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ple zone

검색결과 357건 처리시간 0.026초

자기이상 역산에 의한 마샬제도 북서쪽 세 해저산의 고지자기 해석 (Paleomagnetism of Three Seamounts Northwest of the Marshall Islands from Magnetic Inversion)

  • 이태국;문재운;고영탁;정미숙;김현섭;이기화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559-565
    • /
    • 2004
  • Total magnetic field measurements were performed to study paleomagnetism of three seamounts (OSM7, OSM8-1, and OSM8-2) to the northwest of the Marshall Islands in the western Pacific. The study area is located at the Ogasawara Fracture Zone which is a boundary between the Pigafetta and East Mariana basins. The magnetic parameters and paleopoles of three seamounts were derived from inversion of the measured magnetic field. The goodness-of-fit ratio of OSM7 is too low to be included to the estimation of parameters. The complex magnetic anomalies of center, scarcity of flank rift zones and steep slope at OSM7 suggest that the multiple intrusions of magma converge into the center of volcanic edifice. Inclination calculated from the magnetic anomalies of OSM8-1 and OSM8-2 is $-41.2^{\circ}$, and the paleolatitude calculated from the inclination is $23.6^{\circ}S$. The corresponding paleopoles for OSM8-1 and OSM8-2 are $(24^{\circ}42'W,\;48^{\circ}54'N)\;and\;(18^{\circ}18'W,\;48^{\circ}30'N)$, respectively. In comparison with the apparent polar wander path (APWP) of the Pacific plate, the paleopoles are close to 129-Ma pole. The paleopoles and paleolatitudes of OSM8-1 and OSM8-2 suggest that they were formed at similar time and location. The seamounts have drifted northward about $41^{\circ}$ from the paleolatitude to present latitude of seamounts.

0.4 MW급 가스분사식 배연탈황 흡수탑의 운전 특성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0.4 MW-Scale Gas Dispersion Type FGD Absorber)

  • 안희수;김기형;박승수;박광규;김영호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15-422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perating and design conditions of gas dispersion type of absorber on $SO_2$ removal efficiency. pH difference between upper and lower part of gas dispersing plate of absorber was 0.2, which was relatively low. This was supposed that recirculation capacity of absorbing liquid between froth zone and reaction zone of absorber be increased by oxidation air injection through liquid riser which acted as liquid pump. Test results showed that $SO_2$ removal efficiency was more sensitive than absorber ${\Delta}P$. High $SO_2$ removal even at lower pH resulted from very low concentration of $HSO_3^-$ ion in absorbing liquid because of direct supply of dissolved oxygen into froth zone. 96% of $SO_2$ removal efficiency was obtained under the condition of absorber pH 5.2, flue gas flow rate of $1,530\;Nm^3/hr$, inlet $SO_2$ concentration of 800 ppm, absorber ${\Delta}P$ of 250mmAq. The following equation by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was obtain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SO_2$ removal and operating variables. $$f=1-{\exp}(-1.3939+1.060pH+0.0139{\Delta}P-0.00267G-0.000064SO_2Conc.),\;R^2=0.9719$$

비즈니스 연속성을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서의 데이터 백업과 데이터 가용영역 아키텍쳐 연구 (Business Continuity and Data Backup in Cloud Computing Service and Architecture Study for Data Availability Zone)

  • 박영호;박용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2305-2309
    • /
    • 2016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그 효율성과 안정성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 한 예로 미국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안전성을 위하여 FedRAMP 인증을 제시하고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산업의 성장은 많은 기업들에게 비용 절감과 업무의 효율성을 제공하고 있으나, 그에 따른 위험성 역시 높아지고 있다. 해킹 등으로 클라우드 서비스 특징상 데이터에 대한 통제성을 잃게 되고, 많은 데이터가 한 곳에 몰리는 현상은 장애가 발생하면 모든 기기의 데이터가 일제히 삭제되는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보안 인증 제도의 비즈니스 연속성의 문제점을 알리고 이를 위한 솔루션인 서비스 가입자 내부에 백업과 외부 백업의 장단점을 비교한다. 결론적으로 외부 백업이 구조상으로 우위에 있음을 보인다.

