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hroom cultivation houses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18초

최근 국내 표고 재배사의 온도, 습도 변화 성향 조사 (Investigation of the shift trend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 greenhouses for oak mushroom cultivation)

  • 김지은;김준영;안홍석;권혁우;고한규;김성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2-346
    • /
    • 2018
  • 기후 변화에 따른 표고 재배사내 온도와 습도의 변화 추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5년 동안 봄, 여름, 가을 기간에 걸쳐 국내 49곳의 표고버섯 재배사에서 온도와 습도를 측정 분석하였다. 톱밥배지 재배사의 5년간 평균 온도와 습도는 $24.7^{\circ}C$와 60.5%이었다. 원목 재배사의 5년간 평균 온도는 $24.4^{\circ}C$, 평균 습도는 60.0%로 나타났다. 여름철 기간 중 온도 평균은 원목재배사의 경우는 2016년 $29.8^{\circ}C$, 2017년 $29.1^{\circ}C$, 2018년 $33.3^{\circ}C$이었으며 톱밥배지 재배사의 경우는 2016년 $26.8^{\circ}C$, 2017년 $20.4^{\circ}C$, 2018년 $24.2^{\circ}C$이었다. 조사 기간 중 $30^{\circ}C$가 넘는 고온으로 측정된 재배사는 봄철에 1곳, 여름철에 5곳이었으며 원목 재배사가 5곳을 차지하였다. 원목재배에서 온도가 $20^{\circ}C$를 넘지 않는 재배사는 4곳으로 모두 가을에 조사된 온도였다. 본 연구 조사는 기후변화에 대비해 표고 재배사의 경우 원목 재배사 관리에 우선적으로 대비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장마철 표고(Lentinula edodes) 재배사내 발생 유해 진균류의 동정 (Identification of fungal species in oak mushroom cultivation houses during the rainy season)

  • 정상욱;장은경;최선규;이원호;반승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6-70
    • /
    • 2021
  • 표고 재배사내 진균류의 발생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골목에서 발생한 진균류를 분리·동정하고 재배사내 온·습도 환경을 분석하였다. 표고골목에서 발생한 진균을 분석한 결과 Cladosporium sp., C. cladosporioides, C. anthropophilum, Pleosporales sp., Trichoderma harzianum, Acremonium sp. 6종으로 확인되었다. 재배사내 환경을 조사한 결과는 5월 1일부터 10월 12일 사이에 재배사내 최고·저 온도가 14.0~30.1℃, 평균습도는 82.8%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표고 재배과정 중 진균류의 발생이 활발한 초여름부터 가을철 사이에 철저한 재배관리가 중요하며, 한번 발병한 진균류는 연중 재배사내 생존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전에 유해 진균류 발생에 유리한 생육환경을 예방해야 한다.

원목 및 톱밥배지 버섯 재배사 내 실내 공기서 분리한 미기록 진균 보고 (Unrecorded Fungal Species Isolated from Indoor Air in the Log Bed- and Sawdust Media-based Mushroom Cultivation Houses)

  • 안금란;김지은;김준영;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95-503
    • /
    • 2018
  • 2016년 4월부터 6월까지 표고 원목재배 임가 4곳과 표고 톱밥재배 임가 1곳의 재배사 내 실내 공기에서 진균을 포집 및 분리 동정하였다. 총 6개의 국내 미기록 진균(Cenangium acuum, Periconia macrospinosa, Neopestalotiopsissurinamensis, Metarhiziummarquandii, Trichoderma petersenii, Trichoderma paratroviride)을 분리하였으며 이들 균류에 대하여 형태학적 특성 및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DNA region, large subunitregion, ${\beta}-tubulin$ 또는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유전자 염기서열에 기반하여 계통학적 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새송이버섯 재배사의 환경인자 계측(III) -영구재배사를 중심으로-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in Pleurotus eryngii Cultivation House(III) -Based on Panel Type Structure-)

  • 서원명;윤용철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87-192
    • /
    • 2005
  • Pleurotus eryngii(King oyster)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mushrooms being produced on the domestic farms. The quality as well as quantity of Eryngii is sensitively affected by micro climate factors. To safely produce high-quality Eryngii all the year round, it is required that the environmental factors be carefully controlled by well designed structures equipped with various facilities and control systems. This study was carried out at the commercial mushroom cultivation houses to find out reasonable range of each environmental factor and yield together with economic and safe structures influencing on the optimal productivity of Eryngii.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Nov. 10, 2004 to Aug. 27, 2005 in Eryngii. cultivation houses. The environmental factors measured for this study were inside/outside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CO_2$ concentration in Pleurotus eryngii medium. In addition, the yield and quality of mushroom were made investigation. But the optimal productivity will be evaluated by considering the quality and quantity of mushroom production, energy requirements, facility construction and management cost, etc.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irborne Mushroom Damaging Trichoderma spp. from Indoor Air of Cultivation Houses Used for Oak Wood Mushroom Production Using Sawdust Media

