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useum by experience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2초

해체주의 건축 디자인에서 설치미술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to Installation Art in Deconstruction Architecture Design)

  • 김명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2호
    • /
    • pp.10-17
    • /
    • 1997
  • The lastest art is being characterised by an ever active exchange between different genre. This is a study on the installation aspect in deconstruction architectured and interior design. The progressive and aggressive nature of installatation art embodies uncatagorized genre, the freedom of material application, introduction of the notion of time in space, the reversion of subject and object, the union of art and every experience, understanding of object through deconstruction, enlargement of concept of space, collage-style composition and layer technique. I can conclude that the installation aspect in Tshumi's Parc de la Villette is its call upon the audience to actively participate, the introduction of a coincidental conjunction, its challenge on the conventional idea of park and its flexibility caused by human activity and time. In Hadid's Hong Kong Peak Club the installation aspect is the application of layer technique using four enormous beams horizontally laid out on a man-made moutain. Furthermore, Libeskind's pursuit of the mental in Berlin Museum Extension through the penetration of an invisible line into a void creates a new interpretation of the role of a museum and thus relates itself to installation art. The installation aspect in Himmelblau's Vienna Roof Renovation is the literal deconstruction of the roof of an old building in the old section of Wien and the expression of time and space through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 by the use of juxtaposition technique. Finally, I note that the installation aspect in Gehry's Santa Monica Residence is the reorganization of cheap material as a form of 'object', that creates spon-taneity, movement as well as flow of time in space and ex-hibit the double-sidedness of the visible world.

  • PDF

리챠드 마이어의 미술관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useum Projects by Richard Meier)

  • 김용립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4호
    • /
    • pp.231-241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리챠드 마이어 미술관의 설계방식과 형태요소를 분석하는 데 있으며 분석을 통해 미술관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리챠드 마이어의 미술관은 전시공간으로서 미술품을 효과적으로 전시하고 있을 뿐 아니라 문화공간으로서 방문자에게 건축이라는 예술을 경험하게 한다. 마이어는 자신의 미술관을 설계하기 위하여 미스 반 데르 로에와 르 꼬르뷔제로부터 배운 설계방법과 형태언어를 지혜롭게 활용하였다. 그는 구조격자를 기초로 하는 합리적인 사각형 형태는 전시공간을 위하여 역할을 하게 하는 한편, 원, 부분원과 같은 기하학적 형태언어는 조형적 공간을 위하여 사용함으로써 기능적 공간과 조형적 공간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였다. 그의 미술관에서 구조와 분리된 유리벽과 램프는 중요한 표현수단이 된다. 램프는 건축적 산책로로서 건축물의 내.외부공간을 감상하게 할 뿐 아니라 전시통로로서 다양한 거리와 각도에서 미술품을 반복해서 보게 하며 커다란 유리벽은 변화로운 미술관의 실내를 외부로 전달해 준다. 두 사람의 거장으로부터 계승된 설계방법과 언어와 비교하여 마이어에 의해 발전된 설계원칙과 요소는 주로 미술관의 배치와 전시계획, 입면구성에 적용되어 독창성을 발휘하게 된다. 부지 주변의 도시적 짜임과 역사적 건물로부터 이끌어진 배치원칙은 그의 미술관을 주변환경과 조화되게 하였으며 비틀어진 축의 도입은 배치계획에 변화와 전환의 효과를 가져다 주었다. 미술관의 전시공간은 질서있게 배치된 전시집기에 의해 활기를 띠게 된다. 간막이와 전시선반, 니체, 스테이지 등의 요소를 융통성있게 결합시킨 형식의 전시집기는 공간을 분할하는 간막이로서, 미술품을 진열하는 가구로서, 형태를 창조하는 형태요소로서 복합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정연하게 배치된 전시집기는 또한 여러개의 시각적 축과 중심을 발생시켜 사람들로 하여금 다양한 각도에서 투시적 시각으로 미술품을 감상하게 하는 독특한 환경을 창조하게 된다.