시화공단 완충녹지의 11년간(2006~2017년) 식생변화 및 식생구조 연구 (A Study on Vegetation Changes for 11years and Vegetation Structure in the Green Buffer Zone of Sihwa Industrial Complex)

  • 최진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81-9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changes and structures in the buffer green zone of Sihwa Industrial Complex and propose environmental, ecological and multi-functional vegetation management directions. The density of the Pinus thunbergii decreased from $23.1trees/100m^2$ in 2006 to $9.6trees/100m^2$ in 2017 due to the influence of thinning works. Its green volume increased from $0.97m^3/m^2$ to $2.02m^3/m^2$,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and promotion of biodiversity. The density of deciduous broad-leaved trees at the top maintained at $18{\sim}21trees/100m^2$. In the areas where the understory vegetation was removed, Pueraria lobata spread as an invasive plant and disturbed the forest. In the areas where the understory vegetation was not removed, various native plant species including the Rhus javanica and Celtis sinensis were introduced an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 forest in a multiple structure. There was a concern with the spread of Robinia pseudoacacia which developed into understory vegetation in Pinus thunbergii forest and some canopy forest. The study proposed vegetation management directions for the back, top and front side according to the physical structure of large-scale buffer green zone formed in a long linear form and the usage characteristics of adjacent land.

연속 뜸의 열 자극에 대한 수치해석 (A Numerical Study on the Thermal Stimulation of Continuous Moxibustion)

  • 양소라;강호영;전병진;최형권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9호
    • /
    • pp.915-92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연속 뜸의 열자극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복합대류 열전달 간이 모형을 만들어 ANSYS-FLUENT 를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연속 뜸의 주기가 열자극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여러 장의 뜸을 다양한 주기로 적용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하여 뜸의 장수가 증가할수록 유효자극영역의 깊이가 증가하기 위해서는 교체온도가 체온과 같거나 체온보다 커야 함을 확인하였고, 뜸의 적용 수가 증가함에 따른 유효자극 영역 깊이의 증가율은 감소함을 보였다. 또한, 유효자극의 지속시간이 최대가 되는 연속 뜸의 최적의 교체 주기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다수의 음원을 사용한 공간의 소리 제어 방법론 (Spatial Manipulation of Sound Using Multiple Sources)

  • 최정우;김양한;박영진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12호
    • /
    • pp.1378-1388
    • /
    • 2005
  • Spatial control of sound is essential to deliver better sound to the listener's position in space. As it can be experienced in many listening environments. the quality of sound can not be manifested over every Position in a hall. This motivates us to control sound in a region we select. The primary focus of the developed method has to do with the brightness and contrast of acoustic image in space. In particular, the acoustic brightness control seeks a way to increase loudness of sound over a chosen area, and the contrast control aims to enhance loudness difference between two neighboring regions. This enables us to make two different kinds of zone - the zone of quiet and the zone of loud sound - at the same time. The other perspective of this study is on the direction of sound. It is shown that we can control the direction of perceived sound source by focusing acoustic energy in wavenumber domain. To begin with, the proposed approaches are formulated for pure-tone case. Then the control methods are extended to a more general case, where the excitation signal has broadband spectrum. In order to control the broadband signal in time domain, an inverse filter design problem is defined and solved in frequency domain. Numer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in various conditions certainly validate that the acoustic brightness, acoustic contrast, direction of wave front can be manipulated for some finite region in space and time.

