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검색결과 637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 of Hormone Therapy on Long-term Outcomes of Patients with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and Hormone Receptor-Positive Metastatic Breast Cancer: Real World Experience in China

  • Du, Feng;Yuan, Peng;Wang, Jia-Yu;Ma, Fei;Fan, Ying;Luo, Yang;Xu, Bing-H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3호
    • /
    • pp.903-907
    • /
    • 2015
  • Background: Among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 (HER2)-positive breast cancer, more than half are also hormone receptor (HR)-positive. Although HR is a predictive factor for the efficacy of hormone therapy, there are still some uncertainties in regard to the effects on patients with HR-positive and HER2-positive metastatic breast cancers due to the potential resistance to hormone therapy caused by co-expression of HR and HER2. There are no clinical trials directly comparing the efficacy of hormonal therapy with chem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To examine the real-world effect of hormone therapy on patients with HR-positive and HER2-positive metastatic breast cancers, a cross-sectional study of a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Chinese population was conducted. The study included 113 patients who received first-line and second-line palliative treatment between 2005 and 2010 in the Cancer Institute and Hospital, Chinese Academy of Medical Science. The effect of hormone therapy on overall survival (OS) was studied. Results: The patients who received hormone therapy (n=51) had better overall survival in contrast to those who received chemotherapy with anti-HER2 therapy (n=62) in first- or second-line treatment. The difference was of borderline statistical significance (51.8m vs 31.9m, p=0.065). In addition, the effect of hormone therap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with other prognostic factors, including age (${\leq}50$ years or >50 years), disease free survival (${\geq}2$ years or < 2 years) and site of metastasis (visceral or bone/soft tissue). On multivariate analysis, administration of hormone therapy was associated with a trend toward a favorable prognosis (p=0.148, HR=0.693, 95%CI 0.422-1.139). Age more than 50 years was the sole independent harmful prognostic factor (p<0.001, HR=2.797, 95%CI 1.676-4.668). Conclusions: Our data suggest that hormonel therapy may improve outcomes of the patients with ER-positive and HER2-positive metastatic breast cancer.

자궁경부암 치료 후 재발양상과 종양표지자 SCC항원의 혈청 수치 변화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erum SCC Antigen and Recurrence Patterns after Treatment of Uterine Cervix Cancer)

  • 최두호;김은석;남계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2호
    • /
    • pp.120-129
    • /
    • 1999
  • 목적 :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혈중 SCC항원을 치료 전과 치료 후 추적기간 동안의 수치변화와 치료결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순천향대학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에서 1991~1997년 사이에 혈중SCC 검사를 치료 전 시행하였거나 추적관찰 중 시행한 18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여러가지 통계방법을 통하여 치료 전 농도와 무병생존기간, 예후인자 등을 비교하고 추적기간 중 수치 변화의 임상적 의미를 조사하였다. 결과 : 혈중 SCC항원의 양성비율은 15ng/ml 기준으로 병기그룹에 따라 71~91%, 2.5ng/ml 기준으로 57~91%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각 그룹의 5년 무병생존율은 IB-IIA 79.2%, IIB 68.7%, III 33.4%, IV 0% 였다. 그리고 5년 무병생존율은 치료 전 항원농도가 5ng/ml 이상인 경우 34%로 1.5ng/ml 이하, 1.5~5ng/ml의 55~62% 보다 매우 낮았다. 항원 수치 추적검사 결과 임상증상보다 1~13개월(평균 4.8개월) 재발을 빨리 발견할 수가 있었고 항원의 수치와 무병생존기간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고(r=-0.266) 다변량 분석상 치료전 SCC항원의 수치는 독립된 예후인자였다. 결론 : 치료 전 혈중 SCC항원 농도는 편평상피 자궁경부암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며 치료 후 추적기간 중에 하는 검사는 재발을 빨리 발견하는데 유용하다.

