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eum education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31초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Program Using Community Resources)

  • 함다정;박재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1호
    • /
    • pp.149-16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program using community resources in Paju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n ESD competencies of 6th graders. The community resources used were Unjeong lake park, environmental circulation center, environmental management center, currency museum, butterfly museum, experience center for peaceful unification, Yulgok arboretum, and Jangsan observatory. The newly developed program was related to creative-experience activity and composed of 15 sessions for 6th-grade class in elementary school, including all of the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aspects of ESD. Two classes of the 6th grade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n that ESD program using community resources did not help improving the perception and function competencies of learners except for the thinking abilities. Second, it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learners' attitude competencies, especially in self-reflective attitude and other-oriented attitude. Also, according to in-depth interview, the students were constantly developing their valu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reflecting their thoughts and behaviors in a reflective way and improving their attitude toward life.

Marketing for Real and Virtual Museums: A marketing Model to Explain Visitor Behavior in Real Museums and an Outlook on its Applicability to Virtual Museums

  • Terlutter, Ralf;Diehl, Sandra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0권
    • /
    • pp.45-7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more insight into the explanation and prognosis of consumer behavior in real and virtual museums. The analysis focuses on the influence of the museum environment on the museum patrons (rather than on the influence of the art objects). On the basis of the emotional approach to environmental psychology by Mehrabian and Russell (1974), a behavior model has been developed for museums. The model, which is based on the emotional variables pleasure, arousal and dominance (PAD), is also enhanced by cognitive variabies (learning attractiveness, education standard and information demand). The enhancement of the classical model was necessary because cognitive variables play a major role in cultural institutions such as museums: One important objective of museums is the communication of cultural knowledge to visitors. The model is tested empiricall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01 visitor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Two different museum environments were represented using visual stimuli. The theoretical model for museums can be proved empirically. The degree to which the model fits the empirical data was extensively tested. The model showed high compatibility with the data and could be accepted. The study proves that a model can be developed, which explains visitor behavior in museums. The model shows museum designers how museums should be designed to be both emotionally appealing and a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empirical studies in virtual stores on the Internet, it is discussed whether the research findings in these environments may be applied to virtual museum environments. In order to create an emotionally appealing virtual museum, it is recommended that one uses a 3-dimensional representation to offer various possibilities for interaction and to create a multi-sensual environment that appears highly realistic.

  • PDF

현장학습을 통한 중학생들의 과학관 선호도 및 인식 변화 (The Effects of Field Trips on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ence and Awareness of Science Museum)

  • 장현숙;최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30-34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7개윌에 걸친 5회의 과학관 견학활동을 경험한 중학생들의 과학관 현장학습에 대한 선호도 및 인식 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 중학교 2, 3 학년 3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과학관 현장학습 전후 연구 대상 학생들에게 과학관 및 과학관 현장학습에 대한 선호도, 효율성, 영향 등에 대해 묻는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 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관 현장학습을 통해 중학생들은 과학관을 흥미위주의 공간이기보다 자신의 관심 분야와 관련지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 즉 정보 제공의 매체로 인식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관 현장학습을 통해 경험한 내용은 학교에서 배운 과학 내용과 관련짓거나 미래 과학의 발전, 실생활에 과학의 적용, 과학 기술의 역사적 발달 과정, 과학관련 뉴스나 사회문제, 과학이란 무엇인가 등에 대해 생각하는 계기가 되어 과학을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우리나라의 과학관들은 아직 양적 질적 측면에서 미흡한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과학관 및 과학관 현장학습의 영향이 학생들에게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의 과학 기술을 발전시키고 과학적 소양을 함양시키는데 기여를 할 수 있는 수준높은 과학관 시설의 확충 및 적극적인 홍보, 정규 비정규 교육에서 과학관의 적극적인 활용이 절실히 필요함을 시사한다.