  • PDF

스포츠 전시관 기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chematic Design of Sport Exhibition)

  • 강호섭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59-162
    • /
    • 2004
  • The globalization through sport has its own positive point, because its speed can proceed faster than the other area. For twenty-five years long Soccer has influenced people all of the world not only as a role of the most enjoyable sport, but also as a role of the most important position in politics, economics and social fields. Moreover, soccer has comprised transcendentally within region, race and nation which has made a big market share in leisure industry. By completing this research, the Sport Exhibition should be defined innovatively as a place that enables people actively to develop their creativity. Some of overseas sport exhibitions were selected as a sample in this study, such as The National Football Museum in England, Cornilon Nord Saint Denis in France and Sir Matt Busby Way Old Trafford Manchestrer Ml6 ORA in England, which produced an experience based exhibition. Here this study is purposed to establish, efficiently, the history of korean soccer and FIFA Worldcup as a part of construction for 2002 FIFA Worldcup exhibition and to define its conceptional characteristics composition of planning and schematic design than to play a role as basic study of architectural space.

  • PDF

Developing Experiential Exhibitions Based on Conservation Science Content of Bronze Mirror

  • Jo, Young Hoon;Kim, Jikio;Yun, Yong Hyun;Cho, Nam Chul;Lee, Chan Hee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62-369
    • /
    • 2021
  • In museums, exhibition content focuses mostly on cultural heritage's historical values and functions, but doing so tends to limit visitors' interest and immersion. To counter this limitation, the study developed an experiential media art exhibition fusing bronze mirrors' traditional production technology and modern conservation science. First, for the exhibition system, scientific cultural heritage contents were projected on the three-dimensional (3D) printed bronze mirror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motion recognition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 and the projector. Then, a scenario of 17 missions in four stages (production process, corrosion mechanism, scientific analysis and diagno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and restoration)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temporal spectrum. Additionally, various media art effects and interaction technologies were developed, so visitors could understand and become immersed in bronze mirrors' scientific content. A user test was evaluated through the living lab, reflecting generally high levels of satisfaction (90.2 points). Qualitative evaluation was generally positive, with comments such as "easy to understand and useful as the esoteric science exhibition was combined with media art" (16.7%), "wonderful and interesting" (11.7%), and "firsthand experience was good" (9.2%). By combining an esoteric science exhibition centered on principles and theories with visual media art and by developing an immersive directing method to provide high-level exhibition technology, the exhibition induced visitors' active participation. This exhibition's content can become an important platform for expanding universal museum exhibitions on archaeology, history, and art into conservation science.

과학 우수아의 과학관에 대한 이미지와 기대 전시 내용 - 광주지역 학생을 중심으로 - (Scientifically Talented Students' Image of Science Museums and Their Preferred Topics for Exhibits - Focused on Students in Gwangju City -)

  • 김진국;박종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431-1449
    • /
    • 2013
  • 본 연구는 과학관 설계와 운영을 위해서는 관람객의 관점을 고려해야 하지만 아직까지 그러한 점이 충분하지 않다는 주장에 근거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과학관에 대해 어떤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전시물을 원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학생은 영재교육원 중학생 31명과 과학고 학생 177명이었고, 설문지를 이용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과학관에 방문한 경험이 있는 학생은 51%에 불과하였으나, 한번 과학관에 방문했던 학생들의 평균 방문횟수는 4.2회로 나타나, 일단 과학관에 방문하고 나면 반복적으로 방문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과학관에 대한 좋았던 이미지를 조사한 결과, 학생들은 과학관에서 체험과 실험을 했던 것과 다양하고 새로운 전시물, 재미있고 신기하고 흥미로운 전시물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나빴던 이미지로는, 전시물 자체에 대해서 새로움/흥미부족, 정보/안내 부족, 내용부족, 체험부족의 순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전시물 외적 요소로는 환경, 관리미비, 운영부족 구성의 불편함의 순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과학관에 바라는 점을 조사한 결과는, 체험/실험/활동, 다양한/새로움, 재미/흥미 순으로, 전시물 외적 요소에는 관리, 구성, 안내/정보, 환경, 운영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과학관 방문횟수가 적을 학생일수록 과학관에서의 외적인 준비를 더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한적이지만, 학생의 관점에서 본 좋은 과학관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학생들에게 국립광주과학관의 4개 대범주를 주고, 각 큰 주제별로 배우고 싶거나 알고 싶은 구체적인 주제를 조사한 결과, 학생들은 1인당 평균 4.0개를 응답하였고, 하나의 주제에 대해서는 평균 2.9개의 응답이 중복되어 나타났다. 주제별로는 '생활 속 과학' 주제, '해양, 우주, 미래의 과학' 주제, '빛과 과학' 주제, 그리고 '문화와 예술과 과학' 주제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들이 알고 싶고 배우고 싶다고 언급한 주제들은 국내 4개 국립과학관별로는 9.2~19.7%, 전체 평균으로는 36.9%만이 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결과는 과학관의 평가뿐 아니라, 앞으로 과학관 설립이나 특별기획을 위한 계획에서 어떤 전시물을 선정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본다.

