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ple volcano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7초

독도 화산의 분출윤회와 화산형태 (Eruption Cycles and Volcanic Form of the Dokdo Volcano, Korea)

  • 황상구;전영권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6호
    • /
    • pp.527-536
    • /
    • 2003
  • 독도 화산은 크게 8개 암석단위로 구분되며 이 암석단위와 그 층서는 독도가 해수면 위에서 적어도 3차례 분출윤회를 거치면서 성층화산을 형성하였음을 나타낸다. 각 분출윤회는 분출 환경에 따라 몇 단계의 분출양식이 바뀌면서 진행되었으며 벌카니언 분출이 가장 지배적이었음을 보여준다. 독도의 원래 화산형태는 지질구조와 공간적인 암상변화로부터 복원해본다면 작은 성층화산이고 북동부에 작은 칼데라를 가진다. 해수면 위의 독도는 이 성층화산의 외륜 남서부 잔류체라는 것을 지시하고 화구가 북동부 수백m의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해수면 아래에서 독도 화산은 수심 약 90∼175m까지 아주 완만한 경사를 가지는 넓고 평탄한 부분이 직경 약 11km가량 형성되어 있다. 그 아래 수심 200∼2,000m까지는 상대적으로 급경사를 이루며 기저부 폭이 약 25∼30km를 이룬다. 따라서 해수면 아래의 독도 화산은 마치 거대한 순상화산을 닮은 평정해산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독도 화산은 해수면 아래 해저까지 전체를 고려한다면 거대한 평정해산 위에 작은 성층화산을 갖는 복식화산을 나타낸다.

SAR Measurements of Surface Displacements at Augustine Volcano, Alaska, Associated with the 1986 and 2006 Eruption

  • Lee, C.W.;Jung, H.S.;Won, J.S.;Lu, Z.;Kwoun, O.I.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401-404
    • /
    • 2007
  • Augustine volcano is an active stratovolcano located at the southwest of Anchorage, Alaska. Augustine volcano had experienced seven significantly explosive eruptions in 1812, 1883, 1908, 1935, 1963, 1976, and 1986, and a minor eruption in January 2006. We measured the surface displacements of the volcano by radar interferometry and GPS before and after the eruption in 2006. ERS-1/2, RADARSAT-1 and ENVISAT SAR data were used for the study. Multiple interferograms were stacked to reduce artifacts caused by different atmospheric conditions. Least square (LS) method was used to reduce atmospheric artifacts.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SVD) method was applied for retrieval of time sequential deformations. The observed surface displacements from satellite radar interferometry were compared with GPS data. Satellite radar interferometry helps to understand the surface displacements system of Augustine volcano.

  • PDF

DEFORMATION OF AUGUSTINE VOLCANO, ALASKA, 1992-2006, MEASURED BY ERS AND ENVISAT SAR INTERFEROMETRY

  • Lee, Chang-Wook;Lu, Zhong;Kwoun, Oh-I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582-585
    • /
    • 2006
  • Augustine volcano is an active stratovolcano located southwest of Anchorage, Alaska. Augustine volcano experienced seven significantly explosive eruptions in 1812, 1883, 1908, 1935, 1963, 1976, and 1986, and a minor eruption in January 2006. To measure ground surface deformation of Augustine volcano, we applied satellite radar interferometry with ERS-1/2 and ENVISAT SAR images acquired from three descending and three ascending satellite tracks. Multiple interferograms are stacked to reduce artifacts due to changes in atmospheric condition and retrieve temporal deformation sequence. For this, we used Least Square (LS) method for reducing atmospheric effects an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SVD) method for the retrieval of a temporal deformation sequence. Interferograms before 2006 eruption show about 3 cm/year subsidence by contraction of pyroclastic flow deposits from the 1986 eruption. Interferograms during 2006 eruption do not show significant deformation around volcano crater. Interferograms after 2006 eruption show again a several cm subsidence by compaction and contraction of pyroclastic flow deposits for a few month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satellite radar interferometry can monitor deformation of Augustine volcano to help understand the magma plumbing system driving surface deformation.

  • PDF

Sustainable Surface Deformation Related with 2006 Augustine Volcano Eruption in Alaska Measured Using GPS and InSAR Techniques

  • Lee, Seulki;Kim, Sukyung;Lee, Changwook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57-372
    • /
    • 2016
  • Augustine volcano, located along the Aleutian Arc, is one of the most active volcanoes in Alaska and nearby islands, with seven eruptions occurring between 1812 and 2006. This study monitored the surface displacement before and after the most recent 2006 eruption. For analysis, we conducted a time-series analysis on data observed at the permanent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observation stations in Augustine Island between 2005 and 2011. According to the surface displacement analysis results based on GPS data, the movement of the surface inflation at the average speed of 2.3 cm/year three months prior to the eruption has been clearly observed, with the post-eruption surface deflation at the speed of 1.6 cm/year. To compare surface displacements measurement by GPS observation, ENVISAT(Environmental satellite) radar satellit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2003 and 2010 and processed the SBAS(Small Baseline Subset) method, one of the time-series analysis techniques using multiple InSAR(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 data sets. This result represents 0.97 correlation value between GPS and InSAR time-series surface displacements. This research has been completed precise surface deformation using GPS and time-series InSAR methods for a detection of precursor symptom on Augustine volcano.

