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Leveling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66초

다중재료 광조형장치 개발 (Development of a Multi-material Stereolithography System)

  • 김호찬;최재원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35-141
    • /
    • 2010
  • Researchers continue to explore possibilities for expanding additive manufacturing (AM) technologies into direct product manufacturing. One limitation is in the materials available for use in AM that can meet the needs of end-use applications. Stereolithography (SL) is an AM technology well known for its precision and high quality surface finish capabilities. SL builds parts by selectively crosslinking or solidifying photo-curable liquid resins, and the resin industry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ing new resins with improve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This paper introduces a unique SL machine that can fabricate parts out of multiple SL materials. The technology is based on using multiple vats positioned on a rotating vat carousel that contain different photo-curable materials. To change the material during the process, the build platform is raised out of the current vat, a new vat with a different material is rotated under the platform, and the platform is submerged into the new vat so that the new material can be used. This paper introduces a new vat exchange mechanism, cleaning process, recoating process, resin leveling mechanism and process planning technologies for the implementation of multiple material SL. An overview of the system framework is provided and the system integration and control software is described. In addition, several multiple material test parts are designed, fabricated, and described.

단층 코어넷 다단입력 인공신경망회로의 처리용량과 사전 무게값 계산에 관한 연구 (The Capacity of Multi-Valued Single Layer CoreNet(Neural Network) and Precalculation of its Weight Values)

  • 박종준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354-362
    • /
    • 2011
  • 인공신경망회로에서 아직도 안 풀리는 문제 중 하나는 회로의 처리용량에 관한 것이다. 본 논문은 인공신경망회로의 가장 기본이 되는 하나의 입력과 하나의 출력을 갖은 단층 다단 코어넷을 제안하고 그 처리 용량에 관한 수식을 유도하였다. 제안된 코어넷의 처리 용량으로 p단 입력과 q단 출력을 갖는 코어넷의 처리용량(구현 가능한 함수의 수)은 $a_{p,q}=\frac{1}{2}p(p-1)q^2-\frac{1}{2}(p-2)(3p-1)q+(p-1)(p-2)$ 이며, 입력단 p 값이 짝수이고, 출력단 q가 홀수값이면 추가로 (p-1)(p-2)(q-2)/2 만큼 감해진다. 입력 값으로 3단(level), 출력 값으로 6단을 갖는 1(3)-1(6) 모델을 시뮬레이션하여 분석한 결과, 총 216가지의 함수 조합에서 입력 레벨링 방법으로 cot(x)를 이용하여 82가지의 함수가 구현가능 함을 보였다. 이 모델의 시뮬레이션 결과 80개의 함수가 수렴(구현 가능)하였고, 나머지 수렴되지 않은 함수 중에서 2개의 함수는 무게값 공간에서 무게값 좌표를 미리 계산하여 구현 가능함으로 나와, 총 82개의 구현 가능한 함수가 있음을 보였으며, 이는 위 코어넷 처리용량에 의한 계산 값과 일치하였다.

미지정수 수준 조정을 고려한 다중클러스터 시스템 효율화 방안 (Efficiency Enhancement Plan of the Ambiguity Leveling System for Multiple Clusters)

  • 유선경;송준솔;기창돈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572-578
    • /
    • 2017
  • 최근 동적 사용자의 정밀위치 요구가 높아지면서, Network RTK(real time Kinematics)를 동적사용자에게 적용하는 방안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Network RTK는 다수의 기준국 반송파 측정치를 활용해 약 50-70km 영역에 정밀위치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Network RTK 보정정보를 제공하는 다수의 클러스터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하면, 보다 넓은 영역의 동적 사용자에게 정밀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다중 클러스터를 전국으로 확장하는 경우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했다. 다중 클러스터 시스템의 구성에 따른 계산량을 분석하고,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 주 수신국 운용 방안 및 시스템 인프라 구성 방안을 제안했다. 또한 각 제안한 방안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고자, 국토지리정보원의 기준국을 활용해 71개의 클러스터를 구성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했다. 시뮬레이션 결과 주 수신국 운용 방안에 따라 시스템 계산량은 66 % 감소하고, 시스템 구성에 따라 시스템 구성비용을 90 % 절감할 수 있었다.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isturbed Plastic Film House Soils under Cucumber and Grape Cultivation as Affected by Artificial Accumulation History

