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Media

검색결과 1,706건 처리시간 0.033초

다공성 연소기 모델로서의 다중 채널 연소기 내부 화염의 안정화 특성 기초 연구 (Basic Study on Flame-Stabilization Characteristics in a Multi-Channel Combustor via a Model of a Porous-Media Combustor)

  • 박승일;이민정;김남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8호
    • /
    • pp.815-823
    • /
    • 2011
  • 다공성 물질 내부의 연소 현상은 저발열량 연료의 연소 및 연소열의 재생을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형태로 산업현장에 응용되고 있다. 하지만 다공성 물질 내부에서의 연소 현상은 직접적인 관찰이 힘들다는 점과 다공성 물질의 복잡한 내부 구조로 인해 매우 제한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다공성 물질의 구조 내부에서의 화염의 안정화 특성에 관한 이해를 위해 내부 관찰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석영판으로 구성된 다중채널 형태의 모형 연소기를 제안하고 이를 이용한 간단한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다중채널내부 화염의 안정화에 관한 간단한 기초해석 모델을 제안한다. 다수의 채널 내부에 형성된 화염은 채널간의 열전달에 의해 화염의 공간 분포가 변화하고 그 결과로 연소기 내부의 가연한계에 변화가 발생한다. 채널의 재료 특성 및 당량비에 따른 가연한계의 변화를 제시하였으며, 이 결과는 다공성 연소기 내부화염의 이해에 도움될 것이다.

대화형 복수시점 영상콘텐츠 저작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ractive Multi-view Visual Contents Authoring System)

  • 이인재;최진수;기명석;정세윤;문경애;홍진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58-47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MPEG-4 Systems 기반 복수시점 영상 서비스를 위한 저작 기술에 대해 제안한다. MPE-4는 이전의 MPEG-l/2 등의 비디오 정보 압축 규격과 달리, 사용자와 콘텐츠 간의 객체 기반 대화형(interactivity) 기능에 대한 다양한 방법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MPEG-4 Systems 규격은 현재까지 개발된 표준들 중에서 복수시점 영상 서비스가 제공하려고 하는 목적에 가장 잘 부합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PEG-4 Systems 표준 기술을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는 복수시점 영상 서비스에 대해 기술하였고,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MPEG가 장면 기술(scene description) 프로파일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프로파일에 기반을 둔 대화형 복수시점 영상콘텐츠 저작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으며, 실험결과를 통해 그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WiMedia를 위한 멀티홉 라우팅 프로토콜 개발 및 성능분석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Multi-hop Routing Protocol for WiMedia)

  • 정진욱;이승진;진교홍;황민태;전영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1406-1415
    • /
    • 2012
  • WiMedia는 다른 WPAN 기술에 비해 빠른 전송률을 제공하지만 전송 범위가 10미터로 제한되어 있어 그 이상의 거리에 존재하는 디바이스와의 통신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WiMedia 네트워크에서 제한된 전송 범위를 극복하여 실시간(Real-Time)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멀티홉 QoS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라우팅 프로토콜은 Table-Driven 라우팅 알고리즘과 On-Demand 라우팅 알고리즘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형 라우팅 프로토콜로 2홉 이내의 거리에 존재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경로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이웃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집한 후 Table-Driven 라우팅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생성하며 3홉 이상의 거리에 존재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경로는 On-Demand 라우팅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생성한다. 그리고 ns-2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라우팅 프로토콜과 AODV, 그리고 DSDV간의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처리율과 지연시간에 있어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a Dynamic Fate and Transport Model for Lead in Multi-media Environment

  • Ha, Yeon-Jeong;Lee, Dong-Soo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4권1호
    • /
    • pp.53-60
    • /
    • 2009
  • The main objective was to develop and assess a dynamic fate and transport model for lead in air, soil, sediment, water and vegetation. Daejeon was chosen as the study area for its relatively high contamination and emission levels. The model was assessed by comparing model predictions with measured concentrations in multi-media and atmospheric deposition flux. Given a lead concentration in air, the model could predict the concentrations in water and soil within a factor of five. Sensitivity analysis indicated that effective compartment volumes, rain intensity, scavenging ratio, run off, and foliar uptake were critical to accurate model prediction. Important implications include that restriction of air emission may be necessary in the future to protect the soil quality objective as the contamination level in soil is predicted to steadily increase at the present emission level and that direct discharge of lead into the water body was insignificant as compared to atmospheric deposition fluxes. The results strongly indicated that atmospheric emission governs the quality of the whole environment. Use of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would provide quantitative and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cross-media characteristics and assessment of the relationships of the contamination levels among the multi-media environment.

낙동강 하류원수에 적합한 여과지의 여재구성 (The adaptive filter configuration for down stream of Naktong river)

  • 김상구;류동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4권5호
    • /
    • pp.481-488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variations of headloss rate and of specific deposit to depths with effective size of media and configuration of filter layer during algae blooming period. 0.51mm size media was disqualified because most of headloss occurred rapidly below 5cm from surface layer however 0.91mm size media acted deep filtration more than 20cm from top, as result 0.91mm sixte media filter had 2~3 times longer filtration time than 0.51mm sixte media filter, but 0.91mm size media have break-through potentiality. multi-layer filter with 1.02mm anthracite and 0.51mm sand had large deposit volume in upper layer that could longer filtration time, moreover smaller media in lower layer that could protect break-through.

