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screen service platform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멀티 플랫폼 시대 지상파 방송 콘텐츠 유통 전략 방안 (Terrestrial Broadcasting Content Distribution Strategy in the Multi Platform Environment)

  • 정동훈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17-130
    • /
    • 2012
  • Due to the development of network and device, it is called mobile age that boosts various distribution routes of multi-media content and it constructs a new digital content consumption trend. N-screen is one of the new-introduced examples in the digital age and broadcasting industry believes it as a crisis and challenge as well. It becomes a ubiquitous multi-media environment that people watch multi-media content everywhere and any time they want to and competition happens beyond the boundaries such as network industry, terminal industry, pay TV market, traditional terrestrial TV, etc. And then how should the broadcasting service prepare for the N-screen business? The present research proposes a few terrestial broadcasting content strategies in the multi platform environment. First, instead of N-screen, it proposes multi platform, especially One Source Multi Platform(OSMP). Second, so-called 'Integrated Terrestrial Broadcasting OSMP Alliance(IBPA)' must be founded. Third, IBPA should support multi-tasking UX for viewers to have rich experience. Last, it becomes more important and necessary to support local terrestrial broadcasting service for public service in the multi platform age.

스마트 공공서비스를 위한 N-스크린 서비스 플랫폼 표준규격에 대한 연구 (Research for Standards of N-Screen Service Platform for Smart Public Services)

  • 이정헌;이희주;정운교;이승택;장연상;강상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호
    • /
    • pp.277-291
    • /
    • 2012
  • 스마트폰/스마트패드와 클라우드 컴퓨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N-스크린 서비스가 관심받기 시작했다. 하지만 다양한 OS/플랫폼으로 인하여 콘텐츠 개발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면서 N-스크린 서비스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최근 차세대 웹표준으로 예측되고 있는 HTML5 기반의 N-스크린 서비스 플랫폼 표준규격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로 수립된 표준규격은 서비스 제공자 측면에서 서비스 인프라 및 단말기에 무관하게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N-스크린 서비스를 개발/제공하기 위한 표준규격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로 수립된 표준규격은 N-스크린 서비스 시나리오 적용을 통하여 표준규격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소셜 실감 게임을 위한 이기종 스마트 플랫폼 브릿지 기술 (A Bridge Technique of Heterogeneous Smart Platform supporting Social Immersive Game)

  • 장승은;탕지아메이;김상욱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033-1040
    • /
    • 2014
  • Recently, the concept of mobile content service has changed from providing unilaterally contents for single-device to providing same contents for multi-device. This service should be able to provide diverse contents for multi-devices without platform and specification of multi-device. In this study, we propose a bridge technique of heterogeneous smart platform supporting social immersive game. It is possible to access social immersive game by using a multi-platform bridge. To achieve this, we explain techniques of device connection and data transmission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using server-client structure and UPnP. It provides an immersive game environment for multi-user, which is able to play in a public place using big screen.

안전한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DRM 서비스 모델 (Cloud-Based DRM Service Model for Secure Contents Service)

  • 이혜주;서창호;신상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465-473
    • /
    • 2012
  • 모바일 기기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도입은 N 스크린 서비스와 같은 새로운 콘텐츠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였다. 새로운 콘텐츠 서비스 환경을 위하여 상호운용성과 다중 플랫폼(multi-platform)을 지원하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콘텐츠 서비스 가입 변경에 의한 콘텐츠의 이동이나 지원 단말의 구매 등 여러 면에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입 서비스와 상관없이 콘텐츠의 자유로운 이동을 지원하고 사용자가 소유한 다양한 스마트 기기에서 DRM이 적용된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DRM 서비스 모델로써 DRMaaS(DRM-as-a-Service) 모델을 제안한다.

개인건강기록 기반 만성질환 관리 플랫폼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Chronic Disease Management Platform based on Personal Health Records)

  • 송제민;이용준;남광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7-62
    • /
    • 2012
  • 만성질환 관리 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유헬스 플랫폼을 중심으로 서비스 콘텐츠 개발자, 서비스 제공자, 디바이스 공급자 등이 긴밀하게 협력하여 가치사슬을 형성하는 생태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 유헬스 플랫폼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개인건강기록 (PHR) 관리, 맞춤형 지능형 서비스 지원, N 스크린 서비스 지원 등의 부족으로 효과적인 생태계 구축이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유헬스 플랫폼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만성질환 관리 플랫폼(CDMP: Chronic Disease Management Platform)'을 제안한다. CDMP는 만성질환 건강관리 증진 서비스를 개발 실행 공유하기 위한 공통 기능을 컴포넌트로 제공하고 다양한 서비스 및 시스템 간의 연결.통합을 위한 허브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CDMP는 SOA 기반으로 설계되어 높은 재사용성 확장성을 제공하며 정보 콘텐츠 서비스를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Open API를 제공하는 개방형 플랫폼, N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멀티플랫폼, SNS와의 연동을 통한 자가관리 기능을 지원한다. 이 논문에서는 CDMP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분석, 구조 설계, 설계 검증을 위한 프로토타입 구현을 수행하고, 특히 PHR 정보 관리를 위한 '하이브리드 데이터 모델'의 구현과 성능 평가를 통해 CDMP의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멀티 해상도 스크린 기반의 컨퍼런스 중계방송 기술 연구 (A Study on Multi-resolution Screen based Conference Broadcasting Technology)

  • 김영애;양지희;박구만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253-260
    • /
    • 2018
  • 1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는 기존의 방송 서비스와 다르게 고가의 장비 없이 제작자의 영상과 음성을 획득하는 디바이스와 전송 플랫폼만 있으면 제작자가 원하는 독창적 주제로 자신만의 방송을 제작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개인 방송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세미나 또는 학회와 같은 컨퍼런스에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중계방송 시스템을 개발 및 구현하였다. 각 컨퍼런스 행사장마다 영상과 음성 획득 장치를 설치하고,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이들을 통합하여 중계방송 함으로써 개인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노트북, 태블릿 PC와 같은 멀티 해상도 스크린을 통해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사용자는 원하는 스크린을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 및 VOD 서비스뿐만 아니라 컨퍼런스 관련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컨퍼런스 참석자들에게 개인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을 제공하고 컨퍼런스 참여도 향상의 효과와 향후 연구를 위한 기반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멀티미디어 방송통신 융합서비스에 대한 보안위협 검증 및 대응방안 연구 (A Study on Verification of Security Threat and Method of Response for Multimedia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Services)

  • 정찬석;신용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3032-3042
    • /
    • 2013
  • 멀티미디어 방송통신 융합서비스는 TV 디바이스에 다양한 인터넷 및 미디어 관련 응용 서비스들을 구동하기 위한 플랫폼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형태의 방송통신 융합서비스이다. 기존의 TV 기술에 임베디드 OS를 탑재하고, 다양한 스마트 응용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OS 위에서 다양한 플랫폼 등을 탑재한 형태의 진화된 TV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융합된 서비스는 Open IPTV, Smart TV, 모바일 IPTV, N-스크린 등의 멀티미디어 방송통신 융합 신규 서비스가 국내 서비스 3사를 주축으로 활발히 서비스 되고 있다. 하지만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인터넷에 접속하고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인터넷과 소프트웨어의 취약성을 내제하고 있다. 이러한 취약성은 심각한 보안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보안 위협들과 취약성들을 바탕으로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환경에서 발생 가능한 보안 위협들을 도출하였고, 실제로 위협이 보안 사고 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 보안 위협에 대한 검증을 모의 해킹을 통해 실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방송 융합통신 융합서비스 환경에서의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