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ple Intelligences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18초

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 학생의 인지적 특성 비교 분석 (A Comparison Analysis of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Between Science-Gifted Education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 조은부;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07-31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과학영재 학급 학생들의 지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72명의 과학영재학급 학생들을 선발하였다. 그리고 이 학생들의 다중지능, 창의성, 그리고 과학탐구능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과학 영재 학급 학생들의 특성을 일반 학생들의 특성과 비교하기 위하여 78명의 일반학생들을 대상으로 동일한 검사를 실사하였다. 그 결과, 과학영재교육을 받는 학생들은 논리 수학적 지능, 개인이해 지능, 자연탐구 지능이 일반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특히 논리 수학적 지능과 개인이해 지능은 강점 지능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8개지능 가운데 음악적 지능은 약점으로 나타났다. 과학영재 학급 학생들은 창의력과 과학탐구능력도 일반학생들보다 뛰어났다.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효율올 높이기 위하여 우리는 영재 교육을 받는 학생들의 이러한 지적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유아의 다중지능과 관련된 생물생태학적 변인 연구 -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 조화적합성을 중심으로 - (The Bioecological Variables Affecting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 With a Focus on Child's Temperament, Mother's Parenting Style and Goodness of Fit -)

  • 서주현;이순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6호
    • /
    • pp.229-242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s how bioecological variables affect the child's multiple intelligence through independent and interactional way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7 pairs of 5-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the Project Spectrum was employed to measure multiple intelligences. Each mothers was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on her child's temperament, her maternal parenting style, 'goodness of fit' and 'the fit of child's intelligence'. Data were analyzed using a factor analysis a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WIN 15.0.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goodness of fit' to the child's temperament moderated the effect of a maternal parenting style that would foster child's dependency on the mathematical intelligence through interaction. 'The fit of child's intelligence' also moderated the effect of maternal positive parenting style to the child's mathematical intelligence. Second, in language intelligence, girls were more verbally intelligent than boys. In that regard, because the sex variable entails a combination of both inherent attribute and social-cultural effects, that result can be interpreted as an interac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environment. Lastly, a maternal parenting style that would foster child's dependency moderated the effect of the child's regular temperament on interpersonal intelligence. This means that the child's regular temperament can be a protective factor for the negative effect of a maternal parenting style that would foster child's dependency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ractional factors such as 'goodness of fit' should be considered in studies involving children.

영재학생의 다중지능과 그 학부모가 인식하는 자녀에 대한 다중지능의 비교 (Comparison of Multi-intelligence of gifted students and their parents' perception of their children)

  • 류현아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7권4호
    • /
    • pp.381-400
    • /
    • 2021
  • In this study, we compare the multiple intelligence of gifted students with the multiple intelligence of their children recognized by their par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18 students and their parents at the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First of all,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multiple intelligence of gifted students and the multiple intelligence recognized by their parents. Parents are highly regarded their children in all multiple intelligence components.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in multiple intelligence of gifted students' gender. The difference in multiple intelligence of children recognized by parents depending on the gender of the student was similar to the student's results. Third, there are not much difference in multiple intelligenc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However,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nd par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group compared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refore, since multi-intelligence can be developed by individual experience and environment throughout one's lif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reflects objective evaluation and student needs rather than parental subjective judgment should be created.

과학 중심 융합인재교육(S-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STEAM program on creativity and multiple intelligences of young children)

  • 송민서;김형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361-372
    • /
    • 2016
  • 본 연구는 S-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본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과학교육과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문헌과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S-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효과 검증을 위해 S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만 4세 유아 29명(실험집단 14명, 비교집단 15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게 S-STEAM 프로그램을 비교집단에게 누리과정에 기초한 과학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창의성 측정도구 TTCT(도형A, B형)를 실시하였고, 교사에게 교사평가 유아 다중지능 검사도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본 프로그램이 창의성 및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본 S-STEAM 프로그램은 전체 창의성과 창의성 하위요인 유창성, 독창성, 추상성, 정교성 및 개방성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S-STEAM 프로그램은 전체 다중지능과 다중지능 하위영역 중 개인이해지능을 제외한 언어, 음악, 공간, 논리 수학, 신체 운동, 대인관계, 자연친화 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지능을 이용한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 탐구 과제의 교수·학습 전략 분석 (An Analysis o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of Inquiry Tasks in the Elementary Moral Textbooks by Multiple Intelligence)

  • 노정임;송기호;유종열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5-2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지능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 탐구 과제에 포함된 교수 학습전략을 정보 활용 과정별로 분석하고, 사서교사가 제공할 수 있는 교육정보서비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도덕 교과서의 탐구 과제는 언어 지능과 논리 수학 지능 및 공간 지능을 중심으로 설계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활용 과정별로는 분석 이해 단계는 언어지능과 공간 지능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종합 적용 단계는 논리 수학 지능이 표현 전달 단계는 언어 지능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탐구 활동의 부족한 다중지능을 길러주기 위하여 사서교사는 공간과 교구를 개선하고, 탐구 과제의 교과 연계성을 분석하여 그래픽조직자를 활용한 학습지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다중지능을 활용한 100대 교육과정의 학교 독서교육 프로그램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Program Types for School Reading Education Included in the 100 Excellent Curriculum by Multiple Intelligences)

