과 개미산 처리가 팽이버섯수확후배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처리구별 팽이버섯 수확후배지의 외관적 성상변화를 종합해보면 저장기간 동안 모든 처리구에서 버섯 균사체가 버섯수확후배지의 표면에 우점하고 있었으며 호기적 조건보다는 혐기적 조건에서 저장성이 향상되었고 개미산 처리와 같은 화학적 처리법보다는 미생물을 접종한 처리구의 저장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생물과 개미산을 처리한 버섯수확후배지를 퇴적, 비닐피복, 뒤집기 등의 방법으로 8일 동안 저장하면서 버섯수확후배지의 온도, pH, 일반세균 수 등을 조사한 결과, 온도, pH, 일반세균 수는 미생물과 개미산 무처리구를 뒤집기한 경우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