한국의 미기록종 Nematus tibialis Newman, 1837 (벌목: 잎벌과)에 대한 보고 (A New Record of Nematus tibialis Newman, 1837 (Hymenoptera: Tenthredinidae) from South Korea)

  • 이재현;정효진;이혜린;최진경;이관석;권기면;구덕서;안태호;이원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21-27
    • /
    • 2023
  • 본 연구에서 Nematus tibialis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이 종의 사진과 진단, 색 변이, 발육 단계와 분포 등을 제공하였다.

Exhibition and Education of Astronomy in Museum of Natural History

  • Lee, Kang Hwan
    • 천문학회보
    • /
    • 제41권2호
    • /
    • pp.45.1-45.1
    • /
    • 2016
  • 우리나라 대부분의 과학관에는 천문시설이 갖추어져 있고, 천문분야 전시와 교육이 어느 정도는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자연사박물관에서는 천문분야가 주요 분야로 인정받고 있지 못하고 그 내용도 빈약한 편이다. 수도권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연간 35만 명 정도의 관람객이 방문하고 있는 서대문자연사박물관에도 일부 천문 전시가 있긴 하지만 다른 분야에 비해 매우 빈약하다. 자연의 역사를 다루는 자연사박물관에서 우주의 탄생으로 보여주는 천문학은 중요한 역할을 차지할 여지가 있고, 실제 해외 유명 자연사박물관에서는 천문 분야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국립자연사박물관의 건설도 추진되고 있는 상황에서 자연사박물관에서의 천문전시와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지 논의해 보았으면 한다.

  • PDF

교육프로그램 참가자 만족도 조사로 본 국립과천과학관의 비형식 과학교육프로그램 운영 방향 연구 (The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the Informal Science Education Program of the Gwachon National Science Museum Based on the Participant Satisfaction)

  • 김이슬;이선희;손정주;김중복;권효순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4권2호
    • /
    • pp.279-290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립과천과학관 교육프로그램 참가자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통해 비형식 과학교육기관의 교육프로그램 운영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과학관으로서 $4,322m^2$의 교육 공간을 따로 확보하고 있어 교육의 기능이 용이하며 최근 1년간 1만명 이상의 자체 교육프로그램 수강생을 유치한 경기도 과천시 소재의 국립과천 과학관을 연구 장소로 선정하여 2010년 5월 교육프로그램에 참가자 중 87명의 학생과 78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과학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및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비형식 과학교육기관이 과학적 소양 및 탐구 능력, 과학적 태도 향상 측면에서 학교교육에 대한 보완을 해 주기를 바라는 인식이 나타났다. 개선해야 할 점으로는 학생 활동에 대한 피드백, 학년별 세분화, 강사의 수업방식과 홍보에 대한 요구가 있었으며,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을 위한 중장기 프로그램을 마련, 접수 대상 제한, 수업 지도안 개발, 홍보 방식의 개선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미술관 관람객의 서비스품질 인식과 만족도 분석 : 광주시립미술관을 중심으로 (Service Quality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Art Museum Visitors: The Case of Gwangju Museum of Art)