중국 오대연지 라오헤이산과 후오샤오산의 화산 형태와 분출 과정 (Volcanic Forms and Eruption Processes of Laoheishan and Huoshaoshan in the Wudalianchi Volcanics, NE China)

  • 황상구;진꾸;안웅산
    • 암석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51-263
    • /
    • 2005
  • 중국 오대연지 신기 화산인 라오헤이산과 후오샤오산은 $1720\~1721$년에 분출하였다. 이 화산은 각각 K이 풍부한 포노테프라이트질 화성쇄설층과 용암으로 구성되는 스코리아구와 스패터구를 이루고 모두 넓은 용암류역을 가진다. 라오헤이산 스코리아구는 내부구조가 복잡하고 선${\cdot}$후기 화산체로 형성된 복성복식 화산이며 후기 화산체의 중앙부에는 깔때기형의 분화구가 있다. 후오샤오산 스패터구는 단성단식 화산이며 화산체 중앙부에 피트 분화구가 형성되어 있다. 화산층서는 먼저 라오헤이산이 형성되었고 후에 후오샤오산이 형성되었음을 지시한다. 또한 라오헤이산에서의 분출 과정이 용암분천과 스트롬볼리언 분출을 포함하는 폭발성분출과 분류성 분출의 5개 단계를 거치는 반복적 패턴을 따랐다는 것을 지시하고, 후오샤오산에서 스트롬볼리언 분출과 용암분류의 2개 단계를 거치는 규칙적 패턴을 따랐다는 것을 지시한다.

ALOS-2 PALSAR-2 Spotlight 영상의 위성레이더 간섭기법을 활용한 킬라우에아 화산의 정밀 2차원 지표변위 매핑 (Mapping Precise Two-dimensional Surface Deformation on Kilauea Volcano, Hawaii using ALOS2 PALSAR2 Spotlight SAR Interferometry)

  • 홍성재;백원경;정형섭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6_3호
    • /
    • pp.1235-1249
    • /
    • 2019
  • 킬라우에아 화산은 지속적인 활동을 하고 있는 화산이다. 본 연구에서는 ALOS-2 PALSAR-2 위성영상을 이용해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킬라우에아 화산의 정상부근에서 발생한 지표변위를 관측했다. 지표변위의 2차원 관측을 위해 2개의 간섭쌍을 이용해 위성레이더 간섭기법과 다중개구간섭기법을 수행했다. 그리고 2차원 관측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다중개구간섭기법의 관측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인 유효 안테나 길이와 정규화된 스퀸트 값을 변경해가며 관측치 차이의 평균제곱근편차 값을 비교했다. 그리고 가장 정밀하게 변위를 관측할 수 있는 요소 값을 선정했다. 유효 안테나 길이와 정규화된 스퀸트 값을 최적의 값으로 선정한 후의 다중개구간섭기법 관측치의 평균제곱근편차 값은 4.07 cm에서 2.05 cm로 감소했다. 각 간섭영상에서 관측된 관측방향의 최대 변위는 각각 -28.6 cm, -27.3 cm이고, 비행방향의 최대 변위는 20.2 cm, 20.8 cm, 비행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24.9 cm, -24.3 cm가 관측되었다. 두 간섭영상을 스태킹한 후 2차원 지표변위 매핑을 수행한 결과 북서 방향으로 최대 약 30.4 cm의 지표 변위가 관측되었다. 그리고 모든 방향으로 20 cm 이상의 큰 변위가 관측되었다. 관측 결과를 통해 킬라우에아 화산의 분화활동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2015년부터 2017년까지의 킬라우에아 화산의 지표 변위 관측 결과는 향후 킬라우에아 화산의 분화 활동에 관한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ulti Axis DOAS를 이용한 대기미량 물질 원격 측정 (Remote Sensing of Atmospheric Trace Species using Multi Axis 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scopy)

  • 이철규;김영준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1-151
    • /
    • 2006
  • 태양광을 광원으로 하고 천정방향을 포함한 다양한 고도각을 이용하는 자외선/가시광선영역에서의 흡수분광학이 최근에 지상용 대기원격 측정에 개발되어오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지표부근에 존재하는 대기 미량 물질의 공간적 분포가 유추될 수 있다. 대기질 측정기술 중 하나인 MAX-DOAS (Multi-axis 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scopy) 기술은 광원으로서 태양산란광을 이용하고, 다양한 고도각에서 태양산란광을 기록하고 분석을 통하여 대기 중 미량 물질을 측정한다. 광주과학기술원 환경모니터링 신기술 연구센터에서 개발된 MAX-DOAS 시스템은 9004년 1월, 5월, 10월에 각각 도시대기, 화산플룸, 화력발전소 플룸의 측정에 적용되었다. 각각의 경우에 $SO_2,\;NO_2,\;BrO,\;O_4$를 정량분석하기 위하여 기록된 MAX-DOAS 스펙트럼은 자외선/가시광선 영역에서의 고유 흡수스펙트럼을 이용한 DOAS 기술을 이용하여 분석 되었다. 그 결과는 Slant Column Density (SCD)로 표현되었다. 플룸 측정의 경우에서는 플룸 속에 포함된 $NO_2,\;SO_2$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플룸의 진행방향과 수직적인 방향에서 MAX-DOAS 스캔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하여 얻은 단면적을 토대로 $SO_2,\;NO_2$ 농도가 계산되었다. 화산플룸에서 $SO_2$는 580ppbv, 화력발전소 플룸에서 $NO_2$는 337ppbv, $SO_2$는 227ppbv 로 계산되었다.