경산 스트로마톨라이트의 보존과 활용방안 (Preserva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Stromatolites in Gyeong-San)

  • 한승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66-375
    • /
    • 2017
  • 본 연구는 자연적 풍화, 인위적 파괴 및 반출, 환경오염으로 인한 원형 손상의 위기에 처한 지형자원인 스트로마톨라이트의 보존과 활용 방안에 관한 것이다. 우선 스트로마톨라이트의 보존을 위해서는 교육을 통한 인식의 전환이 절실하고, 스트로마톨라이트를 건물로 덮어 화석의 훼손이나 멸실에 대한 위험요인들을 모두 차단하는 방안이 가장 적합하다. 경산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중생대 백악기 호수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중생대 지층 및 지표 상황의 교육 자료와 관찰 및 체험프로그램의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중생대 백악기를 모티브로 하여 스트로마톨라이트와 지역 대학 박물관을 연계하여 교육장소로 활용하고자 하며, 지역 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4H(Healing, Hiking, Hand, History) 체험프로그램을 제시하는데 의미가 있다. 최근 역동적인 프로그램과 관람객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제안하며 추후 관련 분야와의 논의가 있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외 계층 학생들의 과학 학습 유형 (Minority Students' Learning Patterns in Science Class)

  • 신동희;김설희;이지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29-141
    • /
    • 2019
  • 다문화, 탈북, 저소득층 등의 소외 계층 학생들이 증가하면서 그들의 학습을 돕기 위한 많은 연구가 과학 교육에서도 필요하다. 소외계층 학생들의 다양한 성장 배경과 학습 환경으로 인해 집단 전체 특성보다는 집단 내 개인 특성의 차이가 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외 계층 학생 7명을 대상으로 약 50시간 동안의 과학 수업을 하고 수업 관찰과 면담을 통해 그들의 과학 학습의 특성을 파악하여 범주화했다. 7명의 소외 계층 학생들은 5개의 다른 학습 특성을 보였고 이에 따라 '과학에 빠져있다', '과학을 안다고 생각한다', '과학을 알고 싶다', '과학을 알 필요가 있다', '무엇을 원하는지 모른다' 등 5개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들이 경험한 과학 활동이 교육적으로 모두 우수한 수준을 갖춘 것은 아니었지만, 과학 활동 경험만으로도 그들의 과학 학습 흥미와 욕구는 커졌다. 공적 제도 하에서만 과학 학습 경험이 가능한 이들 소외 계층 학생들에게 더 풍부한 과학 활동 경험과 교육 기회를 제공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Keyword Analysis of Arboretums and Botanical Gardens Using Social Big Data

  • Shin, Hyun-Tak;Kim, Sang-Jun;Sung, Jung-Wo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33-243
    • /
    • 2020
  • This study collects social big data used in various fields in the past 9 years and explains the patterns of major keywords of the arboretums and botanical gardens to use as the basic data to establish operational strategies for future arboretums and botanical gardens. A total of 6,245,278 cases of data were collected: 4,250,583 from blogs (68.1%), 1,843,677 from online cafes (29.5%), and 151,018 from knowledge search engine (2.4%). As a result of refining valid data, 1,223,162 cas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We came up with keywords through big data, and used big data program Textom to derive keywords of arboretums and botanical gardens using text mining analysis. As a result, we identified keywords such as 'travel', 'picnic', 'children', 'festival', 'experience', 'Garden of Morning Calm', 'program', 'recreation forest', 'healing', and 'museum'. As a result of keyword analysis, we found that keywords such as 'healing', 'tree', 'experience', 'garden', and 'Garden of Morning Calm' received high public interest. We conducted word cloud analysis by extracting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in total 6,245,278 titles on social media. The results showed that arboretums and botanical gardens were perceived as spaces for relaxation and leisure such as 'travel', 'picnic' and 'recreation', and that people had high interest in educational aspects with keywords such as 'experience' and 'field trip'. The demand for rest and leisure space, education, and things to see and enjoy in arboretums and botanical gardens increased than in the past. Therefore, there must be differentiation and specialization strategies such as plant collection strategies, exhibition planning and programs in establishing future operation strategies.