  • PDF

제조업 근로자들의 작업과 연관된 요통의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Risk Factors of Work-related Low Back Pain in Manufacturing Workers)

  • 김대환;김정호;신해림;전진호;김용완;이채언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6권1호
    • /
    • pp.20-36
    • /
    • 1993
  • Work-related low back pain is one of the major factors that cause the loss of working power especially in actively working age, therefore controlling the work-related low back pain is one of the major issues in the field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detecting the risk factors and proposing the efficient control program of the work-related low back pain. The subjects were male workers employed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Pusan with longer than 6 months' working duration. The data was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interview from May 1 to October 31,1992.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were as follows:. the experience of low back pain within the recent one month, general characteristics(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religion, regular exercise), physical characteristics(height, weight), employment status(working duration, daily working hours, rest during work, satis(action fur the job), type of work and working environments(posture, forward bending, lifting and movement, satisfaction for table and chair). The result was analyzed for 608 entire respondents by case-control comparative method. The number of cases was 152 with a history of work-related low back pain, so the relative frequency of self-reported work-related low back pain was 25.0%, and the number of controls was 344 without any history of low back pain. As a result, two characteristics of the employment status(working duration, satisfaction fur the job) and all characteristics of type of work and working environments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case and control groups(p<0.01). The Oddb ratios of these variables for Work-related low back pain were calculated. They were 7.88 for the satisfaction fur chair, 7.86 for lifting and movement,3.31 for satisfaction for table, and 2.22 fur bending forward(p<0.01). And for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at unsatisfaction for table was independent risk factor for Work-related low back pain. In summary, though this study was based upon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the subjective complaints, the satisfaction for chair, lifting and movement, satisfaction for table, and bending forward concerned with the type of work and working environments were considered as the main factors causing the work-related low back pain, and the work-related low back pain may be preventable by the ergonomic control of these factors.

  • PDF

VDT 사용 여성 전화교환원들의 근막동통증후군과 동통 및 기능평가 검사와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Myofascial Pain Syndrome and the Assessment of Pain and the related Function tests in female telephone directory assistance operators using VDT)

  • 노상철;이수진;송재철;박항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4호
    • /
    • pp.779-790
    • /
    • 1997
  • 본 연구는 목과 상지의 누적외상성장애를 호소하는 대상자들중에서 근막동통증후군으로 진단받은 환자군과 단순 증상호소군인 대조군사이에서 검사결과의 분석을 통하여 집단 검진시 고려해 볼 수 있는 검사항목을 찾고자하였다. 조사대상은 컴퓨터를 통한 자료검색 및 대화형태의 업무를 하는 여성 전화교환원 904명이었으며, 근막동통증후군으로 진단받은 105명의 환자군과 상지의 누적외상성장애의 증상만을 호소하는 550명의 대조군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신체계측과 악력 및 Pinch strength 측정결과, 키와 몸무게, 앉은 자세의 높이 등에서는 환자군과 대조군의 차이가 없었으나, 약력은 환자군의 우측손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Pinch strength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시각적 상사척도는 환자군의 평균값이 $6.74{\pm}2.29$이며, 대조군은 $4.37{\pm}2.32$으로 나타나 두 군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3. 근육효소검사에서는 비정상으로 분류된 이상자의 분포가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유사한 분포를 보여 실제 진단과정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4.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유의한 변수는 나이, 우측 상부승모근의 압통역치값과 시각적 상사척도로 나타났다. 5. 압통역치검사와 시각적 상사척도는 근막동통증후군의 진단에 객관적 검사로서 고려할 만한 검사로 나타났다.

  • PDF

일반시민의 119구급대원에 대한 이미지 (119 Rescuers' image of Citizens)

  • 엄동춘;김진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259-2266
    • /
    • 2012
  • 본 연구는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구급대원의 이미지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119 구급대원 이미지 분석을 시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1년 11월 9일부터 2011년 12월 9일까지 일반시민 281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PASW statistics 18.0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4개의 이미지 하부영역 중 업무적 이미지($3.17{\pm}0.36$)가 가장 높고 사회적 이미지($2.81{\pm}0.48$)가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중 연령($p$ <.001)과 직업($p$ <.001) 및 응급처치교육이수 여부($p$ <.05), 119구급대 이용 유무($p$ <.05) 등이 119구급대원의 이미지와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중회귀분석결과 회귀모형에 대한 수정된 $R^2$ 값이 0.120으로 회귀모형이 12.0%적합하였으며, 직업(학생, 주부, 회사원)과, 응급처치교육이수자가 119구급대원에 대한 이미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성별, 연령, 직업, 경제적 수준 등)을 통제한 119구급대 이용 유무 와 구급서비스 만족에 따른 이미지를 비교분석할 것을 제언한다.