KOMPSAT-3 In/Cross-track 입체영상을 이용한 매칭 DEM 비교 분석 (Comparison and Analysis of Matching DEM Using KOMPSAT-3 In/Cross-track Stereo Pair)

  • 오관영;정의천;이광재;김윤수;이원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6_3호
    • /
    • pp.1445-145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in-track과 cross-track에서 촬영된 KOMPSAT-3 입체영상으로 제작된 매칭 DEM의 품질 및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동일 지역을 촬영한 두 쌍의 KOMPSAT-3영상을 수집하였다. 두 쌍의 입체영상은 B/H, convergence angle 등 스테레오 기하 요소가 거의 유사하다. DEM 제작을 위한 센서모델링은 수 개의 지상기준점를 이용한 RFM affine 보정으로 수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지상기준점은 NGII에서 제공하는 0.25 m급 항공정사영상과 5 m급 DEM에서 추출하였다. 또한, 참조 DEM과 동일한 해상도로 매칭 DEM을 제작하여 상호간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검사점의 수평 및 수직 오차는 1~3픽셀의 정확도를 나타냈다. 또한, 자연 또는 인공적 지형지물의 영향이 적은 지역에서는 생성된 두 DEM의 형태 및 정확도가 거의 유사하였다.

MAI (Multiple Aperture SAR Interferometry) 간섭도의 지형위상보정 (Topographic Phase Correction of MAl (Multiple Aperture SAR Interferometry) Interferogram)

  • 정형섭;종루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1-180
    • /
    • 2011
  • 최근 비행방향으로의 지표변위 관측정밀도를 향상시키는 MAI(multiple aperture SAR interferometry)기법이 개발되었다. 이 MAI기법은 split-beam InSAR 처리를 통하여 forward-looking 간섭도와 backward-looking 간섭도를 제작하고, 이 두 개의 다른 두 간섭도로부터 MAI 간섭도를 생성하여 비행방향 지표변위를 관측하는 것으로 비행방향 지표변위를 0.6의 긴밀도(coherence)에서 약 8 cm의 정밀도로 관측을 가능하게 한다. 현재까지 이러한 MAI 간섭도에서 지형위상은 무시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2010년 아이티에서 발생한 지진 발생 전과 후의 ALOS PALSAR 간섭쌍을 이용하여 MAl 간섭도를 제작하였고, 이 MAI 간섭도에서 지형위상이 $3.45{\times}10^{-4}$ rad./m로 왜곡되고 있는 것을 보였다. 이러한 지형위상왜곡은 약 98 cm의 비행방향 지표변위에 해당된다. 또한 MAI 간섭도의 지형위상왜곡을효과적으로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지형위상왜곡을 약 $7.82{\times}10^{-6}$ rad./m까지 저감시켰다. 이는 제안한 방법이 지형위상왜곡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을 보인다.

일본 후지산의 감쇠구조 (Attenuation Structure of the Mt. Fuji Region, Japan)

  • 정태웅;조나단리스;요시모토카즈오;후지타에이스케;우카와모토오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8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97-100
    • /
    • 2008
  • 일본 후지산은 역사적, 지질학적, 그리고 최근의 지진학적 징후로부터 화산활동의 재개에 의한 재해가능성이 있어 화산감시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후지산 감시활동의 일환으로 축적된 방대한 주변지역 지진자료를 바탕으로 단일산란모델에 의한 코다감쇠상수($Q_c^{-1}$)와 다중시간창분석에 의한 고유 및 산란감쇠상수 ($Q_i^{-1}$, $Q_s^{-1}$)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후지산 아래에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는 용암체의 감쇠구조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정상에서 반경 5km 이내의 지대를 지진파가 통과하는 '후지산 근방', 지진파 통과지역이 모두 반경 20 km 바깥인 '먼 후지산'으로 자료를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자료가 풍부하여 비교적 작은 오차범위를 나타내고 있는데, '후지산 근방'의 모든 감쇠상수 수 $Q^{-1}$는 '먼 후지산'에 비해 컸으며, 두 지대 공히 고주파 영역에서의 $Q_i^{-1}$값은 $Q_s^{-1}$ 값에 비해 높은 값이었다. 그러나, '후지산 근방'의 $Q_i^{-1}$ 값은 다른 화산지역에 비해 낮았는데, 이는 하와이화산과 같은 활동적인 화산에 비해 용융도의 비율이 낮거나 마그마활동이 덜한 것으로 해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