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eum History

검색결과 598건 처리시간 0.028초

Exploring Science Communication in Panels of Exhibitions and Proposing its Development Direction in Exhibition Education: Two cases of Natural History Museum

  • Park, Young-Shin;Choi, Eunji;Ryu, Hyo-Suk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1호
    • /
    • pp.205-229
    • /
    • 201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what components of science communication and its level are contained in text panels of exhibitions in natural history museums and to propose its development direction of exhibition education in Korea. First, to find out the component and level of science communication contained in exhibition panels, the researcher team developed the analyzing tool which was called SEPAT (Science Exhibition Panel Analyzing Tool), then employed them to profile the component and level of science communication. Second, the researchers introduced the exemplary designed media of exhibitions to demonstrate how much science communication could be enhanced. The results were made as follows. First, the components of science communication was considerably weighted toward to 'concept' one. There were also a few 'awareness' and 'engagement', both of which were under 5% in each zone of exhibition and there was not 'NOSI' or 'opinion' embedded in the analyzed exhibitions. Second, the various type of designing exhibitions were found to promote or enhance the restrictedly represented components of science communication. It is suggestable for exhibitions to be designed through various type of 'media' to enhance science communication. Visitors are required to experience rich science communication to meet their educational needs, and exhibition developers in natural history museums and other museums are recommended to be professional in containing all components of science communication through various type of designing exhibitions.

  • PDF

기호론적 관점에 기초한 홀로코스트 건축의 상징성 분석 - 다니엘 리베스킨드의 유대인 박물관을 중심으로 - (The symbolism analysis of Holocaust architecture on the basis of semiotics point of view - Focus on Daniel Libeskind's Jewish Museum Berlin -)

  • 이승연;이성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0-274
    • /
    • 2007
  • Clearing trace of symbol which was gone with a series of pre-modern architecture history since the modern architecture (pursuing true nature from tradition which is repeated and imitated unconsciously). That is, What is the course of deconstruction? In the early part of the 20th century, We still accept the necessity of decoration in spite of its existence at one time being threaten. This means, even though symbolism in architecture has relative importance by situation of Times, it plays an important role to add the past to current style through 'Symbol'. The history of Times, a carrier which reflects Present on New Futures, makes memory by gathering data but we can not amplify our historical imagination with only data. Data is a past memory and evidence but we can not substitute that for historical experience. And it is difficult for future generations who don't live through that history to change their historical recognition with recollecting memories. They have to draw history with data but it is very limited in itself. However, They can collect historical memory through symbol in architecture. In this study, We pay attention to the symbolism of a memorial hall architecture. So We'll analyze dichotomy concept of Barthes's signifiant and signifie, visual sign and course of symbolic meaning on basis of Daniel Libeskind's Jewish Museum.

  • PDF

조선전기(朝鮮前期)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의 간행과 서지학적 특징 (The Publication and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Hyangyak Jipseongbang During Early Joseon Period)

  • 옥영정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5-69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Hyangyak Jipseongbang that was compiled in the $15^{th}$ century (1433) and continued to publish throughout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Various existing records and the early Joseon printed edition of Hyangyak Jipseongbang stored in a domestic Sancheong Korean Medicine Museum were reviewed from 3 perspectives as follows. First, it is the bibliographical system approach to Hyangyak Jipseongbang for some circumstances related to its compilation and publication. Second, it is the significance in terms of printing history through the analysis of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tatus of the remaining Hyangyak Jipseongbang. Particularly, the period of publication is an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 value of a book. In this respect, most of the extant early-Joseon editions of Hyangyak Jipseongbang seem to have been published during the ruling years of King Sung Jong. Those editions are expected to have distinctive meaning from other copied editions of the $17^{th}$ century. Last, it is bibliographical orignal analysis of Hyangyak Jipseongbang. This study reviewed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Vol. 49 through 51 of Hyangyak Jipseongbang stored in Sancheong Korean Medicine Museum in an attempt to help understand the textual bibliography and composition system of exhibiting editions.

유럽의 적층된 역사와 현대 건축의 공존 - 유네스코 세계유산 수준의 중요한 문화재 인근에 지어진 현대 뮤지엄 건축의 사례를 중심으로 - (The Coexistence of Laminated History and Modern Architecture in Europe - In Case of Modern Museum Architecture built near important cultural assets of UNESCO World Heritage -)

  • 이관석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6호
    • /
    • pp.69-80
    • /
    • 2019
  • This research focuses on 10 modern museums built in Europe near important cultural assets of UNESCO World Heritage level.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coexistence of European laminated history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by considering various aspects of respecting the existing and maintaining their identity as modern buildings, using these cultural assets as a basic concept of planning while minimizing conflicts with the past. The four measures of respecting existing cultural heritage are arranged by showing respect by lowering oneself, sympathizing with others, preparing for harmony with modernity, and communicating by looking at. The measures that reveal the identity of modern buildings are confirmed by classifying them as modern and post-modern approaches, each with several options. Through this study, we have been able to extract useful lessons for us, as well, while the past and present coexist successfully, by taking history as a reliable guide to take a fresh leap from it, rather than as a solidified remnant of inertness.

