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ng Bean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35초

고지혈증 유발 흰쥐에서 녹두가 혈청 BUN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ung Bean on Serum BUN and Enzyme Activities in Hyperlipidemic Rats Induced by High Cholesterol Diet)

  • 김한수;강동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760-76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5% 녹두(Phaseolus aureus L.)의 급여가 고지혈증 유발 Sprague-Dawley(SD)계 흰쥐의 혈청 blood urea nitrogen(BUN), creatinine 및 요산(uric acid)의 농도와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lanine aminotransferase(ALT), alkaline phosphatase(ALP), lactate dehydrogenase(LDH), amylase, lipase 및 catal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녹두는 고지혈증으로 유발된 흰쥐의 혈청 BUN, creatinine, 요산 농도 및 AST, ALT, ALP, LDH, amylase, lipase의 활성 감소와 catalase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녹두는 신장과 간 등의 기능 개선과 예방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어 기능성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녹두전분과 설탕의 함량을 달리한 도편(桃片)의 품질특성과 기호도 (Effect of Addition of Mung Bean Starch and Sugar on the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Dopyun)

  • 박금순;박찬성;박어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97-902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standard recipe of Dopyun according to the various content of mung bean starch and sugar. The effects of mung bean starch(10%, 15%, 20%) and sugar(20%, 30%) were evaluated on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Dopyun through the mechanical properties using texture analizer and sensory evaluation. Color was tested by color and color difference meter. For sensory evaluation, higher content of sugar and lower content of mung been starch(sugar 30%, mungbean starch 10%) showed advantages in acceptance fo taste and overall quality. Mechanical properties of hardness, cohesiveness and chewiness of Dopyun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Dopyun with higher content of mung bean starch and sugar. The values of Hunter color system indicated that "L" and "b" values tended to decrease and "a" value increase, as the mung bean starch and sugar proportion increased. In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sensory evaluation and acceptance test, it was found that they were highly related. In view of the above results, it came to the conclusion that Dopyun with the addition of 30% sugar and 10% mung bean starch could give the best result among the groups studied.sult among the groups studied.

  • PDF

녹두추출물의 자극완화 효과에 관한 임상 연구 (Clinical Studies on the Anti-Irritation Effects of Mung Bean (Phaseolus aureus) Extract in Cosmetics)

  • 안기웅;강태원;정지헌;조병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3-28
    • /
    • 2004
  • 본 연구는 화장품에서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자극원에 대한 녹두추출물의 자극완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임상연구에 관한 것이다. 녹두는 해독 작용이 탁월하여 예로부터 민간요법이나 화장료의 재료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녹두의 생물학적인 효능 및 구성 성분을 구체적으로 밝혀낸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우리는 기존의 연구를 통하여 녹두의 에탄을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고 이러한 효능을 제공하는 유효물질인 비텍신(vitexin)과 이소비텍신(isovitexin)을 분리해낸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녹두추출물의 항염증 기작을 살펴보고자 흰쥐 복강 비만세포로부터의 항원 유도성 히스타민 유리 억제능 및 5-lipoxygenase 활성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녹두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히스타민 유리를 억제시켰지만 5-lipoxygenase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는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현재 화장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극 유발 물질인 lactic acid, retinol, 방부제 등에 대한 녹두추출물의 자극완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양한 임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2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체 첩포시험 결과, 5.0% lactic acid, 4000 IU retinol, 1.0% Preservative mixture가 들어간 제형에 2.0% 녹두추출눌을 첨가할 경우 각각 60%, 30%, 50% 정도의 우수한 자극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주관적인 자극을 평가하는 피부 자극감시험 결과도 2.0% 녹두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에서 약 50∼30%의 자극완화 효과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3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4주간 실시한 double-blind usage test 결과 역시 녹두추출물을 화장품에 사용하였을 경우 우수한 항자극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탈지옥수수와 녹두전분겔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Defatted Corn and Mung Bean Starch Gels)

  • 이상금;황현식;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5
    • /
    • 1996
  • 묵과 같은 텍스쳐 특성을 갖는 전분겔을 제조하고자 옥수수전분과 녹두전분을 탈지하여 전분겔을 제조한 다음 실온에서 24시간과 72시간 저장하면서 관능검사와 기계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에 의한 물성특성에서는 녹두전분겔은 탈지에 의해 관능적인 특성치에 큰 변화가 없었으나 탈지옥수수전분겔은 옥수수전분겔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녹두전분겔과 비슷한 물성특성을 보였다. 기계적 검사에 의한 텍스쳐 특성에서는 탈지옥수수전분겔은 옥수수전분겔에 비하여 견고성이 매우 높았고 녹두전분겔과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응집성과 탄성에서는 녹두전분겔이 옥수수전분겔보다 높았다. 옥수수전분겔과 녹두전분겔은 모든 기계적 특성치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나 견고성에서는 탈지옥수수전분겔과 녹두전분겔이 유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중국산 녹두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Chinese Mung Bean)

  • 전기숙;서윤룡;박신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1-51
    • /
    • 2015
  • 본 연구는 이용도가 높은 녹두의 국내 생산 부족으로 수입이 증가되고 있는 중국산 녹두의 천연 항산화성 소재로 활용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녹두의 메탄올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in vitro 항산화 모델(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중국산 녹두 추출물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74.83{\pm}2.90GAE\;mg/g$$68.87{\pm}2.84QE\;mg/g$으로 나타났다. 중국산 녹두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초기 ABTS 라디칼의 50%를 소거하는데 필요한 농도($IC_{50}$)는 2.85 mg/mL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중국산 녹두는 페놀성 화합물이 풍부하며, 천연물 유래 항산화성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두류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비교 -동부, 녹두, 강낭콩, 팥-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res of Various Bean Starches -Cowpea, mung bean, kidney bear and red bean-)