콘텐츠를 통해 전통을 잇는 방식 - 단원미술관 전시사례를 중심으로 (The Way of Connecting to Tradition through Content)

  • 김상미
    • 트랜스-
    • /
    • 제9권
    • /
    • pp.17-36
    • /
    • 2020
  • 본 논문은 안산문화재단에서 운영하는 단원미술관의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콘텐츠 제작과 활용 그리고 확장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는 데 그 목적을 가진다. 1991년 당시 문화체육관광부는 조선 후기 화원이자 풍속화의 대가로 알려진 단원 김홍도(檀園 金弘道, 1745~ ? )의 고향으로 추정되는 안산을 '단원의 도시'로 명명했다. 이에 안산은 단원 김홍도를 지역 고유의 자원으로 활용하고자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관광자원이자 문화콘텐츠로 단원 김홍도를 활용하여 단원조각공원 조성과 단원미술관 운영, 단원 김홍도 축제 기획 등 대내외적인 활동을 통해 단원 김홍도를 안산의 대표 브랜드화하고자 했다. 단원미술관은 단원 김홍도의 미술관이라고 지칭하기에 턱없이 부족한 수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2009년 <사슴과 동자>를 첫 매입하고 2016년 <화조도>를 매입한 이후 올해까지 단원 김홍도의 작품을 총 6점 소장하게 됐다.1 단원 김홍도의 작품을 수집하는데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이에 2015년 10월 개관한 단원콘텐츠관의 역할과 방향은 단원 김홍도의 진본을 소장하지 않아도 미술관의 역할과 기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단원콘텐츠관을 단원 김홍도와 관련된 다양한 시각예술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과 보존, 전시가 가능하도록 운영하고 디지털 자료 중심으로 고급 정보를 생산하여 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전을 설정했다. 다시 말해 도서관과 아카이브, 미술관(Library + Archive + Museum)의 기능이 결합된 One-Source Multi-Use의 복합문화 정보기관으로 단원콘텐츠관을 찾는 관람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구축하고자 했다. 이는 소장품의 문제와 고서화(古書畫)가 가지는 전시의 한계를 극복하고 미술관의 역할과 기능을 충족시키는 등 동시대의 흐름을 반영하고 있어 여러 방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단원 김홍도의 작품을 관람하고자 단원콘텐츠관을 찾는 관람객들에게 터치스크린과 딥 줌(Deep Zoom)의 기술을 이용하여 단원 김홍도의 디지털 아카이브를 실감형 서비스로 제공하고, 단원 김홍도의 원작을 그대로 해석하여 미디어 콘텐츠로 제작한 콘텐츠 전시를 통해 조선 시대 천재 화가 단원 김홍도의 작품세계를 쉽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도록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 PDF

시민의식에 기초한 공주시 도시 이미지 분석 - 도시와 랜드마크의 형용사 이미지 포지셔닝 - (The Analysis of the Image of Kongju City Based on Citizen - Image Positioning by Adjectives of City and Landmarks -)

  • 정용문;변재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8-30
    • /
    • 2005
  • Since the 1990s, with the beginning of local autonomy, most Korean cities have tried to establish and reinforce their own identity. The Law on the Planning and the Use of National Land, which took effect in January 2003, requires major and minor cities to manage and develop a city image and a marketing strategy to reflect their current condition. However, many cities continue to experience confusion in implementing urban landscape planning because no efficient and systematic method has been provided for the analysis of a city's image. The absence of systematic analysis methods makes it difficult not only to assess the current condition of a city accurately but also to choose an appropriate policy for the given city. Consequently, many cities suffer excessive trials and errors in implementing the correct policies for their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age: of Kongju, which has many historical properties. For this purpose, adjective questionnaire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were made use of in order to assess the city im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are five properties that serve as landmarts lie symbolize Kongju: Muryeong royal tomb, Castle Kong, Mt. Gyeoiryong, Forest Museum, and Kongju National Museum. 2. Based on the citizen survey regarding the city type, Kongju is seen as a historical and an educational city. 3. Based on the image positioning (image spatial plot), Kongju is described as an old and familiar city. There we, however, no landmarks which are in accord with the image of Kongju.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nd reinforce the image of a city with a single element like a landmark However, with steady follow-up research, this study may serve as a systematic and logical model to improve the urban landscape and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