국내 전시 사례로 본 국외 소재 한국 문화재에 대한 국내의 인식 변화 (Changes in Domestic Perception of Overseas Korean Cultural Heritage Explored through Exhibitions Held in Korea)

  • 신소연
    • 박물관과 연구
    • /
    • 제1권
    • /
    • pp.330-355
    • /
    • 2024
  • 국내에는 국외에 있는 우리 문화유산을 불행한 역사적 배경 아래 국외로 흩어진 환수의 대상으로 보는 시선과 한국의 오랜 역사와 문화를 외국에 널리 알리는 활용의 대상으로 보는 시선이 공존한다. 이러한 시선의 변화는 1945년 광복 이후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는데, 크게 세 가지 유형의 인식이 존재했으며 특별전이나 상설전에서 이러한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 유형은 환수 문화재 전시에서 강조한 환수의 당위성 인식이다. 불법 반출되어 반환되거나 구입이나 기증 형식으로 돌아온 문화재 전시에서 주로 확인된다. 한일 국교 정상화를 계기로 개최된 1966년 <반환문화재특별전>은 전시 제목처럼 일제강점기 불법 반출된 문화재 환수의 당위성을 강조하였다. 1980~90년대 전후 기간에는 기증 특별전이 열렸는데, 기증의 배경 역시 반환의 당위성에 기반하였으며 2011년 개최된 <외규장각의궤> 특별전은 환수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고, 역사의 상처를 치유하며, 우리의 문화적 자부심을 회복한 계기였다. 두 번째 인식의 유형은 국외의 우리 문화재를 한국문화를 복원하고 한국문화를 종합적인 시각으로 보기 위해 필수적인 문화재로 보는 인식으로 주제별로 국외에서 한국문화재를 대여 전시하는 특별전에 잘 나타난다. 호암미술관의 1995년 <대고려국보전>, 1997년 <조선전기 국보전>, 그리고 국립중앙박물관의 2010년 <고려불화대전>은 국외에 있는 우리 문화재가 한국문화사의 '복원'을 위해 얼마나 중요한지 각인시킨 전시이다. 세 번째 유형은 국외소재 한국 문화재 각각의 역사를 중시하는 인식으로 한국문화재 수집사 특별전이 개최되어 대중적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80년대 한국의 경제 성장을 기반으로 90년대 해외 박물관 신규 설치가 늘어나고 한국 문화재 전시가 늘어나자 입수 경위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1994년 <유길준과 개화의 꿈>, 2012년 <미국, 한국미술을 만나다> 전시는 한국실과 한국문화재에 대한 다양한 수집의 역사를 소개하고 미국 내 한국미술에 대한 인식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계기로 한국실 설치와 지원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외 우리 문화재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가 활성화되고, 국외에 있는 우리문화재가 현지인의 이해를 돕고, 우리 문화를 알린다는 점에서 국외 한국 문화재에 대한 국내의 다양한 인식 변화가 이어졌다.

라이트(wright), 꼬르뷔제(Corbusier), 미스(Mies)의 전시공간구성 특성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ubject of Exhibition Spaces Designed by F.L. Wright, Le Corbusier, & Mies van der Rohe)

  • 서수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호
    • /
    • pp.89-93
    • /
    • 1999
  • A museum architecture has been developed as important representation of a specific period in architectural history. Modern concept of museum architecture has started by Karl Fredrich van Schinkel(1781-1841) through das Altes Museum(1823-1830) back in early 20th century and it continues to be the model for museum architecture for over 30 years. By middle of the 20th century, the movement of redefining new model for the new era on the subject of museum architecture was developed. This development was lead by the three masters of the modern architecture at the time. F.L. Wright, Corbusier, Mies and they were responsible and very active in creating new concepts. Their works in museum design became the prototype and they tried hard to make sure their new concepts to be the stepping stone for further development.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hree different museums designed by those masters of the modern architecture, particularly on the issue of the exhibition spaces. The purpose of the study will be focused on the point of interior architecture such as the matters of layout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spaces. And it will reveal the impact made by those masters on the advanced development of the current generations of museum designers as well as to describe the prototype of exhibition space. The analyzation was done on FLW's Guggenheim Museum in New York, Corbusier's the National Museum of Western Art in Tokyo, and Mies' Die Neue National Galerie in Berliv. Comparable materials were collected through site visits and reference documents from various publications. It will be ideal if this study can be used for further development in new museum design in this country.