북동태평양 클라리온-클리퍼톤 균열대 심해저 퇴적물의 전단강도 특성 (A Shear Strength Characteristics in Deep-sea Sediment from the Clarion-Clipperton Fracture Zone, Northeast Equatorial Pacific)

  • 지상범;강정극;김기현;박정기;손승규;고영탁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2호
    • /
    • pp.255-267
    • /
    • 2004
  • 북동태평양 클라리온-클리퍼톤 균열대(Clarion-Clipperton Fracture Zone) 사이에 위치한 연구지역 퇴적물의 전단강도 특성과 퇴적학적 변화요인을 파악하기위하여 연구지역 각 지점에서 다중주상시료채취기로 채취된 69개 표층퇴적물을 분석하였다. 북부지역 원양성 적점토의 평균 전단강도는 4.4kPa로 낮은 반면, 중부지역 규질 퇴적물의 평균전단강도는 6.3kPa로 가장 높다. 남부지역 탄산질 퇴적물은 3.4kPa로 가장 낮으며, 남부지역과 중부지역사이의 전이퇴적물은 3.8kPa로 탄산질 퇴적물과 규질퇴적물의 중간 값을 보인다. 원양성 적점토가 완만한 전단강도 증가를 보이는 이유는 일반적인 고화 과정에 의한 함수율 감소에 의한 결과이다. 반면에 규질퇴적물에서 나타나는 퇴적깊이에 따른 전단강도의 급격한 증가는 퇴적결층과 연관되어 있다. 탄산질 퇴적물이 가장 낮은 전단강도를 보이는 이유는 남부지역이 타 지역에 비해 퇴적율이 월등히 높기 때문이다.

비행시차(jet lag)에 의한 여행객의 수면-각성 주기의 변화 (The Changes of Traveller's Sleep-Wake Cycles by Jet Lag)

  • 이승환;김인;서광윤
    • 수면정신생리
    • /
    • 제2권2호
    • /
    • pp.146-155
    • /
    • 1995
  • Jet lag can be defined as the cumulativ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rapid air travel across multiple time zone. The consequences of jet lag include fatigue, general malaise, sleep disturbances, and reductions of cognitive and psychomotor performance, all of which have been documented in experimental biological and air crew personnel studies. Thus authors tried to study the jet lag of natural travellers by modified self reporting sleep log. Total 61 healthy travellers was studied for 3 days before and 7 days after jet-flights across seven to ten time zone. The eastbound travelling group was 38 persons, aged 19 -70 and westbound travelling group was 23 persons, aged 13 - 69. Sleep onset time, wake-up time, sleep latency, awakening frequency on night sleep, awakening duration on night sleep, sleepiness at wake-up and nap length were evaluated.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7 to 10 time zone shift gave significant influence to traveller's sleep-wake cycles. The date which subjective physical condition was recovered on was $5.16{\pm}1.50$ day after arrivals for eastbound, while for westbound, $4.91{\pm}1.62$ day. In eastbound travelling, sleep onset time became later than baselines and could not recover until 7th day. But in westbound, it became earlier than baseline and could recover until 6th day. The mean score of 24-hour sleepiness was greater in eastboumd than westbound. Therefore the eastbound travelling caused more sleep-wake cycle disturbance and daytime dysfunction than westbound travelling. In other parameters, there was no definite difference between east and westbound. From our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symptom severity of jet lag was dependent on the travelling direction. To demonstrate more definite evidence, large sized data collections and comparision by age difference were needed.

  • PDF

펄스 레이저 조사 후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상태에 대한 표면 거칠기의 영향 (Influence of Surface Roughness on Morphology of Aluminum Alloy After Pulsed-Laser Irradiation)

