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dentification on the Differentiating Characteristics of Determinant Factors on Commuting Mode Choice for the Single-Person Household Compared to the Multi-Person Household

다인 가구와의 비교를 통한 1인 가구의 통근수단 선택 결정요인의 차별적 특성의 파악

  • 성현곤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20.07.02
  • Accepted : 2020.07.17
  • Published : 2020.07.3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dentify the differentiating characteristics of determinant factors on sing-person households' commuting mode choice compared to multi-person households' one in order to establish the customized police directions to decrease private car use in commuting. While the study use the 2% sample survey data on the population and housing in 2015, it employ multinomial logit models on relative choice probability of such alternative commuting modes as bus, subway or rail, and walking, rather than driving. As potential determinant factors, the study employs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housing and residential one for both models of singl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The study finds that the behavior of commuting mode choice has distinctive difference by gender, marriage status, physical activity constraint, job type, residential period in current housing of the single-person household's workers compared to the multi-person households' one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deduce ten commuting policy directions customized for the single-person household.

Keywords

References

  1. KB Financial Group (2011), 1인가구 급증에 따른 소형 주택시장의 변화.
  2. 강지현(2017), "1인 가구의 범죄피해에 관한 연구: 가구 유형별 범죄피해 영향요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28(2): 287-320
  3. 김재익(2013), "1인가구의 생애주기별 이질성과 공간적 분포 특성", 주택연구, 21(3): 63-81.
  4. 김태완.장석용.장영재.이두희(2014),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실태와 교통안전교육의 개선", 교통기술과 정책, 11(1): 38-45.
  5. 박미선.강미나.임상연 (2017), 1인 청년가구 주거복지 정책방향, 국토연구원.
  6. 박지형.김주영.서창범.박재희(2017), 미래 교통수요의 변화 예측과 대응(2차년도), 한국교통연구원 기본과제 연구보고서, 기본-RR-17-02.
  7. 반정호(2012), "1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변화", 월간노동리뷰, 55-87.
  8. 변미리(2016), "서울의 4種4色 1인가구, 대세로 자리 잡다", 서울경제, 3: 6-11.
  9. 서정주.김예규(2017), 한국 1인 가구 보고서,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KB연구보고서.
  10. 성현곤(2013), "주거와 직장의 대중교통 접근성 유형화와 대중교통 통행발생량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31(2): 20-32. https://doi.org/10.7470/jkst.2013.31.2.020
  11. 성현곤(2015), Stata를 활용한 통계이론 및 실습, 충북대학교 출판부.
  12. 성현곤.노정현.김태현.박지형(2006), "고밀도시에서의 토지이용이 통행패턴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역세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1(4): 59-75.
  13. 손경환(2017), "1인가구시대! 앞으로의 주택정책 방향은?", 도시정보지 권두언, pp.2-3
  14. 신상영(2010), "1인가구주거지의공간적분포에관한연구:서울시를사례로", 국토계획, 45(4): 81-95.
  15. 안효원.이종호.오승훈(2013), "수도권 1인가구의 통행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지, 33(6): 2503-2508.
  16. 이민주.박인권(2016), "지역 특성에 따른 소득별 직주불일치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32(1): 67-82. https://doi.org/10.22669/KRSA.2016.32.1.067
  17. 이신해(2014), "고령자 통행지원을 위한 지속가능한 교통정책", 월간 국토, 398: 36-41.
  18. 이재수.양재섭(2013), "서울의 1인 가구 특성과 거주 밀집지역 분석을 통한 주택정책 방향 연구", 국토계획, 48(3): 181-193.
  19. 이재영(2013), "1인 가구 통행특성 및 교통정책 방향", 대전발전포럼, 48: 25-38.
  20. 이희연.노승철.최은영(2011), "1인 가구의 인구경제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장패턴과 공간분포", 대한지리학회지, 46(4): 480-500.
  21. 장윤정.이창효(2016), "20-30대 1인 가구의 여가통행 목적지 공간 선택과 선호에 관한 행태 특성 연구", 서울도시연구, 17(2): 77-96.
  22. 장정아.김정화.최기주(2016), "무신호 단일로 횡단보도에서 고령 보행자의 횡단행태조사 및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34(3): 207-221. https://doi.org/10.7470/jkst.2016.34.3.207
  23. 장정아.장원재.최정단(2013), "미래 교통약자 보행서비스를 위한 교통약자 설문조사", 교통기술과 정책, 10(5): 42-50.
  24. 조달호.장윤선.최윤진.김보연(2017), 2017년 서울 경제 트렌드, Seoul Economic Bulletin.
  25. 주진호.연지윤.장동익(2014), "자가용 승용차의 가구그룹별 통행특성 차이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32(4): 347-356. https://doi.org/10.7470/jkst.2014.32.4.347
  26. 추상호.이향숙.신현준(2013),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한 고령자의 통행행태 변화 분석", 국토연구, 76: 31-45.
  27. 하재현.이수기(2017), "개인의 생애주기 단계에 따른 통근시간 영향요인 분석: 2010년 수도권 가구통행실태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2(4): 135-152. https://doi.org/10.17208/jkpa.2017.08.52.4.135
  28. 한국교통연구원(2016), "국가별 통근시간 비교", KTDB Newsletter, 31: 6-7.
  29. Gimenez-Nadal, J. I., Molina, J. A., and Velilla, J. (2018), "The commuting behavior of workers in the United States: Differences between the employed and the self-employed",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66: 19-29. https://doi.org/10.1016/j.jtrangeo.2017.10.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