  • PDF

Motivation in Using and Sharing Experience on Social Media among Multi-Generational Travelers

  • Hartijasti, Yanki;Cho, Namjae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5권4호
    • /
    • pp.171-184
    • /
    • 2018
  • Social media has been integrated into a part of travel industry. Subsequently, it has influenced tourists' travel behavior. Prior studies claim that individuals have different behaviors regarding the use of social media for travel purposes. With lack of studies focusing on age group,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otivation among three generations in using social media for the sake of sharing travel experiences. Finding shows that all generations use social media with similar motivation for travel purposes. They have high motivation in obtaining travel information before the trip and in sharing memorable travel experiences through social media. They also wanted to keep such information as personal document during and after the traveling.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를 위한 움직임벡터 예측값 선택 방법 (Motion Vector Predictor selection method for multi-view video coding)

  • 최원준;서덕영;김규헌;박광훈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565-57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JVT에서 표준화가 진행 중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의 부호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시점 비디오의 예측구조의 특성을 고려하여 움직임벡터 예측값을 선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에서 시간 방향과 뷰 방향의 예측을 수행하면서 서로 다른 성향의 움직임벡터가 발생된다. 또한 주변 블록에서 시간 방향과 뷰 방향 참조의 움직임벡터가 혼재하는 상황에서 동일한 성향의 움직임벡터가 선택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어 움직임벡터의 예측 효율이 저하된다. 이에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의 예측구조에 따라 움직임벡터 예측값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움직임벡터 예측값 선택 방법을 통하여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의 압축 효율을 높일 수 있었으며, JMVM 3.6에서 움직임벡터 예측값을 선택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와 비교하여 PSNR(Peak Signal-to-Noise Ratio)이 약$0.03{\sim}0.1$ dB 정도 향상되었다.

공공 공간에서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이용한 공익 광고 디자인에 관한 연구 (Research of the public service advertising using interactive media in public space)

  • 이정;박상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933-937
    • /
    • 2009
  • 멀티미디어 인터랙티브 광고는 컴퓨터 멀티미디어 기술의 탄생과 광범위한 연구에 더불어 활용폭이 넓은 새로운 하나의 영역을 형성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우선 기존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광고에 관한 분석을 연구하였고, 그 다음 인터랙티브 미디어와 공공 공간에서 공익광고의 디자인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공공 공간에서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응용한 공익 광고에 대한 디자인과 분석을 통해, 인터랙티브 미디어가 가진 특징을 발견하고 차후 이 특성의 장점을 활용한 작품제작을 위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AMC 기반 OFDMA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서브 채널 할당 방법 (Sub-channel Allocation Scheme for Multi-media Service in AMC-based OFDMA Systems)

  • 송우람;정조운;김동회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78-18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AMC(Adaptive Modulation Coding) 기반 OFDMA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모든 핸드오버 호와 신규 호 사용자들에 대하여 무선자원 할당의 기본 단위인 서브 채널의 효율적인 할당에 관한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셀 내에서는 단말들의 위치에 따라서 다른 변조 및 코딩 방식을 가지는 Multi-band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여러 개의 서브 채널로 구성되어 있는 OFDMA 시스템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가지는 핸드오버 호 또는 신규 호들에 대하여 핸드오버 호와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우선 정책을 주는 서브 채널 할당 방법을 적용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Multi-band 서브채널 할당 방식은 Single-band 서브채널 할당방식과 비교하여 핸드오버 호와 신규 호의 블럭킹 확률 측면에서 좋은 성능을 보여줌을 확인하였다.

Multi-antenna diversity gain in terrestrial broadcasting receivers on vehicles: A coverage probability perspective

  • Ahn, Sungjun;Lee, Jae-young;Lim, Bo-Mi;Kwon, Hae-Chan;Hur, Namho;Park, Sung-Ik
    • ETRI Journal
    • /
    • 제43권3호
    • /
    • pp.400-413
    • /
    • 2021
  • This paper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explores the reliability gain that can be obtained by installing multiple antennas in on-vehicle broadcasting receivers. Analytical derivations reveal that maximal-ratio-combining-based diversity allows a multi-antenna receiver (MR) to achieve significantly better coverage probability than a single-antenna receiver (SR). In particular, the notable MR gains for low-power reception and high-throughput services are highlighted. We also discuss various aspects of mobile MRs, including geometric coverage, volume of the users served, and impact of receiver velocity.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MRs in the real world, extensive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particularly with on-air ATSC 3.0 broadcast transmissions. Relying on the celebrated erroneous second ratio criterion, MRs with two and four antennas were verified to achieve notable reliability gains over SRs in practice. Furthermore, our results also prove that layered-division multiplexing can cope better with receiver mobility than traditional time-division multiplexing when multiple services are intended in the same radio frequency chann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