불완전한 반복측정 자료의 보정방법 (Methods for Handling Incomplete Repeated Measures Data)

  • 우해봉;윤인진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9권2호
    • /
    • pp.1-27
    • /
    • 2008
  • 사회조사 자료를 활용한 통계분석에 있어서 불완전 자료의 문제는 거의 모든 연구자들이 경험하는 하나의 보편적인 문제이다. 불완전 자료의 문제는 특히 패널조사와 같은 종단적 자료를 활용한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이슈가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까지 이루어진 불완전 자료에 대한 보정방범을 소개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패널자괴에서 발생한 불완전 자료의 처리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까지 이루어진 보정방법들을 반복측정 패널자료 분석에 적용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첫째, 본 연구는 불완전 자료에 대한 적절하지 못한 사후처리는 분석결과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로 이어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분석결과는 반복측정 자료를 사용하는 연구의 경우 불완전 자료의 발생은 궤적의 초기값보다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궤적의 변화를 적절히 추정하는데 문제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분석결과는 완전제거법이나 평균대체법이 EM, FIML, MICE 방법들에 비해 불완전 자료의 처리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짐을 보여준다. 특히, 완전제거법이나 평균대체법과 같은 방법에 비해 최대우도법이나 다중대체법이 갖는 상대적 우위는 MCAR 가정에 비해 보다 현실적인 가정이라고 할 수 있는 MAR 조건하에서 크게 나타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또한 비록 결측치의 발생기제가 MNAR 상황이라고 하더라도 연구자가 결측치의 발생과 관련된 변수들을 보정과정에서 적절하게 활용하면 편의의 상당부분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만성 통증이 한국의 의료 이용 행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Chronic Pain on the Use of Medical Services in South Korea)

  • 정의균;곽연희;송재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63-369
    • /
    • 2015
  • 만성 통증(Chronic pain)은 병원을 찾는 가장 흔한 원인이고, 환자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 사회에까지 경제적 비용 문제를 야기한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일반인의 근골계질환으로 인한 만성통증의 규모를 분석하고, 이들의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고, 이중에서 20세 이상인 사람을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다. 평가도구로는 EuroQoL-5 Dimension Index(EQ-5D)를 이용하였다. 통계분석은 t-test와 카이제곱 검정,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의료 이용에 대해서는 만성 통증이 있는 경우는 대조군에 비하여 의료이용을 하는 경우가 5.858배 높았으며 만성 통증 여부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여자는 남자에 비하여 의료 이용을 하는 경우가 1.156배 높았다. 그러나 연령이나 직업, 가구 수입 여부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만성 통증이 있는 경우는 삶의 질 역시 낮았는데, 만성 통증의 관리는 삶의 질을 높이고 의료이용을 억제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마취통증의학과 의사는 진통제나 진경제와 같은 약물에 관해서도 해박하고 또한 숙련된 신경블록 기술도 가지고 있어 통증에 대해 다양한 방법을 구사할 수 있는 입장에 있다. 따라서 만성통증의 관리에 있어서 마취통증의학과의 역할이 중요하고 주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장막 침윤과 림프절 전이가 없는 위암에서 림프관 및 신경초 침윤의 의의 (Prognostic Significance of Lymphatic and Perineural Invasions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Who Have No Lymph Node and Serosal Involvement)

  • 김욱;박조현;박승만;박우배;임근우;김승남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권2호
    • /
    • pp.77-82
    • /
    • 2001
  • Purpose: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in gastric cancer are depth of invasion and lymph node metastasis. Therefore, the prognosis for serosa and lymph node negative gastric cancer is favorable. However, there is no general agreement on the prognostic factors in this subset of patient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prognostic significances of venous invasion (VI), lymphatic invasion (LI), and perineural invasion (NI) in T1 and T2 gastric cancer without lymph node involvement.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206 patients with T1 and T2, lymph node negative gastric cancer who underwent a curative resection from 1989 to 1993 at Kangnam St. Mary's Hospital, Seoul, Korea. The Chi-square test was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ifferences, and the Kaplan-Meier method was used to calculate survival rate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rvival rates were assessed using the log-rank test, and the Cox regression method was used to evaluate independent prognostic significance. Results: The rate of VI, LI and NI correlated well with the depth of tumor invasion. The rates of VI (+) for T1 vs T2 was $0\%\;vs\;5.1\%$, of LI (+) was $5.6\%\;vs\;26.8\%$, and of NI (+) was $1.6\%\;vs\;26.8\%$ in NI (+). There were 13 recurrent cases, 10 cases out of the 13 were T2 gastric cancers, and the recurrence rate was higher in LI (+) and NI (+) cases than in LI (-) and NI (-) cases. The 5-year survival rates were $93.4\%$ in LI (-) cases, $77.4\%$ in LI (+) cases, $92.5\%$ in NI (-) cases, $74\%$ in NI(+) cases, $95.9\%$ in LI (-) NI (-) cases, and $73.9\%$ in LI (+) NI (+) cases. Multivariate analysis demonstrated that simultaneous LI and NI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prognosi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multaneous lymphatic and perineural invasion may be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in patients with T1 and T2 gastric cancer without lymph node metastasis.

