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Mode

검색결과 1,745건 처리시간 0.04초

Multi-mode용 저전력 Digital Down Conversion filter 설계 (Low-power Digital Down Conversion filter design for Multi-mode)

  • 김도한;허은성;장영범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7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5-76
    • /
    • 2007
  • 이 논문에서는 IS-95와 WCDMA의 Multi-mode로 동작하는 Multi-mode용 저전력 DDC filter 구조를 제안한다. 기존의 DDC구조의 경우 CIC의 통과대역 특성을 향상시켜 주지만, 저지대역의 감쇠특성은 오히려 나빠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제안된 구조는 CIC 데시메이션 필터의 통과대역 특성은 더욱 향상시켜주며, 저지대역의 감쇠특성도 같이 향상시키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제안된 절터는 각 필터의 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IS-95와 WCDMA의 각각의 모드에 대해 한 개의 필터를 설계한 후 각 모드에 따라 필터 탭 수를 달리하여 동작하는 Multi-mode의 저전력 구조로 구현하였다.

  • PDF

다중모드 무단 변속기의 구조이론에 관한 연구 (Basic Theory on a Multi-Mode CVT)

  • 이진원;장욱진;박진호;박영일;이장무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4권10호
    • /
    • pp.2477-2486
    • /
    • 2000
  • A planetary gear assembly is a key component to combine and/or split a power from the source. With a planetary gear assembly, a continuously variable unit extends its capacity by means of power bra nching mechanism. Power branching with one planetary gear assembly and one continuously variable unit is categorized into 12 basic types. Each type represents peculiar power transmitting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a multi-mode (rang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an be designed with accompanying clutches. A multi-mod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nges the path through which the source power is transmitted. Each path has its own features, such as high efficiency. In this paper, some design principles are examined such as, criteria to guarantee the minimum power efficiency, and constraints to guarantee the smooth mode shift after discussing well-known features of multi-mode M mathematically.

Adaptive Mode Switching in Correlated Multiple Antenna Cellular Networks

  • Lee, Chul-Han;Chae, Chan-Byoung;Vishwanath, Sriram;Heath, Jr., Robert W.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1권3호
    • /
    • pp.279-286
    • /
    • 2009
  • This paper proposes an adaptive mode switching algorithm between two strategies in multiple antenna cellular networks:A single-user mode and a multi-user mode for the broadcast channel. If full channel state information is available at the base station, it is known that a multi user transmission strategy would outperform all single-user transmission strategies. In the absence of full side information, it is unclear what the capacity achieving method is, and thus there are few criteria to decide which of the myriad possible methods performs best given a system configuration. We compare a single user transmission and a multi user transmission with linear receivers in this paper where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s have multiple antennas, and find that neither strategy dom inates the other. There is instead a transition point between the two strategies. Then, the mode switching point is determined both ana lytically and numerically for a multiple antenna cellular downlink with correlation between transmit antennas.

Improved Vertically-Aligned Nematic Mode for High Performance Displays

  • Jhun, Chul Gyu;Gwag, Jin Seog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8권6호
    • /
    • pp.783-787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an improved vertical alignment nematic liquid crystal mode characterized by the protrusions or slits of the top substrate and additional stripe type common electrodes with polarity switching of the bottom substrate to improve multi-domain vertically aligned (MVA) and patterned vertically aligned (PVA) nematic modes. MVA and PVA modes have disadvantages such as an LC disclination in the vicinity of the middle region of electrodes between the top and bottom protrusions in MVA mode or the top and bottom slits in PVA mode. Therefore, the stripe type common electrode generating a horizontal electric field and the protrusion or slit producing some pretilt of liquid crystals (LCs) were used to improve the LC disclination, which influences the transmittance and response speed.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VA mode has higher transmittance than the MVA and PVA modes. As a result, the proposed VA mode can improve the response speed and transmittance remarkably, which makes it useful for upgrading the LCD display quality.

Mode Selection of Leaky Lamb Waves in Steel Plate

  • ;;;나원배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12
    • /
    • 2008
  • The dispersion and attenuation of Lamb and Leaky Lamb waves propagating in a 1 mm-thick steel plate were investigated. For acquiring a long(or large) range inspection capability, the fundamental symmetric and anti-symmetric wave modes(S0 and A0) over law frequencies were studied. Based on the dispersion curves, as well as pitch-catch and multi-mode simulations, it was shown that the S0 mode over law frequencies is the proper mode to minimize the dispersion and attenuation.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 S0 mode couldbe easily distinguished under multi-mode simulation since it has a larger group velocity than the A0 mode.

