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view 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for K-12 Students and Teachers

K-12 학생 및 교사를 위한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고찰

  • Received : 2020.04.03
  • Accepted : 2020.05.20
  • Published : 2020.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AI education in K-12 education through investigating and analyzing aspects of the purpose, content, and methods of AI education as the curriculum and teacher training factors. We collected and analyzed 9 papers as the primary literature and 11 domestic and foreign policy reports as the secondary literature. The collected literatures were analyzed by applying a descriptive reviews, and the implication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curriculum components and TPACK elements for multi-dimensional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AI education targets were divided into three steps: AI users, utilizer, and developers. In K-12 education, the user and utilizer stages are appropriat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must be included for user education. Based on the current computing thinking ability and coding ability for utilizer education, the implication was derived that it is necessary to target the ability to create creative output by applying the func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addition to the pedagogical knowledge and the ability to use the platform, The teacher training is necessary because teachers need content knowledge such as problem-solving, reasoning, learning, perception, and some applied mathematics, cognitive / psychological / ethical of AI.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초중등 교육에 도입되고 있는 인공지능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등을 교육과정의 측면과 교사교육에 필요한 요인 측면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우리나라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1차 문헌으로는 국내외 논문 9편, 2차 문헌으로는 11편의 국내외 정책 보고서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수집된 문헌을 서술적 고찰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문헌의 다각도 분석을 위해 교육과정 구성요소 측면과 TPACK 요소 측면에서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인공지능 교육 대상을 인공지능 사용자, 활용자, 개발자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에서는 사용자와 활용자 단계가 적합하고, 사용자 교육을 위해 인공지능 리터러시를 포함해야 한다. 활용자 교육을 위해 현재의 컴퓨팅 사고력 및 코딩 역량을 기반으로 하여 인공지능의 기능을 적용하여 창의적인 산출물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역량을 목표로 삼는 것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교사는 교수 지식 및 플랫폼 사용 능력 외에도 문제해결, 추론, 학습, 인식 영역 및 일부 응용수학, 인지/심리학/윤리에 대한 내용 지식이 필요하므로 이에 대한 연수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정원.문형돈 (2018). 국내 인공지능 인식 현황 연구.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396-1397.
  2. 교육부 (2015). 소프트웨어 운영 지침.
  3. 성정숙.김현철 (2015). 국외 컴퓨터 교육과정의 변화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8(1), 45-54.
  4. 김현철 (2019). 정보적 사고에서 인공지능까지. 서울: 한빛아카데미.
  5. 교육부 (2015).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
  6. 한국과학창의재단 (2019). 2019 AI 융합교육정책자료집.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7. Wollowski, M., Selkowitz, R., Brown, L. E., Goel, A., Luger, G., Marshall, J., & Norvig, P. (2016, March). A survey of current practice and teaching of AI. In Thirtieth AAAI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8. Kandlhofer, M., Steinbauer, G., Hirschmugl-Gaisch, S., & Huber, P. (2016, October).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mputer science in education: From kindergarten to university. In 2016 IEEE Frontiers in Education Conference (FIE) (pp. 1-9). IEEE.
  9. Han, X., Hu, F., Xiong, G., Liu, X., Gong, X., Niu, X., & Wang, X. (2018). Design of AI+ Curriculum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Qingdao. In 2018 Chinese Automation Congress (CAC) (pp. 4135-4140). IEEE.
  10. Yu, Y., & Chen, Y. (2018). Design and development of high school artificial intelligence textbook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Open Access Library Journal, 5(9), 1-15.
  11. 미국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2016). Artificial Intelligence, Automation and the Economy. 2020.03.10. 검색. https://obamawhitehouse.archives.gov/sites/whitehouse.gov/files/documents/Artificial-Intelligence-Automation-Economy.PDF
  12. 미국 NSTC (2019). 2019 Executive Order on Maintaining American Leadership in Artificial Intellignece. 2020.02.20. 검색 https://www.whitehouse.gov/presidential-actions/executive-order-maintaining-american-leadership-artificial-intelligence/
  13. 미국 AI4K12 사이트. 2020.02.20. 검색. https://github.com/touretzkyds/ai4k12/wiki
  14. 관계부처합동 (2019). 인공지능 국가전략. 2020.03.10. 검 색. 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366736
  15. 이은경 (2020). 국내외 초중등학교 인공지능 교육과정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3(1), 37-44.
  16. 한국과학창의재단 (2019). 차세대 소프트웨어 (SW)교육 표준모델 개발.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17. 류미영.한선관 (2019). 딥러닝 개념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6), 583-590. https://doi.org/10.14352/jkaie.2019.23.6.583
  18. 이영호 (2019). 블록형 프로그래밍 언어 기반 인공지능 교육이 학습자의 인공지능 기술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2), 189-196. https://doi.org/10.14352/jkaie.2019.23.2.189
  19. 김영천 (역) (2016). 질적연구방법론1. Denzin, N, K의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str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3rd ed.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 Mishra P., Koehler M. J. (2006).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Framework for Integrating Technology in Teacher Knowledge. Teachers College Record. 108(6), 1017-1054. https://doi.org/10.1111/j.1467-9620.2006.00684.x
  21. 최현종.이태욱 (2015). TPACK 모형에 기반한 예비 교사의 테크놀로지 지식 교육 프로그램 적용과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0(2), 231-239. https://doi.org/10.9708/jksci.2015.20.2.231
  22. 미국 AI4All Open Learning. 2020.02.20. 검색. http://ai-4-all.org/open-learning
  23. 미국 ECS 사이트. 2020.02.20. 검색. http://www.exploringcs.org/
  24. 현성은 (2017). 중국의 인공지능(AI) 전략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계획'을 중심으로. NIA Special Report 2017-10, 한국정보화진흥원.
  25. 백병화.안인희 (2018). 중국 인공지능 정책 분석 및 시사점. 정보통신기획평가원.
  26. 중국 인공지능 실험교재 목차. 2020.02.20. 검색. https://m.blog.naver.com/entrylabs/221602290971
  27. 중국, 인공지능 교과서. 2020.02.20. 검색. https://item.jd.com/12461281.html
  28. 일본 종합과학기술.혁신회의(CSTI) 이슈별 논의. KISTEP(2018.12.)
  29. 김용성 (2019). 인공지능(AI) 시대의 주요국의 인재양성 정책동향. 소프트웨어 정책 연구소.
  30. 이소율 (2017). TPACK 기반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이 초등 교사의 정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1. 미국 Machine Learning for Kids - IBM.org. 2020.02.20. 검색. https://www.ibm.org/activities/machine-learning-for-kids
  32. 미국 Teachable Machine. 2020.02.20. 검색. https://teachablemachine.withgoogle.com

Cited by

  1. Experience Way of Artificial Intelligence PLAY Educational Mode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vol.12, pp.4, 2020, https://doi.org/10.7236/ijibc.2020.12.4.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