  • 손경희;윤계순;정혜정;채선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3-19
    • /
    • 1990
  • Cowpea, mung bean, Kidney bean and red bean are simular properties. In order to elucidate the similarity among these four starches,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es were compared. Water binding capacity of kidney bean and red bean (199%) starches are higher than mung bean and cowpea. The solubility, swlling power and optical transmittance of the four starches showed a similar pattern, but kidney bean and red bean starches had a lower swelling power than cowpea starches. Cowpea, mung bean, kidney bean and red bean starches had the blue value of 0.41, 0.47, 0.42 and 0.50, the alkali content of 8.4, 8.0, 4.13, 4.13, the amylose content of amylose of 30,000, 29,268, 52, 173 and 33, 611 and glucose unit per segment of amylopectin of 27.6, 26.8, 18.35 and 12.9 respectively. The results of X-ray diffraction studies showed A pattern for four starches.

  • PDF

녹두나물 성장과정중의 지질 및 지방산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of Lipid and Free Fatty Acid in Mung-bean Sprouts during Growth)

  • 김경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5-89
    • /
    • 1982
  • The changes of various lipid content and fatty acids composition of mung-bean sprout during 6 day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otal lipid contents of mung-bean sprouts are generally decreased during growing. 2) On T.L.C. gram, triglyceride contents are decreased and free fatty acids and sterol are increased with time. 3) The ratio of unsaturated fatty acids to saturated fatty acids U/S are increased by six times after 4 days of mung-bean germination. 4) The contents of palmitic acid as main fatty acid in the mangbean but oleid, linoleic acid were increased after 2 days, 4 days, 6 days. 5) Total lipids from mung-bean sprouts contained fatty acid in order of linoleic acid, oleic acid. 6) The content of essential fatty acid are rich in 4 days.

  • PDF

녹두(綠豆)나물의 생육과정(生育過程) 중(中) Vitamin C 함량(含量)에 미치는 Gibberellin의 효과(效果) (The Effect of Gibberellin on the Content of Vitamin C during the Growth of Mung Bean Sprout)

  • 고무석;박복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7-122
    • /
    • 1981
  • Mung bean sprout has been grown for 96 hours by soaking mung bean in such eight test divisions as Gibberellin 5-50ppm solution, well-water, and so on. Study on the charge of vitamin C an reducing sugar during its growt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During the growth of mung bean sprout, the length and weight in the sample treated with Gibberellin 20ppm are highest of all Gibberellin divisions. 2. When mung bean sprout has grown for 24 hours, its vitamin C content reaches maximum in each sample. 3. There is little dehydro asscorbic acid in each sample during the growth period of 24-96 hours. 4. During the period of growth, the content of vitamin C in the sample treated with Gibberellin 5ppm are highest of all. 5. When mung bean sprout has been grown enough for cooking, in 48 hours, the content of vitamin C in the sample treated with Gibberellin 10ppm is highest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is not recognized. 6. After 24 hours growth, vitamin C decreases but reducing sugar increases.

  • PDF

Substrate-Dependent Auxin Production by Rhizobium phaseoli Improves the Growth and Yield of Vigna radiata L. Under Salt Stress Conditions

  • Zahir, Z.A.;Shah, M. Kashif;Naveed, M.;Akhter, M. Javed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9호
    • /
    • pp.1288-1294
    • /
    • 2010
  • Rhizobium phaseoli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mung bean (Vigna radiata L.) nodules, and the most salt tolerant and high auxin producing rhizobial isolate N20 was evaluated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L-tryptophan (L-TRP) for improving the growth and yield of mung bean under saline conditions in a pot experiment. Mung bean seeds were inoculated with peat-based inoculum and NP fertilizers were applied at 30-60 kg/ha, respectively. Results revealed that imposition of salinity reduced the growth and yield of mung bean. On the contrary, the separate application of L-TRP and Rhizobium appeared to mitigate the adverse effects of salt stress. However, their combined application produced more pronounced effects and increased the plant height (28.2%), number of nodules per plant (71.4%), plant biomass (61.2%), grain yield (65.3%), and grain nitrogen concentration (22.4%)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The growth promotion effect might be due to higher auxin production in the rhizosphere and improved mineral uptake that reduced the adverse effects of salinity. The results imply that supplementing Rhizobium inoculation with L-TRP could be a useful approach for improving the growth and yield of mung bean under salt stress conditions.

두류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egume Starches)

  • 권미라;안승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34-339
    • /
    • 1993
  • 전분입자의 크기는 동부와 녹두가 좀 작았으며, 강남콩과 팥은 약간 더 컸다. 아밀로오스 함량은 녹두와 강남콩이 시료 중 약간 더 많았으나 모두 $25{\sim}29%$의 범주였다. 강남콩전분의 팽윤력은 전 온도범위에서 다른 시료에 비해 아주 낮았다. Brabender Visco/amylo/Graph 결과는 동부, 녹두, 팥은 호화 점도도 크고, 노화시점도의 증가도 크지만, 강남콩은 점도의 증가가 아주 낮았다. 아밀로그램에서 점도의 변화양상은 아밀로오스 함량과는 관계가 없고, 아밀로오스의 크기나 전분립의 형태, 결정화 정도 등에 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DSC에 의해 조사한 호화 양상에서 강남콩이 호화 개시온도가 다른 시료보다 더 높았으며 동부와 녹두는 대체로 낮은 편이었으나 이들의 호화엔탈피는 거의 비슷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동부와 녹두전분의 특성은 거의 유사하였으며, 강남콩은 이들과 많은 차이를 보였고, 팥은 중간적 특성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