  • 이경화;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85-10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학교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분석하고,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가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처음 적용된 2016학년도 100대 우수 교육과정 보고서에 포함된 학교 급별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유형을 다중지능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 독서교육 프로그램은 인간친화지능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는 지역사회 연계 독서를 가장 많이 운영하고, 중 고등학교는 학생 독서 동아리 활동을 가장 많이 운영하였다. 언어 지능 관련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초등학교에서는 책읽어주기, 중학교는 문학작품으로 쓰기, 고등학교는 감상문 쓰기를 가장 많이 운영하였다. 공간 지능 관련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모든 학교급에서 매체제작 유형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다만, 자연친화 지능과 관련된 독서 프로그램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2015 개정 교육과정하에서 학교도서관이 독서교육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하여 이바지할 방안을 교육 공동체 중심지로서 교사 학생 학부모 연계 프로그램 개발, 창작 공간설치 운영, 사서교사의 프로그램 관리 및 탐구기반학습 역량 신장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정보처리모형을 이용한 중학교 『사회 1』 교과서 수록 매체 분석 (An Analysis of Media of Social Studies 1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 with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5-2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처리모형을 이용하여 중학교 사회 1 교과서 수록 매체를 분석하고, 사서 교사가 협동수업에서 제공할 수 있는 교육 정보서비스 내용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하에서 개발된 8종의 사회 1 교과서에 포함된 총 1,089개의 탐구 과제를 분석하였다. 투입 요소로서의 매체는 매체의 유형으로 분석하고, 매체의 처리 요소로서의 특징은 인지행동 유형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매체의 산출 요소 측면은 다중지능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탐구 과제 해결 과정에서 투입되는 매체는 사진과 삽화 중심의 시각자료와 일반적인 읽기 자료가 주류를 이루었다. 처리 방법은 구조화를 통한 분석과 추론을 통한 이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산출 방법은 말하기와 쓰기 중심의 언어지능 요소를 활용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서 교사가 사회과 탐구 활동을 위하여 제공할 수 있는 교육정보서비스를 정보처리 단계별로 교육과정 지도 제작, 탐구 절차와 탐구 기술의 지도 그리고 다중지능별 교수 학습전략과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학습지 개발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다중지능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 학부모의 인식, 실태 및 요구 (Awareness of Parents with Preschoolers on Multiple-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s, the State of Multiple-intelligences Education and their Needs)

  • 하순련;서현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31-355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기 다중지능의 발굴과 지원에 있어서 유아 학부모의 중요한 역할을 인식하고 유아 학부모가 바라보는 다중지능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실태 및 요구 조사를 통해 유아기 다중지능 교육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 소재 6개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유아의 학부모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 학부모들의 다중지능교육에 대한 전반적 인식 높게 나타났으며, 둘째 유아 학부모들은 자녀의 강점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로 유아교육기관과 유아용 학습지에 의존하는 경향이 많았다. 셋째 유아 학부모들은 다중지능 교육 시기는 만2세-만7세 이하가 적절하며 유아의 심리와 욕구에 대한 이해가 있는 교사를 선호하였다. 그리고 유아자녀의 다중지능 교육에의 참여와 이와 관련한 부모교육을 희망하였다. 그러나 일부 유아학부모들은 다중지능 교육을 영재교육이나 특수교육의 일환으로 오해하고 있는 부분도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유아 부모의 다중지능 교육에 대한 올바른 이해의 도모와 또한 다중지능 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과 교사 역할의 중요성에 대하여 인지하고 이후 다중지능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중다지능 이론을 적용한 창의적인 영재 양성교육 (The Development of Multiple Talents : Conceptualization and Empirical Studies)

  • Wu, Wu-Tien
    • 한국영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영재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세미나 및 워크샵 21세기 창의적 생산자 양성을 위한 영재 교육
    • /
    • pp.9-30
    • /
    • 2002
  • A 4-year joint research project (1999-2003), entitled "The Development of Multiple Talents (DMT)", has been designed and carrying out under the sponsorship of the National Science Council, R.O.C. (Taiwan). A 3-dimension construct is proposed for the DMT: form of talents (10 forms, mainly based on Gardner′s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function of talents (3 functions, based on Stemberg′s conception of successful intelligence), and developmental stage (4 stages, from pre-school to senior high). To take an example of its empirical studies, Wu and Chien (2000), based on a renovated conception of personal intelligence, developed the "Personal Intelligence Inventory" (PII). By means of the PII,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ome personal intelligence differences between gifted and regular pupils: however, gifted group was not as superior as on academic performance to the regular one (Wu '||'&'||' Chien, 2000).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upils′personal intelligence and school adjustment in both groups (Tsai '||'&'||' Wu, 2000).

  • PDF

The Development of Multiple Talents: Conceptualization and Empirical Studies

  • Wu, Wu-Tien
    • 영재교육연구
    • /
    • 제12권2호
    • /
    • pp.59-69
    • /
    • 2002
  • A 4-year joint research project(1999-2003), entitled "The Development of Multiple Talents(DMT)", has been designed and carrying out under the sponsorship of the National Science Council, R.O.C. (Taiwan). A 3-dimension construct is proposed for the DMT: form of talents (10 forms, mainly based on Gardner's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function of talents (3 functions, based on Sternberg's conception of successfulintelligence), and developmental stage (4 stages, from pre-school to senior high). To take an example of its empirical studies, Wu and Chien (2000), based on a renovated conception of personal intelligence, developed the "Personal Intelligence Inventory" (PII). By means of the PII,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ome personal intelligence differences between gifted and regular pupils; however, gifted group was not as superior as on academic performance to the regular one (Wu & Chien, 2000).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upils' personal intelligence and school adjustment in both groups (Tsai & Wu,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