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hroom cultivation

검색결과 685건 처리시간 0.03초

잿빛만가닥버섯(Lyophyllum decastes)의 발효톱밥에 의한 인공재배 특성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n Artificial Cultivation method of Hatakeshimeji (Lyophyllum decastes) using fermented sawdust substrate)

  • 우성미;박용환;유영복;신평균;장갑열;이강효;성재모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56-162
    • /
    • 2009
  • 잿빛만가닥버섯의 인공재배법을 개발하고자 국내 외에서 수집한 균주의 균사배양 특성을 검정하고 자실체 발생을 위한 다양한 재배방법을 구명하였다. 잿빛만가닥버섯 9균주를 공시하여 선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균사생장속도가 빠르고 균사밀도가 양호한 SPA 202 및 SPA 205균주를 선발하였으며 선발배지는 BC배지가 가장 양호하였다. 인공재배시 참나무톱밥과 포플러톱밥이 균사생장속도가 가장 빠르고 균사밀도가 가장 치밀하였으며 최적배지는 발효톱밥을 사용한 참나무톱밥(Quercus aliena)40%+포플러톱밥(Populus deltoides)40%+미강(Rice bran)10%+밀기울(Wheat bran)10% 배지로서 이 때균사배양적온은 $20-25^{\circ}C$이며 배양기간은 접종 후 50일, 복토 후 7일이 소요되었으며, 원기형성 및 자실체생육기간은 $17-18^{\circ}C$에서 각각 10~11일, 7~8일이 소요되었다. SPA 202균주의 수확적기의 자실체는 갓의 직경이 60mm, 대의 길이가 67mm이며, 수량은1,100ml병당 130g이었으며 SPA 205균주의 수확적기의 자실체는 갓의 직경이 51mm, 대의 길이가 81mm, 129g이었다. 잿빛만가닥버섯 인공재배 결과, 배지는 발효톱밥 처리구가 미발효톱밥 처리구보다 수량이 많아 SPA 202균주와 SPA 205균주가 가장 양호한 균주로 선발되었다.

  • PDF

국내 표고(Lentinula edodes) 주산지인 장흥지역에 적합한 국산 원목품종 선발 (Selection of domestic shiitake strains suitable for the cultivation in Jangheung region)

  • 정상욱;장은경;장혜미;하늘이;최선규;반승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47-35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원목재배용 표고(Lentinula edodes) 국산 품종에 대한 장흥지역에서 적합한 표고품종 선발을 위해 국내산 총 5개(천백고, 수향고, 백화향, 풍년고, 산조303호) 품종과 일본산 2개(모리290, 모리유지로) 품종을 선택하여 적합품종 선발을 위해 재배시험을 실시하였다. 생산량 조사결과 산조303호가 40.9 kg으로 모리290 39.2 kg, 모리유지로 37.7 kg 보다 우수한 생산량을 보였다. 표고의 품질은 백화향이 갓이 반구형으로 형태가 우수하였으며, 화고형으로 발생하는 특징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존 재배중인 일본산 품종과 발생특성이 유사하며 생산량이 우수한 산조303호와 고품질의 표고를 생산하는데 유리한 백화향이 장흥지역에서 적합한 국산 표고품종으로 선발하였다.

느타리버섯 신품종 육성 연구(II) -병재배용 신품종 『소담』 느타리버섯- (A new oyster mushroom variety 『Sodam』 for the bottle cultivation)

  • 지정현;주영철;김희동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222-224
    • /
    • 2004
  • 병재배 느타리버섯의 품종 다양화를 위해 단핵균주교잡에 의해 육성된 소담느타리의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가. 소담느타리는 애느타리1호와 수한느타리1호의 단핵균주 교잡에 의해 육성 된 품종으로 균사생장 적온은 $25{\sim}30^{\circ}C$이고 버섯발생 및 생육온도는 $14{\sim}16^{\circ}C$이다. 나. 갓색은 회색이고 얕은 깔대기형이며 발이수가 많다. 다. 배양일수는 $20^{\circ}C$에서 20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3일이며 가늘고 짧은형으로 농가실증시험에서 병당 수량은 148.2g으로 높은 편이었다. 라. 균사활력이 강해 배양이 빠르므로 적기에 발이유기가 요구된다.