  • Kim, Jun Young;Kwon, Hyuk Woo;Lee, Dong Hyeung;Ko, Han Kyu;Kim, Seong Hw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6호
    • /
    • pp.674-683
    • /
    • 2019
  • Some species of the Trichoderma genus are reported as the major problem in oak wood mushroom production in Korea. In spite of economic loss by the fungi, scientific information on airborne Trichoderma species is not much available. To generate information for disease management development we analyzed airborne Trichoderma. A total of 1,063 fungal isolates were purely obtained from indoor air sampling of cultivation houses used for oak wood mushroom using sawdust media. Among the obtained isolates, 248 isolates were identified as Trichoderma fungi including T. harzianum, T. atroviride, T. citrinoviride, and T. pseudokoningii, by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is. T. harzianum was dominant among the four identified species. All the four Trichoderma species grew fast on solid nutrient media tested (potato dextrose agar [PDA], malt extract agar [MEA], Czapek's Dox + yeast extract agar [CYA] and cornmeal dextrose agar). Compact mycelia growth and mass spore production were better on PDA and CYA. In addition, T. harzianum and T. citrinoviride formed greenish and yellowish mycelium and spores on PDA and CYA. Greenish and yellowish pigment was saturated into PDA only by T. pseudokoningii. These four Trichoderma species could produce extracellular enzymes of sawdust substrate degradation such as β-glucosidase, avicelase, CM-cellulase, amylase, pectinase, xylanase, and protease. Their mycelia inhibited the growth of oak wood mushroom mycelia of two tested cultivars on dual culture assay. Among of eleven antifungal agents tested, benomyl was the best to inhibit the growth of the four Trichoderma specie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airborne Trichoderma fungi need to be properly managed in the cultivation houses for safe mushroom production.

국내 표고버섯 재배사에 바이오에어로졸로서 분포하는 진균의 농도와 종 분석 (Analysis of Fungal Concentration and Species Present as Bio-aerosols in Oak Mushroom Cultivation Houses)

  • 김성환;김지은;김준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93-403
    • /
    • 2018
  • 공기에 의해 운반되는 바이오에어러졸은 농산물 오염을 널리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진균 포자는 버섯 재배 중에 버섯과 인간의 건강에 해를 끼치는 바이오에어로졸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표고버섯 재배사 실내의 공기 중에 존재하는 진균의 농도 및 종 분포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5년과 2016년에 국내 6 개의 다른 지역에 위치한 13 개의 표고버섯 재배 농장에서 21 차례 실내공기로부터 진균 포자를 샘플링하고 분석하였다. 공기 중 진균 농도는 $1.30{\times}10^2-1.59{\times}10^4cfu/m^3$ 범위였다. 중요하게도 20 차례의 농장방문 시료 채취 결과에서 진균 농도가 환경부의 실내공기질 권장 기준 농도인 $500cfu/m^3$를 초과하였다. 총 450 균주의 진균이 분리되었으며 46 속 33 종으로 동정되었다. 이중에 인체 위해균(4 속 4 종)과 식물병원균(10 속 13 종)이 존재하였다. 또한, 버섯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해로운 종인 Trichoderma harzianum, T. atroviride 및 T. longibrachiatum가 21 건 시료 채취 중 17 건에서 빈도 높게 검출되었다. 본 결과는 버섯생산의 재배관리를 위해서 재배사 실내 공기질을 개선해야 한다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표고 현장적응 시험 버섯 재배사내 공기에서 검출한 국내 미기록 진균 보고 (Unrecorded fungi isolated from indoor air of cultivation houses used for field test of a newly bred domestic shiitake cultivar)