  • 최성호;김정석;장경영;신완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5권9호
    • /
    • pp.1105-111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Nd:YAG 펄스레이저 조사 후 알루미늄 합금 6061-T6 시편의 표면상태에 대한 표면 거칠기의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초기 표면 거칠기를 다르게 하기 위해 다아이몬드 입자($1{\mu}m$)와 연마지(#100, #220, #600, #2400)를 이용하여 표면을 가공하였다. 10 번의 펄스레이저를 조사한 후 주사전자현미경과 광학현미경 그리고 원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표면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표면 거칠기가 증가할수록 용융부의 지름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표면 거칠기에 따라 표면부에서 레이저 빔의 다중반사와 다중흡수가 일어나 레이저 빔의 흡수율이 변하기 때문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용융부의 지름으로부터 표면 거칠기에 의해 증가하는 상대적인 흡수율을 계산하였으며 평균 표면 거칠기가 증가함에 따라 상대적인 흡수율이 용융부의 지름과 유사한 형태로 증가하는 것을 보였다.

폴리에틸렌 배관 버트융착부 열용융거리 측정에 대한 연구 (A study for detection of melt flow zone about polyethylene butt fusion joints)

  • 길성희;김영구;조영도;이연재
    • 에너지공학
    • /
    • 제25권4호
    • /
    • pp.103-109
    • /
    • 2016
  •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배관은 가요성이 좋고 부식이 되지 않는 등의 장점으로 가스배관 뿐만 아니라 원자력 발전소의 배수관, 석유화학 및 정유사 공정배관 등으로 그 사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부를 직접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검사방법이 개발되지 않아서 사용범위를 확대하는데 제한을 받고 있다.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방법은 전기융착 방법과 버트융착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버트융착이다. 버트융착은 배관과 배관을 열판에 맞닿게 하고 일정한 온도 및 압력을 가한 후 열판을 제거하고 용융된 배관의 말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별도의 연결구가 필요하지 않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연결방법이다. 버트융착 시에 열판으로부터 열이 용융된 후 압력을 가하면 용융부는 비드를 형성하는 부분과 연결부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분리되고 냉각과정을 거쳐 버트융착부가 된다. 본 연구는 연결부를 형성하는 부분에서 열판으로부터 열이 전파되어 용융된 거리를 측정하고 이 결과를 연결부에 대한 건전성 평가 방법 중의 하나로 제시하고자 한다. 외경 225mm, 두께 20.5mm의 중밀도 폴리에틸렌 가스용 1호관의 초음파 속도를 측정한 결과 2,200m/s 였다. 열용융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열판으로부터 열이 전파되어 폴리에틸렌을 가열하는 시간을 0%~130%까지 변화시켜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또한 정상적인 가열시간(100%의 가열)을 제공하고 스크레핑 처리를 하지 않은 시험편과 토양을 삽입한 시험편 그리고 자갈을 삽입한 시험편과 비닐류를 삽입한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총 20개의 시험편에 대한 열용융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3.5MHz 및 5.0MHz 센서를 이용하였으며 1개의 시험편에 대하여 총 3곳에서 초음파 탐상을 실시하였다. 열용융 신호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모든 탐상 결과에 대하여 동일한 post image processing을 수행하였고 이미지 레벨, contrast, sharpen 및 threshold를 적용하였으며 결과 탐상은 가장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gray scale로 표현하였다. 탐상 결과 가열시간이 짧은 시험편일수록 융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멀티플 에코가 반사되는 영역이 증가하였으며 이 부분을 최대한 배제할 수 있는 위치에서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정상적인 가열시간의 80%인 168초의 시간을 가한 시험편부터 열용융 거리에 대한 반사신호가 뚜렷이 구분되었으며 이 시험편부터 거리 측정을 실시하였다. 가열시간이 정상가열시간의 7%인 15초의 가열시간을 가한 시험편부터 더 낮은 가열시간을 가한 시험편의 경우 융착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3곳 모두 데이터 영상을 획득할 수 없었다. 위 실험 결과로 위상배열초음파를 통해 폴리에틸렌 배관 버트융착부에서 열이 용융되어 전파된 거리 측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열이 용융되어 전파된 거리 측정을 통해 정상적인 융착과 불완전 융착을 구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