  • Han, Kyung-Hwa;Ibrahim, Muhammad;Zhang, Yong-Seon;Jung, Kang-Ho;Cho, Hee-Rae;Hur, Seung-Oh;Sonn, Yeon-Kyu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05-118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file disturbance with different artificial accumulation history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under plastic film house. The investigations included soil profile description using soil column cylinder auger F10cm x h110cm, in situ and laboratory measurements of soil properties at five sites each at the cucumber (Site Ic ~ Vc) and grape (Site Ig ~ Vg) plastic film houses with artificial soil accumulation. The sites except sites Ic, IVc, IVg and Vg, belong to ex-paddy area. The types of accumulates around root zone included sandy loam soil for 3 sites, loam soil for 1 site, saprolite for 2 sites, and multi-layer with different accumulates for 3 sites. Especially, Site IIg has mixed plow zone (Ap horizon) with original soil and saprolite, whereas disturbed soil layers of the other sites are composed of only external accumulates. The soil depth disturbed by artificial accumulation ranged from 20 cm, for Site IIg, to whole measured depth of 110 cm, for Site IVc, Vc, and Site IVg. Elapsed time from artificially accumulation to investigation time ranged from 3 months, Site IIc, to more than 20 years, Site Vg, paddy-soil covering over well-drained upland soil during land leveling in 1980s. Disturbed top layer in all sites except Site Vg had no structure, indicating low structural stability. In situ infiltration rate had no correlation with texture or organic matter content, but highest value with highest variability in Site IIIc, the shortest elapsed time since sandy loam soil accumulation. Relatively low infiltration rate was observed in sites accumulated by saprolite with coarse texture, presumably because its low structural stability in the way of weathering process could result in relatively high compaction in agro-machine work or irrigation. In all cucumber sites, there were water-transport limited zone with very low permeable or impermeability within 50 cm under soil surface, but Site IIg, IIIg, and Vg, with relatively weak disturbance or structured soil, were the reverse. We observed the big change in texture and re-increase of organic matter content, available phosphate, and exchangeable cations between disturbed layer and original soil layer. This study, therefore, suggest that the accumulation of coarse material such as saprolite for cultivating cash crop under plastic film house might not improve soil drainage and structural stability, inversely showing weaker disturbance of original soil profile with higher drainage.

농촌지역 쓰레기 매립장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경상북도 영양군을 사례로- (Solid Waste Disposal Site Selection in Rural Area: Youngyang-Gun, Kyungpook)

  • 박순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3-80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쓰레기 매립장의 입지선정 기준을 정립하고, 경상북도 영양군을 사례로 GIS 기법을 이용하여 실제 쓰레기 매립장의 입지후보지를 선정한 다음, 선정된 후보지를 상호비교하여 적정입지의 요인별 특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에 사용된 GIS소프트웨어는 Idrisi모듈인 Multi-Criteria Evaluation(MCE)이다. 영양군 쓰레기 매립장 입지선정에 이용된 입지요인은 경사도, 단층선, 기반암과 인구밀집지역, 상수원, 하천, 범람원, 도로 그리고 휴양관광지와의 거리등 9개 요인이다. 입지요인의 표준화와 요인별 가중치를 이용한 적합도와 배제기준을 적응한 결과 쓰레기 매립장 건립 불가지역은 시가지와 그 인접지역, 산악지역, 하천, 간선도로, 휴양관광지 및 그 인접지역으로 전체면적의 85.3%에 해당하는 $695.08km^2$였다. 쓰레기 매립장 적정입지 후보지로는 수비면 신암리, 청기면 행화리와 무진리 그리고 석보면 포산리등 3개지역 총 25개 지점이 선정되었다.

  • PDF