  • PDF

자연사박물관의 전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The Nature of Science Reflected in Exhibitions of Natural History Museums)

  • 이선경;신명경;김찬종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76-386
    • /
    • 2005
  • 이 연구는 비형식적 교육기관인 자연사 박물관의 전시를 학교 과학교육에 활용하기 위한 장기적인 목적 하에, 과학교육과정의 주요한 목표 중의 하나인 과학의 본성 측면이 박물관의 전시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본 기술적 연구이다. 국내 4개 자연사박물관 혹은 자연사 전시실의 전시 중에서 과학 탐구 중심의 전시와 과학사 사례 중심의 전시를 대상으로, 전시매체, 그리고 설명문의 서술방식과 내용에서 반영되는 과학의 본성은 어떤지를 살펴보았다. 설명문의 서술방식은 확정적인지 해석적인지를 살펴보았고, 내용으로는 과학자 중심, 과학자 집단 논의, 사회 문화적 배경, 주장에 대한 근거, 과학지식의 변화가능성 여부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전체적으로 자연사박물관에 과학의 본성 측면이 드러난 전시가 풍부하지 않음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의도적으로 과학의 본성 교육을 위한 전시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학교과학교육에서 접근하기 어려운 과학의 본성을 교육시키기 위한 훌륭한 자료 원으로서 자연사박물관의 전시 및 교육의 방향과 개선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큐비즘에서의 투명성 개념에 의한 전시환경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Exhibit Environmental Design through the Transparency of the Cubism)

  • 김호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154-161
    • /
    • 2004
  • When people visit other countries, the first place to go would be either a museum or an art gallery because it might be the most effective way that people could understand culture and history of the place in a short time. It can be alleged that a museum must be an important cultural space because people can experience their life, history and art there. According to these cultural impor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environmental design of $\boxDr$Design Museum$\boxUl$ through the Transparency of the Cubism. The Transparency means a capability of transmitting light so that objects on the other side can be seen clearly. The Concept of the Transparency could be taken effects in architecture by overlapping facets or space. By understanding formative properties of the Cubism, which especially focused on Transparency, 1 would like to propose the environment as an art and the exhibition-environment as a way of communication. As it were, the study can be valued as a new approach on condition that formative feature is interpreted with modern terms and the ‘Digital technology’ is not used a tool of representation but a tool of thought in terms of design. Moreover, it has a great significance that formative language of the Cubism will be able to be applied to the environmental design through the experimental and creative design process.

과학탐구공동체 제안을 위한 사회과학적 학습 자료로서 자연사박물관 전시의 교육적 잠재성 탐색: 지진 주제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the Exhibits in Natural History Museums as Socioscientific Learning Materials in the Context of Proposing Science Inquiry Communities: Earthquake Topic)

  • 이선경;신명경;김찬종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506-519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과학탐구공동체 구성을 위한 잠재적인 학습 자료로서 자연사박물관의 전시물의 교육적 잠재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과학 탐구공동체는 과학적 지식의 습득과 과학 방법의 학습으로 연결되는 과학실습의 한 형태로 제안하였다. 공동체 학습은 주변에서 접하게 되는 과학-기술-사회적인 이슈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자연사 박물관 전시가 이러한 사회과학적인 이슈들을 포함하고 있다면 이는 자연사박물관의 과학탐구공동체로의 가능성에 대해 고려해 볼 수 있음을 전제로 하였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자연사박물관 전시의 사회과학적 학습 자료 잠재성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과학적 소재로서 적용 가능한 지진' 학습의 과학탐구공동체 구현을 위해, 첫째 미국 뉴욕시의 미국 자연사박물관과 워싱턴 D.C.의 스미소니언 미국국립자연사박물관의 지진 관련 전시물과 지구과학 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두 박물관의 관계자와 인터뷰하여 이와 관련한 박물관의 교육적 의도와 노력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과학탐구공동체 구현을 위한 주제와 관련된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의 특징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조사한 박물관의 전시는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사회과학적 소재인 '지진'의 다양하고 실제적인 사례와 사건에 관한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었다. 대상 박물관은 지역적 흥미와 사회과학적 이슈와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박물관의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고자 했음을 알았다. 지진이란 주제를 관람객에게 적절하도록 하기 위해 전시특성에 있어 원자료나 상호작용적 매체를 이용하여 살아있는 경험의 전달을 강조되고 있음을 알아내었다.

증강현실을 이용한 스마트 가이드 관람 서비스 구축 방안 (A study on building plan for smart guide services using augmented reality)

  • 윤영두;최은영;최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60-562
    • /
    • 2013
  •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한 개인별 취향에 따른 생활의 변화와 개인의 맞춤형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인 변화의 요구에 공공기관과 박물관 그리고 과학관에 이르기까지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에 대한 시스템의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특히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은 관람이라는 공통되어진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단체 관람과 개인별 관람형태가 이루어지고 있다. 박물관과 과학관은 미술관과는 달리 역사와 과학교육이라는 대 국민적인 목적이 담겨져 있으며, 테마파크와는 달리 엔터테인먼트와 교육을 병행해야하는 공공기관으로서의 기대치가 큰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시물에 대한 충분한 몰입도를 높여야 하며, 그와 병행으로 전시물에 대한 연령대별 설명이 부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효율적인 엔터테인먼트 기능과 교육을 함께 병행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