Multi-variate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MEMD) for ambient modal identification of RC road bridge

  • Mahato, Swarup;Hazra, Budhaditya;Chakraborty, Arunasis
    • Structural Monitoring and Maintenance
    • /
    • 제7권4호
    • /
    • pp.283-294
    • /
    • 2020
  • In this paper, an adaptive MEMD based modal identification technique for linear time-invariant systems is proposed employing multiple vibration measurements. Traditional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EMD) suffers from mode-mixing during sifting operations to identify intrinsic mode functions (IMF). MEMD performs better in this context as it considers multi-channel data and projects them into a n-dimensional hypercube to evaluate the IMFs. Using this technique, modal parameters of the structural system are identified. It is observed that MEMD has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its traditional counterpart. However, it still suffers from mild mode-mixing in higher modes where the energy contents are low. To avoid this problem, an adaptive filtering scheme is proposed to decompose the interfering modes. The Proposed modified scheme is then applied to vibrations of a reinforced concrete road bridg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show that the proposed MEMD based approach coupled with the filtering technique can effectively identify the parameters of the dominant modes present in the structural response with a significant level of accuracy.

멀티모드 멀티태스크 임베디드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HW/SW 분할 기법 (HW/SW Partitioning Techniques for Multi-Mode Multi-Task Embedded Applications)

  • 김영준;김태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4권8호
    • /
    • pp.337-347
    • /
    • 2007
  • 시스템의 기능을 바꾸어 가면서 여러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는 임베디드 시스템을 멀티모드(multi-mode) 임베디드 시스템이라 부른다. 더 나아가서 하나의 모드가 여러 개의 태스크로 구성된 임베디드 시스템을 멀티모드 멀티태스크(multi-task) 임베디드 시스템이라 부른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제한 조건을 가지고 있는 멀티모드 멀티태스크 임베디드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하는 HW/SW 분할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시간제한 조건을 만족하는 스케줄과 함께 태스크의 기능모듈(functional module)을 동작시킬 효율적인 처리 자원(processing resource)을 할당/매핑하여 시스템의 비용(가격)을 최대한 낮추는 것이 목적이다. 이 문제를 잘 풀기 위해 중요한 것은 모듈사이의 병렬성을 최대한 이용하여 실행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전의 HW/SW 분할 방법은 모듈의 병렬 실행 가능성을 최대한 이용하지 않았는데, 병렬성 이용을 위한 탐색 계산이 복잡할 뿐 아니라 스케줄 가능성(schedulability) 검사를 단순하게 하려고 하였기 때문이다. 기존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우리는 다음의 세 개의 세부문제를 동시에 고려하는 HW/SW 분할 기법을 제안한다: (1) 처리 자원의 할당 (2) 태스크 모듈에 대한 처리 자원 매핑 (3) 모듈실행 스케줄의 결정. 특별히 모듈의 병렬 실행과 실행 가능성을 간결하게 측정하는데 바탕을 둔 단순모드(single-mode) 멀티태스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반복 개선 방식을 갖는 분할 기법을 만들었다. 다시 이 기법을 확장하여 멀티모드 멀티태스크 어플리케이션의 분할 기법을 만들었다. 실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제안된 우리의 기법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서 단순모드와 멀티모드 멀티태스크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각각 17.0%와 19.0%의 가격을 낮추는 것이 확인되었다.기존의 단량체인 Bis-GMA의 대체재로 고려될 수 있다. 혈중 cholestrol의 증가는 비만, 동맥경화, 고혈압 등의 심혈관 질환과 당뇨병 지방 대사 장해 등을 일으킨다. 함량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은 1.74배 증가하였다. 그에 비해 RCM 투여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57.4%의 예방효과를 측정할 수 있었다. HDL-콜레스테롤은 항 동맥경화의 지표로서 콜레스테롤을 말초혈관에서 간으로 수송하여 동맥경화를 진행시키지 않는 방향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여 지질대사 장해에 대한 방어 작용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은 2.62배 감소하였다. 그에 비해 RCM 투여군은 대조군보다 81.6% 증대되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과산화 지질 (Malondialdehyde)의 경우 지질조직의 손상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효소로 인정되고 있으며, 조직의 손상, 발암, 염증, 성인병 및 노화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유해 작용을 일으킨다.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은 1.74배 수치가 증가되었으며, RCM투여군의 대조군과 비교 시 57.4% 감소되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LPS로부터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복분자의 선투여 후 예방효과를 알아보았다. 생약재의 일종인 복분자의 경우 LPS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및 지질대사로부터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지질과산화에 대해서 강한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복분자는 생활 습관병의 예방과 개선에 유효한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지질대사와 과산화지표의 검증을 통해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로서 역시 CTV 치료계획에서 적게 조사되었다(p=0.005). 기존의 ICRU 치료계획은 잔류종양의 크기가 작은 경우 불필요하게 정상조직에 많은 선량이 투여되기 때문에 CT를 이용한 CTV 치료계획을 적용하여 정상조직에 대한 피폭을