  • 안금란;안홍석;권혁우;고한규;김성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68-173
    • /
    • 2016
  • 청양과 장흥에 소재한 버섯 재배사에서 새로 육종된 표고 품종의 현장 실증검증 도중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잠재적 진균을 파악하고자 재배사내 공기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오던 중 국내에 기록이 없는 Mortierella parvispora, Doratomyces purpureofuscus, Periconia byssoides, Periconia pseudobyssoides 등 네 종의 진균을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이중 두 종은 식물병원균으로 알려진 종이었고 다른 두 종은 부생성 균으로 다량의 포자를 생산하고 버섯재배 환경에서 오염균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균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동정된 진균에 대한 형태적 특성,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와 18S rDNA region 염기서열 분석에 기반한 계통학적 관계, 그리고 알려진 정보 등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표고 재배사에서 분리한 국내 미기록 진균 보고 (Unrecorded fungi isolated from Lentinula edodes cultivation houses in Korea)

  • 안금란;노형진;김준영;고한규;김성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2-78
    • /
    • 2020
  • 2016년과 2017년 서천, 장흥, 부여, 여주에 소재하는 표고 재배사에서 진균성 병원균을 모니터링 하는 과정에서 Acrodontium crateriforme, Naganishia friedmannii, Pestalotiopsis trachicarpicola, Penicillium wollemiicola, Trichoderma thailandicum 등 5 종의 국내 미기록 진균을 재배사내 실내 공기, 버섯 파리, 버섯 배지재료 등에서 분리하였다. 이들 진균은 PDA 배양하여 생장시키면서 형태적 특성 조사하고 26S rDNA, 28S rDNA, β-TUB 유전자, TEF 유전자 등을 PCR 기술로 증폭하고 그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여 동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의 분류학적 위치와 위해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느타리버섯 볏짚 배지(培地)에 발생(發生)하는 유해균류(有害菌類) (Harmful Fungi Associated with Rice Straw Media for Growing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 신관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2-98
    • /
    • 1987
  • 느타리버섯 볏짚배지(培地)에 발생하는 유해균류(有害菌類)를 조사하고 그중 발생(發生) 및 피해(被害)가 큰 균류(菌類)의 배양적(培養的) 성질에 관한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느타리버섯 볏짚배지(培地)에서 12종류(種類)의 진균류(眞菌類)가 분리(分離)되었는데 그 중 Trichoderma, Aspergillus, Rhizopus 등은 발생빈도(發生頻度)가 높고 발생양(發生量)도 많았다. 2. 느타리버섯 볏짚배지(培地)에서는 7종(種)의 Trichoderma가 동정되었는데 발생빈도(發生頻度)는 T. pseudokoningii, T. aureoviride, T. viride, T. harzianum, T. koningii의 順이었다. 3. 유해균류(有害菌類)의 발생(發生)은 일반 버섯재배사(栽培舍)에서 재배회수(栽培回數)가 증가(增加)할수록 많았고 추기재배(秋期栽培)보다는 춘기재배(春期栽培)에서 심하였다. 4. 볏집추출배지(抽出培地) 및 느타리버섯 추출배지(抽出培地)에서 Trichoderma, Aspergillus, Rhzopus 등 공시한 균들의 균사생장과 분생포자의 형성이 양호한 결과를 보이므로서 볏짚배지(培地) 및 균상(菌床)의 버섯과 그 파열물들이 균류(菌類)의 발생(發生)에 알맞는 조건을 부여하였다. 5. Trichoderma spp.는 톱밥추출배지(抽出培地) 및 미강추출배지(米糠抽出培地)에서 생장(生長)이 극히 양호하여 균상(菌床)에 접종(接種)한 종균(種菌)은 균류(菌類)의 배지(培地)가 되었다.

  • PDF

Characteristics for the growth and yield of Pleurotus ostreatus by air velocity

  • Oh, Tae-Seok;Park, Youn-Jin;Lim, Hyun-Goo;Kim, Tae-Kwon;Jang, Myoung-Jun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1-46
    • /
    • 201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optimum wind velocity for growth of Pleurotus ostreatus. In the chamber experiments, the divergence of pileus was $63^{\circ}$ in 0.3m/s, and it showed the tendency that the more the air velocity was increased, the more the divergence became small. And the ratio of commercial yields was 96% in the air velocity of 0.3m/s. In the cultivation room experiments, the divergence of pileus was $64^{\circ}$ in 0.3m/s, and it was the tendency that the more the air velocity was fast, the more the divergence became larger. And the commercial yields was similar to the trend of the chamber experiment as 94.8% in 0.3m/s,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fruit-body showed the uniform quality in comparison with other treatment because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size of the pileus, etc. was the lowest in 0.3m/s like the chamber experi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