  • 변길현;이혜진;강신겸
    • 문화경제연구
    • /
    • 제17권2호
    • /
    • pp.137-159
    • /
    • 2014
  • 기존의 박물관 중심의 연구에서 활용되어온 서비스품질 측정지표들이 미술관의 서비스품질 측정 및 서비스 개선방안 연구에 여과 없이 사용됨에 따라, 미술관 고유의 서비스 특성과 이에 따른 적절한 개선안을 도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관의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 척도를 개발하고, 이들이 방문객 만족도 및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미술관의 서비스품질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광주시립미술관을 방문한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요인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술관의 서비스품질 요인은 전시방법, 직원서비스, 전시내용, 미술관시설, 부대프로그램 등 5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서비스품질 요인 가운데 전시내용이 미술관 재방문이나 추천의도, 전반적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 전시내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재방문 의도와 추천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부대프로그램은 재방문의도에 전시내용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미술관의 고유한 기능인 전시이외에도 교육, 체험, 여가의 요소들이 복합된 다양한 부대프로그램이 미술관의 서비스 질을 높이고 방문객의 만족도 및 재방문율을 높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미술관을 대상으로 하는 실증적 연구를 통해 미술관의 서비스 연구에 필요한 서비스품질 척도들을 검증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나아가 미술관 경영 및 마케팅 담당자들에게 전시내용 및 부대프로그램 개발이라는 서비스품질 향상을 위한 핵심적인 요소들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헌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구와 달 관련 과학관 체험 학습에서 ICT 활용 협동 학습(TGT) 모듈을 적용한 사전 학습 프로그램이 성별에 따라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Pre-learning Program Applied by ICT-based TGT (Teams-Games-Tournaments) Cooperative Module for Science Museum Excursion Regarding of the Earth and the Moon on the Science Related Attitude according to Gender)

  • 박순흥;신영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3호
    • /
    • pp.326-340
    • /
    • 2010
  • TGT (teams-games-tournaments) cooperative learning is suggested as a method which enables both the individualized teaching-learning and the small group learning in students-centered open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structional effects of the pre-learning program applied by ICT-based TGT cooperative module for science museum excursion regarding of the earth and the moon on the science related attitude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 Three classes of third graders (N=87) at a elementary school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ICT-based TGT cooperative learning group, the ICT learning group, and traditional learning group. The students were taught about the planning of exploring the moon in the chapter of the earth and the moon, for 1 class hour. Prior to the instructions, the TOSRA(test of science related attitude) and achievement test were administered. Two-way ANCOVA results revealed that the scores of the ICT-based TGT cooperative learning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learning groups for most of the TOSRA scales. However, there was a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three distinct scales of TOSRA, Normality of Scientists, Leisure Interest in Science, and Career Interest in Science. Advantage/disadvantage and usefulness of ICT-based TGT cooperative learning were also discussed.

  • PDF

국립부산과학관 천문교육과 행사 (Astronomy Education and Public Events of Busan National Science Museum)

  • 박혁;최준영
    • 천문학회보
    • /
    • 제41권2호
    • /
    • pp.45.3-45.3
    • /
    • 2016
  • 2015년 12월에 개관한 국립부산과학관은 동남권 유일의 종합과학관으로 천문교육을 위한 천체관측소와 천체투영관을 보유하고 있다. 천체관측소에는 국내 최대규모의 구경 350mm 굴절망원경을 포함 다양한 천체관측 및 교육장비를 갖추고 있고, 천체투영관에는 디지털식 투영기와 직경 17m의 돔스크린, 133석 규모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천문시설은 일반개인관람, 학교단체교육, 학교 및 가족이 참여하는 1박 2일 캠프프로그램, 천문행사 등에 활용되고 있다. 개관 1주년을 바라보고 있는 시점에서 지속적인 천문 교육수요 창출을 위해 보다 효율적인 운영방법모색 및 다양한 컨텐츠를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2021년 부산에서 개최되는 제31차 국제천문연맹총회(IAUGA)에서의 국립부산과학관의 역할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이번 발표에서는 국립부산과학관의 천문시설의 활용 현황을 소개하고 타 기관의 우수 사례를 공유하여 국립부산과학관 뿐만 아니라 전국 천문교육의 지속적인 발전 방법을 논의하고자 한다.

  • PDF

Innovations of Higher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 윤형원
    • 대학교육
    • /
    • 통권120호
    • /
    • pp.140-159
    • /
    • 2002
  • The paper prepared to present in the one of serial lecture named as"The Problems of University Reform and Its Implication to the Innovation Program of the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among many demonstration program titled in "new millennium - will it be the Asian century" which is planned by the office of International Program of the South Dakota State University(at Thursday, September 12, 2002, South Dakota Art Museum Auditorium; 12:05-12:5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