  • PDF

한국 고등학교 영재 학생들의 성별과 전공에 따른 과민흥분성에 대한 프로파일 (Profiles of Overexcitabilities for Korean High School Gifted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and Domain of Study)

  • 문정화
    • 영재교육연구
    • /
    • 제15권1호
    • /
    • pp.1-10
    • /
    • 2005
  • 발달 잠재력과 관련된 개념으로서 과민흥분성(OE)은 미국 학생들의 경우 지능, 성별, 학교 프로그램에의 연류, 그리고 예술적 관심에서 차이를 보였다. 사람들이 정서적 성장을 위한 발달 잠재력을 경험하는 과민흥분성은 다섯 가지 방법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이는 정서적,지적, 상상적, 감각적, 그리고 정신운동성이다. 미국에서 수행된 연구 외에 영재아 그룹의 프로파일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한국 학생들의 정서적 필요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수학과 과학, 예술, 그리고 외국어라는 상이한 학습 영역의 네 고등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의 과민흥분성 프로파일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41명의 학생들에게 과민흥분성 설문지로 검사를 실시한 후 통계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MANOVA가 사용되었다. 정신운동, 감각적, 상상적 영역에서는 예술학교 학생들이 가장 높았으며, 지적 영역은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정서적 영역은 외국어 고등학교 학생들이 가장 높았다. 학교들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각각의 전공 사이에도 역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정신 운동에서는 무용 전공의 학생들이, 감각적, 상상적, 정서적 에서는 드라마 전공의 학생들이, 그리고 지적에서는 과학 전공 학생들이 각각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정신운동, 상상적, 지적 영역은 남학생들이 높았고, 반대로 감각적, 정서적 영역에서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Effect of remifentanil on intraoperative fluid balance: a retrospective statistical examination of factors contributing to fluid balance

  • Ohara, Sayaka;Nishimura, Akiko;Tachikawa, Satoshi;Iijima, Takehiko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0권3호
    • /
    • pp.129-135
    • /
    • 2020
  • Background: Postoperative fluid retention is a factor that causes delay in recovery and unexpected adverse events. It is important to prevent intraoperative fluid retention, which is putatively caused by intraoperative release of stress hormones, such as ADH (anti-diuretic hormone) or others. We hypothesized that intraoperative analgesia may prevent pathological fluid retention. We retrospectivel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algesics and in-out balance in surgical patients from anesthesia records. Methods: Anesthetic records of 80 patients who had undergone orthognathic surgery were checked in this study. Patients were anesthetized with either TIVA (propofol and remifentanil) or inhalational anesthesia (sevoflurane and remifentanil). During surgery, acetated Ringer's solution was infused for maintenance at a rate of 3-5 ml/kg/h at the discretion of the anesthetist. The perioperative parameters, including the amount of crystalloid and colloid infused, and the amount of urine and bleeding were checked. Furthermore, we checked the amount and administration rate of remifentanil during the surgical procedur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remifentanil dose and the in-out balance or the urinary output was analyz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contributing factor to fluid retention, including urinary output, was statistically examined by means of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remifentanil dose and urinary output. Urinary output less than 0.04 ml/kg/min was suggested to cause positive fluid balance. Although in-out balance approaches zero balance with increase in remifentanil administration rate, no contributing factor for near-zero fluid balance was statistically picked up. The remifentanil administration rate was statistically picked up as the significant factor for higher urinary output (> 0.04 ml/kg/min) (OR, 2,644; 95% CI, 3.2-2.2 × 106) among perioperative parameters. Conclusions: In conclusion, remifentanil contributes in maintaining the urinary output during general anesthesia. Although further prospective study is needed to confirm this hypothesis, it was suggested that fluid retention could be avoided through suppressing intraoperative stress response by means of appropriate maintenance of remifentanil infusion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