  • PDF

Analysis of management status of oak mushroom management in Chungcheongnam-do

  • Oh, Do Kyo;Ji, Dong Hyun;Kim, Se Bin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3호
    • /
    • pp.483-492
    • /
    • 2021
  • This study attempted to estimate the degree of management of oak mushroom farms in Chungcheongnam-do and to provide information to establish oak mushroom cultivation-related policies. The oak mushroom management standard diagnostic table consists of three major categories, growing condition, inoculation management, cultivation management and management administration, along with 20 subcategories. Thus, 209 households of oak mushroom farms were surveyed from 2015 to 2018 in Gongju, Cheongyang, Buyeo and Seochun in Chungcheongnam-do. The average score for the 20 subcategories was 71.5 points (representing a significant level), indicating that these areas have excellent management conditions. The analysis of the management performance indicators revealed a high number of indicators with scores of five or above. The total score was higher, and the amount per bed log and the rate of top-grade products in the total output were also higher, indicating a significant correlation. These findings will provide consulting services to oak mushroom growers as they highligh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igher scores of indicators in the oak mushroom management standard diagnostic table and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farmers. We found that the scores of the indicators for management administration, such as management record and analysis and fund plan were relatively lower than those of other indicators. It is assumed that the owners aging has led to negligence in recording the details on incomes, expenditures, and work and lowered the willingness to make substantial profit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overcome these problems for profitable oak mushroom farming.

버섯 수확 후 배지의 산업적 활용 (Industrial utilization of spent mushroom substrate)

  • 강희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85-92
    • /
    • 2019
  • Over a million tons of spent mushroom substrate (SMS) are generated as by-products of mushroom cultivation every year in Korea. Disposal of SMS by mushroom farmers is difficult, therefore, recycling solutions that do not harm the environment are necessary. SMS consists of mushroom mycelia and residues of fruiting bodies, containing a variety of bioactive substances, such as extracellular enzymes, antimicrobial compounds, and secondary metabolites. This paper reviews utility of SMS for bioremediation, controlling plant disease, and production of lignocellulytic enzymes, organic fertilizer, and animal feed.

표고 톱밥재배용 모균주 선발과 교배균주의 균사배양 및 생육 특성 (Selection of parental strain on the sawdust cultivation and mycelial growth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Lentinula edodes hybrid strains)

  • 노종현;고한규;박흥수;구창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1-49
    • /
    • 2015
  • 표고(Lentinula edodes)는 우리나라의 주요 임산버섯으로 최근 표고 톱밥재배가 정착됨에 따라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나 국내 환경에 적합하고 재배시기를 다변화 할 수 있는 균주의 육성이 시급하다. 따라서 9개의 균주를 시험재배하여 생산성이 높고 자실체 특성이 우수한 4개 균주(SANJO701HO, FMRI2534, FMRI2337, FMRI2613)를 모균주로 선발하였고 균주당 각각 20개씩 총 80개의 단핵균주를 분리하여 117개의 교배균주를 육성하였다. 그중 산조701호와 FMRI2337의 교배조합이 다른 조합의 교배균주들보다 평균생장속도가 10% 가량 낮았으며 이들 교배균주의 배양 및 생리적 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수한 톱밥재배용 품종개발의 기반조성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차후 교배균주에 대한 생산성 검정의 연구가 필요하다.

Effects of Nutrient Composition on Yield and Quality of Mushroom in Lentinula edodes Cultivation Using Softwood Sawdust

  • Jung, Ji-Young;Hong, Seong-Cheol;Rinker, Danny Lee;Choi, Myung-Suk;Lee, Byung-Hyun;Yang, J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2호
    • /
    • pp.124-134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using softwood as the sawdust medium for Lentinula edodes cultivation, effect of nutrient on the mycelial growth, spawning, the mushroom yield, and quality. The nitrogen nutrition significantly enhanced the mycelial growth of L. edodes. The glutamic acid in the L. leptolepis and P. koraiensis, and asparagine in the P. densiflora were appeared to slight increase in the mycelial growth. The vegetable oil showed very effective on the mycelial growth in the P. koraiensis sawdust medium. Carbon/nitrogen ratio of all the test was reduced after mycelial growth. The mycelial growth was exclusively dependent on reduction of carbon. The mushroom yield (32.7%) of the P. densiflora sawdust medium (carbon source: 3% active carbon, nitrogen source: 0.4% asparagines) was the best in mushroom production of L. edodes, followed by the Q. variabilis sawdust (35.4%) of the control medium. The diameter of mushroom cap was obtained from the P. densiflora sawdust (carbon source: 3% sucrose, nitrogen source: 0.4% potassium nitrate) and P. koraiensis sawdust (carbon source: 3% sucrose, nitrogen source: 0.4% potassium nitrate), and the P. koraiensis sawdust (carbon source: 3% xylose, nitrogen source: 0.4% glutamic acid, supplement: 0.05% amino acid), with values 71.5 mm, 71.5 mm and 72.1 mm, respectively. In the polypropylene bag cultivation, the weight losses of the block medium gradually increased for 80 days in the dark (13.8~16.8%) and then became stable in the range of 20.7~25.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style Button Mushroom Cultivation Compost Post-Fermentation System"