다인 가구와의 비교를 통한 1인 가구의 통근수단 선택 결정요인의 차별적 특성의 파악 (Identification on the Differentiating Characteristics of Determinant Factors on Commuting Mode Choice for the Single-Person Household Compared to the Multi-Person Household)

  • 성현곤
    • 토지주택연구
    • /
    • 제11권2호
    • /
    • pp.1-14
    • /
    • 2020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dentify the differentiating characteristics of determinant factors on sing-person households' commuting mode choice compared to multi-person households' one in order to establish the customized police directions to decrease private car use in commuting. While the study use the 2% sample survey data on the population and housing in 2015, it employ multinomial logit models on relative choice probability of such alternative commuting modes as bus, subway or rail, and walking, rather than driving. As potential determinant factors, the study employs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housing and residential one for both models of singl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The study finds that the behavior of commuting mode choice has distinctive difference by gender, marriage status, physical activity constraint, job type, residential period in current housing of the single-person household's workers compared to the multi-person households' one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deduce ten commuting policy directions customized for the single-person household.

비선형 변위모드법을 적용한 복합구조물의 내진성능평가 (Evaluation of Seismic Performance of Mixed Building Structures by using the Nonlinear Displacement Mode Method)

  • 김부식;송호산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7권6호
    • /
    • pp.71-80
    • /
    • 2003
  • 구조물의 내진 성능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비선형 시각 이력 해석이 필요하지만 실용성과 단순성 측면에서 약산법이 대안이 될 수 있으며, 다층 구조물을 등가 단자유도계로 치환할 때 다층 구조물의 모드벡터는 구조물이 탄성 또는 탄소성 상태에 상관없이 탄성 상태에서의 모드 형상으로 가정되지만, 항복이 발생한 후 증가하는 하중단계에서 구조물은 비탄성으로 되기 때문에 변위 모드 특성들도 변화된다. 본 논문은 항복 이후의 구조물의 모드 변화를 고려한 비선형 변위모드를 이용하여 다자유도계를 등가 단자유도계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변환된 등가 단자유도계의 변위응답을 근거로 추정한 복합 구조물의 최상층 변위와 실제 지진교란을 받는 복합 구조물의 비선형 동적해석에 의한 최상층 변위를 비교함으로서 복합구조물의 지진응답예측을 위한 비선형 변위모드법의 적용성과 신뢰성을 검토하였다.

RS422 Multi-drop mode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home network using the RS422 Multi-drop mode serial communication)

  • 변필상;김명환;김덕진;박세현;박연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445-1451
    • /
    • 2005
  • 홈 네트워크란 일반적으로 PC를 비롯한 가정 내의 가전기기들이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합되어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21세기에 들어서 홈 네트워크 환경을 위한 여러 가지 기술들이 제시되었다. 대표적으로 HomePNA, IEEE1394, ethernet lan, 블루투스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를 구현하는데 있어 가전기기간 데이터를 전송 할 경우 표준 직렬 인터페이스인 RS232를 이용한다. 그러나 RS232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현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point-to-point 방식을 사용하여 각각의 기기를 모두 RS232로 연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경우 기기의 숫자만큼 회선이 늘어남으로 인해 시스템 자체가 복잡해지고 비용도 증가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이 논문에서는 RS422 Multi-drop mode 시리얼 통신를 이용하여 흠 네트워크를 설계하였고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으로 제어하였다. 그리고 홈 네트워크 가상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 PIC를 이용하여 모터 및 센서를 RS422와 연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