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dimensional aspects of mathematics educat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Herbart의 교육학이 주는 수학교육학적 함의에 관한 연구

  • 유충현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7권2호
    • /
    • pp.223-242
    • /
    • 2011
  • The fact that Herbart's education has realized in the educational context the Kant's theory of transcendental education by applying Kant's transcendentalism to education is of great significance for education. It also provides an implication for mathematics education that Herbart's educa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can be applied to mathematics education through an attempt to combine a practical ethics education and an aesthetic emotion education with mathematics education. Both Kant and Herbart clearly show that an only practical, aesthetic education would not exist as a solely theoretical mathematics education cannot. Therefore, these multi-dimensional aspects of mathematics education should be always considered as a whole although there could be a difference in importance among those aspects. It implies that, regardless of the environments for mathematics education, mathematics teachers and students must do mathematics education activitie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humanity in its entirety. The theory of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Herbart's education reveals that the entireness of human being should not be neglected in any case. In this regard, Herbart's theory of education shows that mathematics education is an all-inclusive theory of mathematics education that embraces both phenomenon and transcendence.

K-12 학생 및 교사를 위한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고찰 (Review 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for K-12 Students and Teachers)

  • 김수환;김성훈;이민정;김현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1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초중등 교육에 도입되고 있는 인공지능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등을 교육과정의 측면과 교사교육에 필요한 요인 측면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우리나라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1차 문헌으로는 국내외 논문 9편, 2차 문헌으로는 11편의 국내외 정책 보고서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수집된 문헌을 서술적 고찰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문헌의 다각도 분석을 위해 교육과정 구성요소 측면과 TPACK 요소 측면에서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인공지능 교육 대상을 인공지능 사용자, 활용자, 개발자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에서는 사용자와 활용자 단계가 적합하고, 사용자 교육을 위해 인공지능 리터러시를 포함해야 한다. 활용자 교육을 위해 현재의 컴퓨팅 사고력 및 코딩 역량을 기반으로 하여 인공지능의 기능을 적용하여 창의적인 산출물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역량을 목표로 삼는 것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교사는 교수 지식 및 플랫폼 사용 능력 외에도 문제해결, 추론, 학습, 인식 영역 및 일부 응용수학, 인지/심리학/윤리에 대한 내용 지식이 필요하므로 이에 대한 연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