  • Rho, Si-Young;Kwak, Kang-Su;Lee, Hyun-Dong;Yu, Byeong K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1호
    • /
    • pp.183-189
    • /
    • 2021
  • 이 연구는 한국형 양송이버섯 재배 배지 후발효 시스템의 개발을 통해 양송이버섯 농가의 노동력 절감, 생산 사이클 단축을 통한 농가 소득 증가를 목적으로 두고 있다. 한국형 양송이버섯 재배 배지 후발효 시스템은 국내 양송이버섯 농가의 현실을 반영하여 설계되었으며, 후발효 시스템 내의 발효 배지의 온도 차를 줄여 균일한 품질을 보장하는 양송이버섯 재배 배지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성능 실험 결과 배지 후발효 시스템이 40시간의 작업 시간이 단축되었으며, 양송이버섯 배지에 도움이 되는 호기성 세균 및 방선균은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양송이버섯 품질을 저하시키는 사상균은 살균됨을 확인하였다.

표고 수집균주의 재배적 특성 및 갈변과의 상관관계 (Cultural characteristics on collected strains of Lentinula edodes and correlation with mycelial browning)

  • 김영호;전창성;박수철;유창현;성재모;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45-154
    • /
    • 2011
  • 표고 수집균주의 특성을 파악하고 재배적 특성과 갈변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써 표고 톱밥재배를 안정적으로 실시하고 재배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한천배지에서의 균사생장은 균주와 배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MEA와 PDA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균사생장 최적온도는 $20{\sim}25^{\circ}C$ 이었다. 200lux의 광조건에서 갈변패턴에 따라 균주를 분류할 수 있었다. 갈변기간은 한천배지에서는 30-40일, 톱밥봉지에서는 70~100일이 소요되었다. 자실체 특성을 관찰한 결과 300g 이상 수량을 보이는 균주가 12균주였으며, 자실체 수량 및 재배특성을 고려할 때 ASI 3046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균사생장과 갈변 간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PDA배지와 톱밥 균사생장과는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한천배지에서 갈변되는 기간과 톱밥배지에서 갈변되는 기간과의 관계는 고도 유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균이 갈변되는 성질은 영양분의 차이보다는 균의 고유한 성질이라고 생각되며 갈변이 빠른 균주를 선발하기 위해서는 한천배지를 이용하여 균을 선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톱밥재배에 필수적인 갈변에 대한 이해를 실제 재배에 접목시켜 톱밥재배 기간을 단축시키거나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증대시키는 등 톱밥재배를 활성화시킨다면 품질이 높은 생표고를 낮은 가격으로 생산해 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소규모 큰느타리 병재배 농가에서 버들송이 동시재배 방법 (Methods of Agrocybe cylindracea simultaneous cultivation for small scale bottle cultivation farmers of Pleurotus eryngii)

  • 정종천;이찬중;오진아;유영복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61-165
    • /
    • 2011
  • 소규모 병재배 농가는 대규모 농가에 비하여 생산비가 많이 소요되므로 가격경쟁력이 낮다. 소규모 농가에서 인력의 존도가 높은 점을 활용하여 주 생산품목과 유사한 조건에서 동시에 재배가 가능한 다품목의 생산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큰느타리와 버들송이의 재배조건이 유사함을 토대로 공통의 배지를 선발하였다. 병재배용 자동입병기를 사용하여 배지를 충진하였을 때, 배지재료의 종류 및 혼합비율에 따라서 병내의 고상비율은 20~25% 범위로 차이가 있고, 배지의 수분함량 65%에서 액상비율은 38~45, 기상비율은 31~41까지 차이가 많았다. 배지의 최적 수분함량은 버섯 종류와 배지의 조성에 따라서 다른 경향이었다. 큰느타리의 경우 미송톱밥+미강 또는 미송톱밥+건비지 배지는 수분함량 70%, 미송톱밥+밀기울 배지는 65%, 미송톱밥+밀기울+건비지 배지는 67%에서 수량이 많았다. 버들송이는 공시배지 모두 수분함량 70%에서 수량이 많았다. 공시배지중 큰느타리는 미송톱밥+밀기울+건비지 75:20:5(v/v,%), 수분 67%; 버들송이는 미송톱밥+밀기울 75:25(v/v,%), 수분 70% 배지에서 자실체 수량이 많았다. 그리고 미송톱밥+미강+건비지 75:20:5(v/v,%), 수분함량 70% 배지에서 큰느타리와 버들송이는 배양기간, 버섯 발생 및 생육 환경이 비슷하여 공통의 재배용 배지로 사용하기에 알맞았다. 따라서 큰느타리가 주 품목인 소규모 농가에서 큰느타리용 배지의 일부에 버들송이 종균도 접종하여 동일한 재배환경에 안정적인 동시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